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에서 수년 동안 일을 하면서 크게 배운 점 중 하나는 다름에 대한 인정, 그리고 이에 기반을 둔 존중이었습니다. 나중에 다시 한 번 소개할 기회가 있겠지만, 구글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는 이러한 개개인의 다름을 이해하려는 연구와 노력을 많이 기울이는 것 같은 데 반해, 제가 지금껏 경험해왔던 우리 사회는 유난히 내향적인 사람들에게 힘겨운 사회였습니다. 저는 내향적인 사람입니다. MBTI 검사에서 한 번도 "E(외향성)" 근처에 가 본 적 없는 일관되게 "I (내향성)"성향이 있는 내성적인 … [Read more...] about 내향적이라 고민인 당신에게
사회
필리버스터, 인터넷 생중계 보기 정리
테러방지법 직권상정 사태로, 국회에서 한창 야당 의원들의 필리버스터 '무제한 토론'이 진행 중이다. 실시간 생방송으로 이 필리버스터를 볼 수 있는 곳들을 정리해본다. 아래 소개된 것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다 똑같은 화면을 볼 수 있으니, 몇 개 접속해보고 상태 괜찮은 것으로 하나 선택하면 된다. 팩트TV http://onair.facttv.kr/ https://www.youtube.com/watch?v=KavUBaV-jL4 현재 사람들이 많이 보는 채널 … [Read more...] about 필리버스터, 인터넷 생중계 보기 정리
빈부 격차를 재생산하는 ‘정보 격차’
※ 이 글은 뉴욕타임즈의 「Bridging a Digital Divide That Leaves Schoolchildren Behind」를 번역했습니다. 12살 토니와 11살 이사벨라 남매는 매일 저녁 집 근처 초등학교 담장 근처를 서성입니다. “잡았다. 이제 다운로드 된다.” 이사벨라가 오빠에게 말합니다. 이사벨라가 들고 있는 휴대전화의 깨진 화면에 선생님이 올려준 수학 문제풀이를 찍은 사진이 서서히 로딩됩니다. 와이파이에 연결해 인터넷을 쓸 수 있는 초등학교 담장 옆 … [Read more...] about 빈부 격차를 재생산하는 ‘정보 격차’
“최고의 나라들”순위에서 우리나라는 19위
최근 신문 기사를 보니 US News & World Report 라는 해외 언론사에서 "최고의 나라들(Best Countries)"이라는 거창한 순위를 발표했는데, 우리나라가 65개국 중에 19를 했다는 이야기가 나왔더군요. 원래 남과 비교하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이 불행해지기 마련이지만, 저를 포함한 대부분의 한국인은 어려서부터 순위에 목을 매고 살아서 그런지 그런 순위 경쟁에 솔깃해 합니다. 65개국 중 19위라는 것이 과연 기뻐해야 할 순위인지 아닌지, 또 대체 이 느닷없는 … [Read more...] about “최고의 나라들”순위에서 우리나라는 19위
빅데이터에 이어 생활데이터의 시대가 온다
필자가 어디서 '데이터 과학자'라고 하면 보통 '아, 빅데이터 하시는군요' 라고 하시는 분들이 많다. 하지만 필자가 누누이 밝혔듯이 데이터는 문제 해결의 수단이고, 빅데이터를 꼭 써야 문제가 풀리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빅데이터보다 주변의 문제를 끊임없이 데이터로 푸는 '생활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믿는다. 생활 데이터 사례: 당뇨병 관리 & 치킨집 수요 예측 우선 생활 데이터를 사례로 알아보자. 한국 네스프레소(Nepresso)의 디지털 어퀴지션 매니저로 일하는 … [Read more...] about 빅데이터에 이어 생활데이터의 시대가 온다
사업을 하면서 다짐한 5가지
호기롭게 사업을 시작했지만 실질적으로 결과는 그다지 좋지 못한 경우가 태반이다. 슈퍼스타 혹은 매우 이름난 몇을 제외한다면 초반부터 대박 나는 사업 혹은 대규모 흑자(투자)등으로 기반을 다지는 경우는 많지 않기 때문에 유의하고 또 유의해야 하는 것이 바로 사업이다. 나 또한 사업을 시작하면서 큰 그림을 그리고 크게 시작한 것이 아닌 작은 그림을 두고 작게 시작하면서 작은 골방부터 시작했다. 항상 고맙게도 주변의 도움으로 성장해나갔으며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부딪혀서 일들을 벌려왔다. 물론 지금 … [Read more...] about 사업을 하면서 다짐한 5가지
삼성공화국의 이상한 ‘애플’ 걱정
2015년 4분기 애플 실적 애플이 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아이폰 7,480만 대 판매(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 / 2007년 아이폰 출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의 판매 매출 759억 달러(91조 1천억 원) / 전년 동기 1.7% 증가 순이익 184억 달러(22조 1천억 원) / 전년 동기 2.2% 증가 애플은 사상 최대 분기 판매량을 기록했지만 성장률이 급격히 감소하였습니다. 이때문에 또다시 애플의 위기론이 나오고 있습니다. 애플의 성장률이 감소한 이유는 중국을 … [Read more...] about 삼성공화국의 이상한 ‘애플’ 걱정
인터넷 시대, 생각하는 법을 잃어버린 사람들
제가 만든 SF 모임으로 '조이SF'라는 곳이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여러 가지 게시판이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많이 사람들이 찾는 곳이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입니다. 온갖 종류의 질문이 들어오는데 질문 그 자체보다도 답변 쪽이 재미있고 흥미로워서 눈길이 가는 장소이지요. 저자신도 이곳에서 여러 가지를 보고 느끼곤 하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가끔 '왜 이런 걸 물어보지?' 싶은 질문도 있습니다. 뭐라고 할까. 몰라서, 알고 싶어서 물어보았다기보다는 그냥 생각하지 않고서 묻는 게 아닌가 느껴지는 … [Read more...] about 인터넷 시대, 생각하는 법을 잃어버린 사람들
상속자의 나라 한국, 창업자의 나라 중국
강연준비를 하느라 한국, 미국, 일본, 중국의 부자 랭킹을 살펴봤다. 일전에 여기저기서 본 것은 있지만 내가 직접 좀 자세히 살펴보고 싶어서 그랬다. 세계의 부자 랭킹은 미국의 잡지 포브스가 매년 집계한다. 주로 기업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상장된 주식이나 비상장주식의 가치를 인정받아 부자 랭킹에 드는 경우가 많다. 내가 궁금했던 것은 각 나라별로 당대에 창업해서 부호가 된 사람(자수성가, Self made)과 부모의 재산을 상속받아서 부호가 된 사람의 비율이었다. 부자 랭킹에 … [Read more...] about 상속자의 나라 한국, 창업자의 나라 중국
네이버가 알려주지 않는 블로그의 진실
한물 갔다 혹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방문자 수가 어쨌다, 파워블로거다 블로거지다, 인플루언서 활용이다, 브랜드 저널리즘이다... 이 블로그 놓고 참 말이 많습니다. 다만, 가만히 지켜보면 블로그와 블로거를 바라보는 오해나 어그로가 생각보다 지나친 듯합니다. 그 중심 어딘가에 대한민국 블로고스피어에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네이버 블로그가 언뜻언뜻 있습니다.^^ 그래서 네이버를 중심으로 블로그의 ‘진실’을 파헤쳐보는 것도 재미있지 않을까 싶어졌습니다. #1. ‘블로그’는 네이버 … [Read more...] about 네이버가 알려주지 않는 블로그의 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