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1일, '위안화가 드디어 SDR에 편입되었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드디어'라는 표현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장에서 많이 기대하고, 알고 있던 뉴스라는 거죠. 그럼 간단하게 그 의미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SDR이 뭡니까? SDR에는 어떤 통화들이? 위안화가 들어갔다고? 앞으로 일어날 일 1. SDR이 뭡니까? IMF는 얼마 전의 그리스나 1997년의 우리나라처럼 돈이 다 떨어져서 힘들어하는 … [Read more...] about 위안화 SDR 편입, 앞으로 어떻게 될까?
경제
핀란드, 모든 국민에게 월 100만 원 지급하는 ‘기본소득’ 구상 중
핀란드에서 흥미로운 뉴스가 나왔다. Finland plans to give every citizen a basic income of 800 euros a month(Quartz) 핀란드 사회보장국에서 2016년 11월까지 구체적인 계획을 만들 것이라는데, 모든 성인에게 매달 800유로(대략 100만원)를 준다는 계획이다. 완전히 시행하기 전에 중간 단계로 1달에 550유로(대략 70만원)을 준다고 한다. 기본소득은 다른 사회보장 제도를 대체하게 될 예정이다. 이는 기본소득으로 다른 … [Read more...] about 핀란드, 모든 국민에게 월 100만 원 지급하는 ‘기본소득’ 구상 중
(해외 칼럼) 삼성의 반도체 본능: 삼성의 미래는 애플 말고 인텔을 보라
로이터브레이킹뷰즈 칼럼을 번역했습니다. 삼성전자는 명실공히 애플의 숙적이지만 날이 갈 수록 애플보다는 인텔에 가까운 기업이라는 느낌을 갖게 된다. 최근 발표된 분기 실적에서도 스마트폰 부문은 부진한 반면 반도체 부문의 호조가 돋보였다. 앞으로도 삼성전자의 영업 성과는 아이폰과의 경쟁 여부보다는 소재 부문의 업황에 계속 좌우될 것이다. 세계 휴대폰 시장 점유율 면에서 삼성전자는 여전이 최대 제조업체이지만 성장은 정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BNP파리바는 삼성의 올해 갤럭시 모델 판매량을 … [Read more...] about (해외 칼럼) 삼성의 반도체 본능: 삼성의 미래는 애플 말고 인텔을 보라
E-Commerce 사업자가 왜 콘텐츠도 건드릴까
커머스 사업자는 상품만 잘 팔면 되고, 콘텐츠 사업자는 구독자만 늘리면 된다… 는 사고방식은 구닥다리 같은 것이 되어가고 있다. 몇 해 전부터 커머스와 콘텐츠가 결합하고 있는 트렌드가 주목되고 있기 때문에 관점을 넓힐 필요가 있다. 본 칼럼에서는 E-Commerce 사업자들이 콘텐츠 비즈니스를 어떻게 강화하고 어떠한 의도로 강화해나가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단순히 일회성에 그치는 콘텐츠 마케팅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콘텐츠 비즈니스이며, 어떠한 비전과 관점을 갖고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 [Read more...] about E-Commerce 사업자가 왜 콘텐츠도 건드릴까
Uber for X 회사들이 왜 실패하는가?
※ 이 글은 TECHNASIA에 실린 「When ‘Uber for X’ companies fail」을 번역한 글입니다. 다른 카테고리에서 우버가 되고 싶어하는 회사들(=Uber on X)에 대한 많은 얘기가 오가고 있다. 이런 얘기들은 대략 3개의 주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이 회사들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밸류에이션을 설명할 수 있는가? 둘째, 운영자산을 최대한 작게 가져가는 이들의 사업모델이 어떻게 확장할 수 있는가? 셋째, 그들이 살아남을 확률이 얼마나 되는가? 이 기사에서는 … [Read more...] about Uber for X 회사들이 왜 실패하는가?
산업공학자가 바라본 교육열
이 글은 그저 제 잡생각에 불과합니다. 아무런 과학적인 증거가 없습니다. 미리 알려드립니다. 한국의 사교육 문제, 크게 봐서 지나친 교육열 문제는 제가 기억하는 한도 내에서는 문제가 아니었던 적이 없었던 듯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심해지는 것 같습니다. 조금이라도 더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서 고등학생, 중학생, 심지어 초등학생들까지 밤낮으로 공부하고 노력합니다. 물론 더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을 나무랄 일은 아닙니다만, 그것이 과도한 경쟁을 부추긴다는 데 있겠습니다. … [Read more...] about 산업공학자가 바라본 교육열
돈 없는 창업자들에게, 예비창업자 사전보증 제도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술보증기금에서 정책자금으로 제공하는 예비창업자 사전보증 제도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기술신용보증기금(줄여서 ‘기보’)이란 국민 세금으로 운영하는 공기업입니다. 비슷한 공기업으로 신용보증기금(줄여서 ‘신보’)이란 곳도 있는데 기술신보는 그중에 기술기업에 특화된 보증기금입니다. (원래 기보가 신보의 자회사였다가 독립했다고 하네요) 기보나 신보가 하는 일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회사의 기술성, 재무현황, 사업성을 평가해 대출에 대한 보증을 해주는 기관입니다. 여기서 발급되는 … [Read more...] about 돈 없는 창업자들에게, 예비창업자 사전보증 제도
너무나 낯설어진 중국
중국은 침몰할 것인가 호사가들은 그래 왔다. 일본도 20년간 그랬듯이 중국도 그럴 것이라고. 사실 실제 지표들이나 다른 외부의 역학적 수치들만 봐도 중국 경제는 다소 그들이 말하는 위기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며, 그동안 너무나도 빠르게 달려왔던 중국 경제가 앞으로 한동안 격변의 널뛰기를 겪게 될 것임은 분명한 듯 보인다. 문제는 이후에는 어떻게 될지, 꽤 많은 분들이 그저 지켜보고만(!) 있다는 점이다. 항상 방관자적 자세를 유지하는 전문가들의 단편적 의견이나 겉으로 드러난 … [Read more...] about 너무나 낯설어진 중국
“박정희 경제성장률의 진실”의 진실
“박정희 경제성장률의 진실” 이라는 글은 몇년째 인터넷에 퍼져서 꾸준히 올라오고 공유되는 글이다. 이 글의 원출처를 아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은데, 출처는 Barry Lee 라는 분의 글(1편 / 2편)이다. 블로거이자 헤비 트위터리안이었는데, 2012년 미국에서 수술 중 사고로 사망했다. 먼저 불행한 사고로 돌아가신 고인의 명복을 빈다. 1. 애초에 그래프가 잘못됐다 이 글은 사람들 사이에서 넓게 퍼졌는데, 원래는 잘못된 그래프가 있었다. Barry Lee 님은 나중에 이 … [Read more...] about “박정희 경제성장률의 진실”의 진실
유니클로의 성공비결
해외 SPA 브랜드이자 국내 1등, 글로벌 매출 1조 원인 유니클로를 잡겠다는 국내 SPA 브랜드이자 국내 6등, 국내 매출 1500여억 원인 탑텐이 1등인 유니클로를 어떻게든 카피하려 하고 있다. 1등을 카피하는 후발주자 전략은 일반적인 것. 유니클로 감사제 세일기간이 11월 13~16일인 것에 착안해 탑텐 감사주간 세일기간을 11월 12~17일로 앞뒤 하루씩 붙여서 내놓았다. 제품명도 Fleece 계열은 유니클로 후리스처럼 탑텐 플리스로 표기하는 등 플란넬, 램스울 등의 특성을 앞에 붙이는 … [Read more...] about 유니클로의 성공비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