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갈수록 구위가 떨어진 청소년 국가대표 투수들 9월 3일 슈퍼라운드 미국과의 1차전. 8회말까지 4:2로 앞서고 있던 대한민국 대표팀은 9회초 에이스 이영하가 러더포드에게 우중월 역전 3점 홈런을 허용하면서 경기를 내줬고 이 경기의 패배로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이날 9회초에서 이영하가 기록한 구속은 140Km대 초반대. 구속도, 구위도 예선 라운드에서 처음 등판했을때보다 현격히 떨어져 있었다. 상대 타선이 강하다고는 하지만 예선전에서 보여주었던 이영하의 투구라면 충분히 승부가 가능했었던 … [Read more...] about 청소년 야구 혹사를 고발한다: 아이들의 어깨를 담보로 승리를 탐하지 말라
전체글
술게임 개드립 모음
[View the story "술게임 개드립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술게임 개드립 모음
CEO와 일반 노동자들의 연봉비율 공개가 미칠 파장
※ 이 글은 워싱턴 포스트의 「This new rule could reveal the huge gap between CEO pay and worker pay」를 번역한 글입니다. 더 시크릿, 그와 나의 연봉비율 많은 회사들이 감추고픈 비밀 가운데 하나가 최고경영자(와 경영진)의 연봉 내역입니다. 연봉 내역에는 절대적인 액수가 있을 것이고, 회사의 일반 노동자, 보통 사원들에 비해 얼마나 많이 받는지를 따지는 상대적인 비율이 있겠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 [Read more...] about CEO와 일반 노동자들의 연봉비율 공개가 미칠 파장
심플이란 무엇인가?
심플함을 사랑한다 심플, 요즘 가장 유행하는 말 중 하나다. 애플은 아이폰을 위시한 심플한 디자인의 제품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잡스는 자신의 '만트라'가 '집중' 그리고 '심플함'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그림의 원형을 제외하고 모든 것을 지운 마크 로스코의 심플한 그림을 사랑했다. 마크 로스코의 그림을 사랑한 랩퍼 빈지노는 마크 로스코를 주제로 삼은 윤종신의 곡 'The Color'에 피처링했다. 여기서 빈지노는 랩으로 심플함의 가치에 대해 말한다. 이렇게 현대 사회의 창작자들은 … [Read more...] about 심플이란 무엇인가?
한국식 재개발의 기원
여기서 광주는 빛고을의 광주가 아니다. 넓을 광 자 광주다. 즉 전라도 광주가 아니라 경기도 광주를 의미한다. 1971년 8월 10일 경기도 광주 땅에서 그 서슬 퍼렇던 박정희 정권도 (일단은) 두 손을 든 심각한 민중봉기가 일어났다. 친숙한 용어로는 '광주대단지 폭동 사건'이라 한다. (경기도) 광주대단지 폭동 사건 이 봉기가 어떻게 일어났는지는 뒤로 미루고, 봉기 와중에 벌어진 일 하나를 먼저 소개해 보자. 몽둥이와 최루탄이 난무하는 가운데 참외를 실은 삼륜차 하나가 … [Read more...] about 한국식 재개발의 기원
한국 게임산업은 왜 안 되는가
전자신문에 재밌는 기사가 났더랬다. '문화융성, 게임을 앞장세우자'라는 제목의 기사로, 한국이 중국에 뒤처지기 시작했는데 이걸 되돌리기 위해 게임산업을 중흥해야지 않겠냐는 취지의 기사다. 기사 중 특별히 흥미로운 부분이 있었다. 요즘 국내 게임사의 가장 큰 고민은 쓸 만한 인재를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새로운 활력이 돼야 할 신입 개발자를 구하는 데 애를 먹는다. 능력 있는 젊은 개발자들이 게임업계를 취업 후순위에 두기 때문이다. 10여 년 만에 닥친 이 같은 변화는 게임업계가 예전만큼 … [Read more...] about 한국 게임산업은 왜 안 되는가
맥심의 블랙조크 읽기
※ 편집자 주: 지난 8월 21일 맥심코리아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맥심 9월호 표지가 공개 즉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폭력을 미화한다는 비판이 즉각 일었고, 이에 맥심 측은 여성에 한정되지 않는 "범죄의 한 장면을 극적으로 표현"했을 뿐이라며 다음과 같이 해명했습니다. "화보 전체의 맥락을 보면 아시겠지만, 살인·사체유기의 흉악범죄를 누아르 영화적으로 연출한 것은 맞으나 성범죄적 요소는 화보 어디에도 없습니다. 일부에서 우려하시듯 성범죄를 성적 판타지로 미화한 바 … [Read more...] about 맥심의 블랙조크 읽기
이종운이 김성근보다 나은 7가지 이유
이종운(49) 롯데 감독과 김성근(73) 한화 감독. 닮은 점이 있다. 둘 다 고교 야구 감독 출신이다. 2015년 프로야구에서 고교야구식 경기 운영을 선보이는 감독들이기도 하다. 맡고 있는 팀이 '꼴찌'라는 단어와 친숙하다는 점도 같다. 그리고 5할 승률 아래의 팀을 이끌고 포스트시즌 마지막 티켓이 걸린 5위 싸움을 하고 있다. 프로야구 통산 승수와 '별명의 거창함'이라는 점에선 김성근 감독의 압승이다. 하지만 따져보면 이종운 감독에게도 김 감독을 앞서는 점이 있다. 1. … [Read more...] about 이종운이 김성근보다 나은 7가지 이유
미친 번역글에 대한 비판
얼마 전 '삼성의 디자인은 왜 이렇게 구린가?'라는 칼럼이 나왔었다. 직설적이고 풍자가 가득한 글을 정말 재밌게 읽었는데, T times에서 번역글이 올라왔다. 그런데 실제 원문과 다르게 엄청나게 순화(?)된 표현에 놀라고 말았다. 먼저 [원문]을 보자 삼성 디자인이 구린 이유를 설명하겠음. (1) 문화가 제품이다 제품력은 문화에서 나옴. 일단 문화가 구림. 관료적임. 윗사람들은 자신들의 영업성과만 생각하기 때문에 같은 제품을 여러 가지로 라인업 함. 정말 멋진 디자인을 … [Read more...] about 미친 번역글에 대한 비판
유능한 해커가 많아지면 사이버 보안 강국이 될 수 있을까?
어렸을 때 람보를 보고 그런 상상을 했었다. 전 국민이 람보라면 단숨에 북한 때려 부수고, 독도를 자꾸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일본도 혼구멍을 내줄 텐데... 과연? 전 국민이 람보가 될 수 있는지는 둘째 치고, 과연 그랬다면 우리의 소원인 통일이 진작에 이뤄졌을까? 람보는 그린베레라는 미군 특수부대원이었다. 특수부대는 전쟁 시작 전 또는 초기 적진에 잠입하여 주요 시설물을 파괴하거나 요충지 점거 등을 통해 전쟁을 유리한 방향으로 이끄는, (일반적인 군대와 다른) 말 그대로 '특수'한 … [Read more...] about 유능한 해커가 많아지면 사이버 보안 강국이 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