최근 한국 사회의 불평등 변화의 원인(에 대해 이 포스팅에서 제기했던 질문)에 대한 구체적인 답을 얻기 위해서, 한국 정부의 공식 불평등 지표의 근거가 되는 "가계동향조사" 원자료를 분석해 보고 있는데, 제일 먼저 눈에 띄는게 젊은층의 소득 감소다. 아래 표는 연령대별 평균 임금(산술평균이 아니라 기하평균임)이다. 개인 소득은 임노동 소득과 사업 소득의 합이다. 아래 제시한 소득은 명목소득이 아니라 소비자물가지수로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2014년 원화 가치 기준 실질 소득이다. 농촌가구는 제외하고 … [Read more...] about 20대는 전보다 더 가난하다
경제
공모주가 대체 뭡니까
1. IPO가 뭡니까? IPO, 공모 이러면, 뭐 거창한 뭔가 있을 거 같지만, 내용은 아주 간단해요. 창업자가 자기가 가지고 있던 주식을 일반인들에게 파는 겁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창업자가 처음에 회사를 차리면, 대부분 공동창업자의 지분이 100%입니다. 이 사람들이 무엇을 할지. 돈이 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투자를 받기가 어렵거든요. 가치도 아주 작습니다. 그런데 사업이 매출도 나오고, 점점 잘돼서 이익도 나고 하면, 주변에서 천사가 나타나서 투자해 주겠다고 … [Read more...] about 공모주가 대체 뭡니까
판교 현대에서 배우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교훈 3가지
스타트업 관련된 일 한다는 사람이 왠 대기업 비즈니스의 핵심인 백화점 이야기를 하는지 의아해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이 ‘백화점’이란 것은 시장에서 근대화된 가장 대표적인 비즈니스모델이자 꽤 긴 역사와 배울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비즈니스의 보물창고다. 사실 오프라인에서는 가장 큰 플랫폼 비즈니스인 셈인데, 온라인 미디어의 대표격인 TV 채널을 포함해 가장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자, 대다수의 스타트업들이 이런 플랫폼 비즈니스를 노리고 사업을 준비하고 있기에 꼭 한 번 … [Read more...] about 판교 현대에서 배우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교훈 3가지
헬조선 흙수저/금수저론의 통계적 근거
2006-08 2009-11 2012-14 변화 20대 .241 .410 .381 .140 (65.4%) 40대 .489 .544 .512 .023 ( 4.7%) 이 표는 가계동향조사의 시장소득(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합)을 개인 단위로 변환한 후 연령대별 불평등 정도를 구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지니계수가 아니라 VarLog라고 불리는 로그 전환 소득의 분산이다. VarLog도 불평등 지수에서 요구되는 척도 불변성(scale invariance) 등의 … [Read more...] about 헬조선 흙수저/금수저론의 통계적 근거
CSV는 환상이다
퀴즈로 시작한다. 아래 박스에서 빨간색 박스 안에 들어가는 2가지 단어는 무엇 무엇인가? 죄송하다. 정답은 '공유가치창출'과 'CSV'다. 이 글 제목만 봐도 뻔하지 않은가? 그런데, 더 뻔한 얘기를 해보려고 한다. 저 빨간색 칸에 '경영혁신'을 넣으면 어떤가? '리엔지니어링'이나 '식스시그마'를 넣으면 또 어떻게 될까? '신규사업 개발'은? 아니면, '창조경제'나 '녹색성장'으로 범위를 넓히면 문맥이 이상해지는가? 내가 보기에는 다 문제가 없다. 뭘 넣어도 문제가 없다면, 저 전략프레임 … [Read more...] about CSV는 환상이다
중국 자동차 소유주들의 전쟁
중국에서 연간 판매되는 자동차는 2천만 대가 넘는다. 2014년도에 대략 2,350만대 정도가 팔렸다고 한다. 전 세계 모든 글로벌 기업이 과거 생산시장으로서 중국의 가치를 느꼈다면 지금은 판매시장으로서 중국에 공을 들이는 형국이다. 자동차 업계도 예외는 아니다. 특이한 것은 중국 정부는 '시장을 내 주고 기술을 확보한다'는 전략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기술 수준을 끌어올려 경쟁력을 갖추었다면 유일하게 '시장만 내 주고 기술 확보에 뒤처지고 있는 분야'가 바로 자동차 시장이다. 그도 그럴 것이 … [Read more...] about 중국 자동차 소유주들의 전쟁
왜 인도 여성들은 일하지 않을까?
※ 이 글은 하버드대학 교수인 로히니 판데(Rohini Pande)와 하버드 인도 프로그램 디렉터인 트로이어 무어(Troyer Moore)가 뉴욕타임즈에 기고한 「Why Aren't India's Women Working?」을 번역한 것입니다. 대체로 개발도상국가에서 경제 성장은 여성들을 위한 일자리를 더 창출합니다. 하지만 2004~2011년 인도 경제가 연간 7%씩 성장하는 동안,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는 31%에서 24%로 7%p나 감소했습니다. 여학생들의 교육 수준이 빠르게 높아지고 … [Read more...] about 왜 인도 여성들은 일하지 않을까?
한국 경제는 진짜 망하고 있나
최근 이런저런 자리에서 한국 경제에 대해 국내에서 일고 있는 걱정과 비관론을 접하다 보면 과장되거나 근거가 약한 주장이 꽤 널리 퍼져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수출마저 경쟁력을 잃어 급격히 수출이 악화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또 성장률이 지나치게 둔화하고 있어 한국 경제의 앞날은 암울하다는 걱정도 있다. 이런 말을 들으면서 과연 얼마나 근거 있는 주장인지 살펴보기 위해 몇 가지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1. … [Read more...] about 한국 경제는 진짜 망하고 있나
성별 간 임금 격차, 따져보면 생각보다 크지 않다?
※ 이 글은 이코노미스트의 「Why politicians are asking the wrong questions about gender inequality」를 번역한 글입니다. 남성이 1달러를 벌 때 여성은 77센트를 받는다? 미국 대선을 1년 앞둔 시점에 모든 민주당 대선 후보들이 언급하고 있는 이슈가 있습니다. 바로 남녀 간 임금 격차입니다. 가장 흔히 인용되는 통계는 남성이 1달러를 벌 때, 여성은 77센트를 받는다는 것입니다. 성차별로 인해 여성이 23센트를 덜 받는다는 것이죠. … [Read more...] about 성별 간 임금 격차, 따져보면 생각보다 크지 않다?
저임금 노동자용 글래스도어가 있다면 어떨까
『긍정의 배신』으로도 유명한 바버라 에런라이크는 『노동의 배신』이라는 책도 썼다. 무려 3년간 직접 저소득 노동자의 삶을 체험한 뒤 펴낸 책이다. 이 책에 이런 부분이 나온다. 처음에 나는 동료들이 적극적으로 다른 일자리를 알아보지 않는 게 도저히 이해가 안 됐다. 저임금 일자리를 찾는 사람들에게는 조언을 구할 곳이 없다. 손에 들고 다니는 기기도, 케이블 방송을 볼 수 있는 채널도, 컴퓨터 웹사이트도 없다. 이들에게 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유일한 소식통은 ‘직원 구함’이라는 안내문과 구인 … [Read more...] about 저임금 노동자용 글래스도어가 있다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