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랑 똑같이 해주세요." "네?" "아, 이거 괜찮은 것 같은데 이거랑 그냥 똑같이 만들어주세요." "...." 디자이너로서 일정 수준 이상 자부심과 열정을 가지고 있다면, 아니 설령 그렇지 않더라도 어떤 디자인을 그대로 복제해 달라는 부탁을 받는 것은 슬픈 일이다. 근본적으로 이것이 표절에 해당할 수 있는 중차대한 문제라는 점이나 기술적인 어려움도 있지만, 그보다도 먼저 맥락과 상관없이 표현만을 복제하는 것이 디자인의 본질이 아니며, 둘째로 디자이너로서 오리지널리티를 … [Read more...] about “이거랑 똑같이 해주세요.”
테크
사람들이 인생 동반자를 선택할 때 저지르는 가장 큰 실수들
※ WaitButWhy.com에 올라온 Tim Urban의 글을 Quartz에서 재발행한 「The biggest mistakes people make when choosing a life partner」이다. 전문을 번역하며 사람 이름 같은 몇 가지는 재미를 위해 내 맘대로 바꿨다. 너무나 당연한 얘기들이지만 읽어보면 꽤 재미있다. 좌절해 있는 싱글에게 삶이란 때때로 이렇게 느껴질 수 있다: 그리고 얼핏 보기에 연구들도 이런 느낌을 뒷받침해주는 것처럼 보인다. 기혼자가 … [Read more...] about 사람들이 인생 동반자를 선택할 때 저지르는 가장 큰 실수들
원시인 식단이 정말 건강에 도움이 될까?
몇 년전부터 미국에서는 곡물 섭취량을 줄이고 가공하지 않은 육류와 생선, 과일 등의 섭취량을 늘리는 형태의 원시인 식단(Paleo diet)가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인류의 몸이 원시인이 살았던 시절에서 크게 변하지 않았는데, 식단은 크게 변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질환이 나타난다는 주장에 근거해 있습니다. 그래서 원시인이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식단을 권장하는 것입니다. 사실 과일이나 생선, 견과류 등의 섭취량을 늘리는 것은 일반적인 권장 식단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곡물 … [Read more...] about 원시인 식단이 정말 건강에 도움이 될까?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과 대화할 때 피해야 할 7가지 말
※ 이 글은 가디언지의 「How not to talk to someone with depression」를 번역한 것입니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그 경험만으로도 소외감과 좌절감을 느끼지만, 때로는 다른이가 그 증상에 대해 물어오는 방식이나 자신을 대하는 태도 때문에 더 큰 고통을 겪기도 합니다. 선의의 말이나 행동이라도 우울증 환자에게는 해가될 수 있습니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주변 사람에게 진정으로 힘이 되어주고 싶다면, 대화를 나눌 때 다음과 같은 말은 피하는 것이 … [Read more...] about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과 대화할 때 피해야 할 7가지 말
기획자는 결국 사업을 만들어내는 사람이다
주니어 기획자이던 시절, 기획이란 단지 와이어프레임을 그리고 그것을 개발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던 시절이 있다. 단순히 프로그램의 외형을 그리고 그것을 개발자들에게 넘겨주는 일들을 반복했었는데, 난 정말 운이 좋게도 개떡같이 준 기획서를 개발자들이 찰떡같이 알아듣고 일을 진행해주었기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을 시작할 수 있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고 조금씩 다른 것들을 보기 시작하면서 기획은 결국 사업을 통째로 만들어 내는 것이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결국, 기획자는 CEO와 그 궤를 … [Read more...] about 기획자는 결국 사업을 만들어내는 사람이다
당신의 아이디어가 쓸만해지기 위해 필요한 6가지
업계에 종사하다 보면 ‘내가 아주 좋은 아이디어가 있는데…’ 라는 말을 꺼내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그 이야기를 조금 자세히 들여다보면 상당수가 어디서 누군가 약 20년 전에 해보고 안 된다는 게 이미 알려져 있는 이야기로 판명된다든지, 아니면 현존하는 기술로써 도저히 해결이 안 되는 장벽이 있다든지 등등으로 판명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물론 이것은 남 이야기만이 아니고, 개인적으로 ‘이건 뭔가 되는 아이디어 같다’라고 생각했지만 조금 깊게 뒤져보면 비슷한 결론이 난 경험도 많고. 실제로 몇 … [Read more...] about 당신의 아이디어가 쓸만해지기 위해 필요한 6가지
최근 3년간의 기록적 더위는 인간 때문이다
2014-2016년은 3년 연속으로 관측 역사상 가장 더운 해의 기록을 갱신했습니다. 2016년 평균 기온은 19세기 말과 비교해서 섭씨 1도 이상 상승했고 20세기 평균과 비교해도 거의 1도 정도 상승했습니다. 인류가 억제 목표로 설명한 섭씨 1.5-2도에 이미 상당히 근접한 것입니다. 펜실베니아주립대학의 마이클 만(Michael Mann)과 그 동료들은 인간이 배출한 이산화탄소 및 메탄가스 같은 온실가스의 존재 없이 태양 활동 주기나 엘니뇨처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주기적 변화처럼 다른 … [Read more...] about 최근 3년간의 기록적 더위는 인간 때문이다
진정한 행복을 생각해보는 인포그래픽 지도
여러분은 행복한 나라를 어떻게 정의하시나요?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는 정치인들의 이야기 중에는 경제 성장이라는 단어를 자주 듣게 되는데요. 경제 성장이 아닌 다른 항목으로 각 나라의 행복지수를 표현한 인포그래픽 지도 해피플래닛인덱스(Happy Planet Index)를 소개합니다. 지도를 만든 통계학자 닉 마크(Nic Marks)는 경제적 성장이 삶의 질 개선을 보여주기보다 인간의 욕심을 보여주는 데 가깝다고 생각했습니다. 지도를 보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삶의 만족도, 평균 기대 … [Read more...] about 진정한 행복을 생각해보는 인포그래픽 지도
육지에 바다보다 더 많은 종류의 생물이 사는 이유
※ The Atlantic의 「Why Are There so Many More Species on Land When the Sea Is Bigger?」를 번역한 글입니다. 약 5억 년 전 수많은 생물이 탄생한 캄브리아기 대폭발 때만 하더라도 지상에는 생물이 살지 않았습니다. 식물과 동물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으며 삼엽충, 갑각류, 갯지렁이, 연체류 등으로 가득 찬 바닷속과 육지는 비할 바가 아니었습니다. 오늘날 존재하는 동물의 다수는 이때 바다에서 탄생한 생물이 진화한 … [Read more...] about 육지에 바다보다 더 많은 종류의 생물이 사는 이유
실리콘밸리 디자이너 취업기
지금 회사에 들어온 지도 1년이 다 되어간다. 진행했던 몇몇 프로젝트가 쇼케이스로 공개되고 제품화되는 걸 보면 나름대로 어느 정도 적응했다고 생각한다. 입사 후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정신없이 지내온 탓에 그 과정을 따로 정리해둔 것은 없었는데 머릿속에서 잊기 전에 정리해보고자 한다. 인터넷 여기저기서 얻은 정보와 조언에서 도움을 많이 받았기에 이 글도 누군가에게 도움 될 수 있다면 좋겠다. 준비 시기 개인적으로 구직 활동이라는 것은 거의 처음 해보는 일이었다. 한국에서 S사에 … [Read more...] about 실리콘밸리 디자이너 취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