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내용은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의 이코노미스트로 계신 오석태 박사님의 강연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평소 뵙고 싶었던 오석태 박사님의 세미나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주신 CFA협회에 감사를 드립니다. 1. 세계 경제는 생각보다 암울하다 제일 먼저 Swan Chart라는 것을 소개해주셨습니다. 예측보다 더 좋아질(White Swan) 리스크나 나빠질(Black Swan) 리스크를 정리한 것인데요. 영국이 EU를 탈퇴할(Brexit) 가능성은 40%로 높게 보셨고, 중국이 … [Read more...] about 오석태 박사의 한국경제 전망: 암울하다
경제
끝까지 읽기도 전에 추천하는 책, “워런 버핏의 주주 서한”
이 책을 읽기도 전에 추천하는 이유 『워린 버핏의 주주서한(로렌스 커닝햄 지음, 이건 옮김)』은 주변 사람들에게 선물해주려고, 추가적으로 여러 권 구입한 책이다. 아직 끝까지 다 읽지 못했지만, 이 책은 시중에 나온 다른 워렌 버핏 관련 책들에 비해 아래처럼 특별한 장점이 있다. 워렌 버핏이 매년마다 직접 주주들에게 쓴 주주서한을 토대로 주제별로 보기 쉽게 재구성. 국내 최고의 투자전문 번역가라 믿어 의심치 않는 이건 선생님의 손을 거친 번역. 국내 가치투자자의 대가이신 … [Read more...] about 끝까지 읽기도 전에 추천하는 책, “워런 버핏의 주주 서한”
자산운용업 현황과 전망: 유년기의 끝
1. 글로벌 자산운용업 트렌드 글로벌 자산운용업 트렌드는 상품화(commoditization)로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 액티브 펀드가 차별성을 잃어가면서 자산운용사들이 가격경쟁에 돌입했으며, 수익성도 필연적으로 낮아졌다. 스마트 베타(주: Smart Beta; 인덱스 펀드를 기반으로 투명성을 기반으로 초과수익률을 올리고자 하는 펀드 상품)의 발전도 자산운용업의 상품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기존의 인덱스들이 단순히 시총을 가중평균하는 수준이었다면, 스마트 베타는매출, 영업이익, 주가 변동성 등을 … [Read more...] about 자산운용업 현황과 전망: 유년기의 끝
150억 인수 제안을 거절한 이유: 띵동 윤문진 대표 인터뷰
1. 심부름 센터가 60억 투자를 받기까지 리승환(이하 리): 안녕하세요. 님은 뭐 하는 사람이에요? 윤문진(이하 윤): 띵동이란 서비스 운영하고 있는 윤문진이라고 해요. 리: 그게 뭐하는 서비스죠? 윤: 주문만 하면 뭐든지 다 되는 서비스입니다. 리: 주로 무슨 주문이 들어옵니까? 윤: 음식 배달을 제일 많이 합니다. 그 밖에도 단순 배달 퀵 서비스에서부터, 못을 박는다거나 행거를 설치한다거나 가구를 옮긴다거나 하는 집안에서의 업무… 또 동사무소, 은행 관련 업무 등 민원업무도 … [Read more...] about 150억 인수 제안을 거절한 이유: 띵동 윤문진 대표 인터뷰
헬조선을 건너가는 방법
최근 현대경제연구원에서 ‘중간일자리’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4년 8월 통계층 발표 기준으로 20대와 30대의 일자리 현황을 살펴봤더니, 10년 전과 견줘 중간일자리 비중이 줄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상대적으로 상위와 하위 일자리 비중이 늘었다. 중간일자리는 중위임금의 67%~133%에 해당하는 임금소득을 올리는 일자리를 뜻한다. 이번에 현대경제연구원은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자료를 사용했다. 이 조사에서 '최근 3개월 간 직장에서 받은 임금'에 대한 응답의 중간값은 약 … [Read more...] about 헬조선을 건너가는 방법
회사를 떠난 사람들: 회사 밖에서 세상을 버텨내는 자영업자, PC방 사장
Q. 자기 소개를. A. 저는 40살이고 회사생활을 5년 동안 하고 현재 서울에서 PC방을 운영하고 있는 ㅇㅇㅇ 입니다. Q. 학교와 회사 등의 커리어를 알려 달라. A. 1995년 서울의 중간 정도 되는 대학의 경영학과에 입학해서 2003년에 졸업했다. 그때만 해도 4학년이 되어야 취업준비라는걸 본격적으로 하는 분위기였다. 스펙은 그때도 필요했다. 그래서 캐나다에 11개월 동안 어학연수를 가서 오직 토익만 준비했다. 마지막 학기를 앞두고 한국에 돌아와서 첫 토익 시험을 봤는데 935점이 … [Read more...] about 회사를 떠난 사람들: 회사 밖에서 세상을 버텨내는 자영업자, PC방 사장
보이지 않는 손은 왜 작동하지 않는가?
요즘 신문에 경제 기사가 재미없는 이유가 있다. <조선일보>나 <매일경제>나 <한겨레>나, 신문마다 모두 똑같은 소리를 하기 때문이다. 다들 심각한 위기라고 비명을 질러대면서 정부에 대책을 주문한다. 대책이라고 내놓는 것도 다 똑같다. 신속한 구조조정과 과감한 경기부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을 경질하라는 요구도 모든 언론의 공통된 요구였다. 김수행 선생의 부고를 들으면서 『김수행, 자본론으로 한국 경제를 말하다』(2009)를 읽고 썼던 서평이 … [Read more...] about 보이지 않는 손은 왜 작동하지 않는가?
CEO와 일반 노동자들의 연봉비율 공개가 미칠 파장
※ 이 글은 워싱턴 포스트의 「This new rule could reveal the huge gap between CEO pay and worker pay」를 번역한 글입니다. 더 시크릿, 그와 나의 연봉비율 많은 회사들이 감추고픈 비밀 가운데 하나가 최고경영자(와 경영진)의 연봉 내역입니다. 연봉 내역에는 절대적인 액수가 있을 것이고, 회사의 일반 노동자, 보통 사원들에 비해 얼마나 많이 받는지를 따지는 상대적인 비율이 있겠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 [Read more...] about CEO와 일반 노동자들의 연봉비율 공개가 미칠 파장
미친 번역글에 대한 비판
얼마 전 '삼성의 디자인은 왜 이렇게 구린가?'라는 칼럼이 나왔었다. 직설적이고 풍자가 가득한 글을 정말 재밌게 읽었는데, T times에서 번역글이 올라왔다. 그런데 실제 원문과 다르게 엄청나게 순화(?)된 표현에 놀라고 말았다. 먼저 [원문]을 보자 삼성 디자인이 구린 이유를 설명하겠음. (1) 문화가 제품이다 제품력은 문화에서 나옴. 일단 문화가 구림. 관료적임. 윗사람들은 자신들의 영업성과만 생각하기 때문에 같은 제품을 여러 가지로 라인업 함. 정말 멋진 디자인을 … [Read more...] about 미친 번역글에 대한 비판
한국경제의 일본화, 공포마케팅을 벗어나야 할 때
국책연구기관(이라고 쓰고 실제로는 국책경고기관)인 KDI에서 작심하고 우리경제의 일본화를 경고하고 나섰다. 세미나도 하고 책도 냈다.책 제목은 '우리 경제의 역동성: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이다. 좋은 일이다. 뭐든 열심히하면 칭찬해줘야 한다. 일본 따라하기의 명과 암 사실 일본경제와의 비교(라는 쓰고 실제로는 따라하기)는 오래 전부터 이루어진 일이다. 연구자들과 정책가들이 1997년까지 영어보다는 일본어로 된 책이나 보고서를 열심히 봤다는 증언도 여러 차례 들었다. 확실히 … [Read more...] about 한국경제의 일본화, 공포마케팅을 벗어나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