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도미니크 보비는 세계적인 패션 잡지 《엘르》의 편집장이었다. 잘 나가던 그는 1995년 어느 날 쓰러진다. 뇌졸중이었다. 감금증후군(locked-in syndrome)으로 온몸이 마비됐다. 움직일 수 있는 신체 부위라고는 한쪽 눈꺼풀이 유일했다. 모두 절망할 때 그는 평생 하던 일에 다시 도전한다. 글쓰기였다. 눈을 깜빡여 알파벳 신호를 보냈다. 헌신적인 언어치료사와 당시의 첨단 의료 장비가 그를 도왔지만, 보비는 쉼 없이 눈을 깜빡여야 했다. 15개월 동안 무려 20만 번이나. 자전적 … [Read more...] about 스티븐 호킹과 패럴림픽
테크
마이크로 콘텐츠, 이해하고 사용하기
우리는 주로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야기를 접합니다. 많은 콘텐츠를 쉽게 접하지만 집중하는 시간은 줄어드는데요. 이런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 유형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마이크로 콘텐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마이크로 콘텐츠의 정의부터 장점, 제작 팁까지 소개합니다. 마이크로 콘텐츠란 콘텐츠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음악을 예로 들면, 과거에는 CD를 구매하여 전곡을 다 들었죠. 요즘은 하나의 음원을 선택적으로 듣는 것도 이에 … [Read more...] about 마이크로 콘텐츠, 이해하고 사용하기
당신이 인공지능에 관해 잘못 아는 10가지 미신의 진실
※ Gizmodo의 「Everything You Know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is Wrong」을 번역한 글입니다. 알파고(AlphaGo)와 이세돌의 바둑 대국 이후 인공지능을 향한 열기에 못지않게 사람들의 공포심 역시 높아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흔히 떠올리는 인공지능 미신을 하나씩 검토합니다. 미신 1. “우리는 절대 인간과 같은 지능을 지닌 인공지능을 만들 수 없다.” 진실: 이미 우리는 체스나 바둑 같은 게임, 주식 거래, 대화 등 여러 … [Read more...] about 당신이 인공지능에 관해 잘못 아는 10가지 미신의 진실
멋진 튜토리얼을 만드는 6가지 비결
게임이 원래부터 재미없어서 떠난다면 상관없지만 게임의 재미를 제대로 맛보지 못하고 떠난다면 얼마나 서글픈 일인가? 그래서 초반 재미를 충분히 느끼게 해야 하는 것이 게임 튜토리얼이다. 그렇다면 어떤 튜토리얼이 가장 좋은 튜토리얼인가? 〈킹 오브 파이터즈 98(이하 킹오파98)〉을 기준으로 어떻게 설계를 해야 좋은 튜토리얼인지 분석해 보았다. 1. 과유불급: 한 번에 하나씩 유저가 튜토리얼이 너무 복잡하다고 느끼고 SKIP을 눌렀다면 그다음 튜토리얼을 못 보고 넘길 확률이 … [Read more...] about 멋진 튜토리얼을 만드는 6가지 비결
SNS 상의 진실과 거짓, 구분할 수 있을까?
The Atlantic의 How to Start a Conspiracy Theory on Facebook를 번역한 글입니다. 2013년 세계경제포럼의 한 보고서는 “대량의 잘못된 디지털 정보”가 “현대 사회의 주요 리스크 가운데 하나”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셜네트워크는 구조적으로 공유에 최적화되어 있지만, 그 구조 자체가 좋은 정보와 나쁜 정보를 구분하지는 못하기 때문입니다. 페이스북은 친구들의 소식을 듣고 강아지 사진을 올리기에도 좋은 공간이지만, 루머와 거짓말, 음모론을 … [Read more...] about SNS 상의 진실과 거짓, 구분할 수 있을까?
편집디자인 작업 소요 기간, 얼마나 될까요?
작업 착수 전, 작업 일정에 대해 물어보시는 경우가 꽤 많은데요. 최소 몇 주/몇 달 정도 소요된다고 말씀드리면 “생각보다 오래 걸리네요.”라는 답변을 들을 때가 많습니다. 최소한의 디자인 작업 일정을 알면 고객도 작업자도 일정 때문에 어려움을 겪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에 작업 기간을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공통 사항 1. CI / BI CI / BI* 작업 기간은 사실 천차만별입니다. 짧게는 3~4주에 완료되기도 하지만 프로젝트 범위와 상황에 따 라 … [Read more...] about 편집디자인 작업 소요 기간, 얼마나 될까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스트림 스페이스’
스트림 스페이스(StreamSpace)는 영상 제작자들을 위한 비디오 스트리밍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을 이용해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막아내고, 중간 유통 단계를 거치지 않는 즉각적이고 투명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Problem: 문제는 무엇인가? 오늘날의 영화 산업은 심각하게 불균형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매년 제작되는 영화 중의 80%가 관객들에게 노출되지 못하며 영화 배급사의 선택을 받은 … [Read more...] about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스트림 스페이스’
UI/UX 디자이너가 되기 위한 7단계
※ Nicole Saidy의 「7 steps to become a UI/UX designer」를 번역한 글입니다. 지난 20년간 UI/UX 강의와 컨설팅을 하면서 수집했던 해외 자료를 저 혼자만 알기 아까워 공유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최근 많은 분에게 비슷한 질문을 받았습니다. “어떻게 하면 UI/UX 분야로 들어갈 수 있나요?” “저는 프로그래머/마케팅 매니저/소셜 미디어 전략 담당자인데 디자인에 대해 더 알고 싶습니다. 어디서 시작하면 … [Read more...] about UI/UX 디자이너가 되기 위한 7단계
역사상 가장 거대한 암모나이트 이야기
중생대를 대표하는 연체동물은 역시 암모나이트입니다. 하지만 앞서 소개한 것과 같이 암모나이트류가 등장한 건 고생대입니다. 이들은 적어도 데본기에 등장해서 빠르게 세력을 넓혀 두족류의 대표주자가 되었는데 사실 그 이유는 확실치 않습니다. 비록 껍데기(패각)의 모습은 좀 다르지만, 사실 생김새는 앵무조개류와 별 차이 없어 보이는 데다 현생 오징어, 갑어징어, 문어류의 조상과 비교해도 그렇게 특별한 장점이 있어 보이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생김새와는 달리 앵무조개보다는 문어, 오징어와 더 … [Read more...] about 역사상 가장 거대한 암모나이트 이야기
공학 전공이 내게 가르쳐 준 4가지
전자공학을 전공했던 대학 시절 나를 가장 괴롭게 한 것은 전공을 잘못 선택하지 않았나 하는 회의였다. 나름 열심히 정을 붙여서 공부하려고 했지만 내 가슴에 공학이 잘 와닿지 않았다. 그 고민은 석사 시절 본격적인 연구를 하면서 확신에 이르렀고 마침내 다른 전공을 다시 선택하려고 이곳저곳 기웃거렸다. 그런 방황의 과정을 거쳐서 다시 마음을 고쳐 잡는 데 3년이 걸렸다. 그동안 석사도 겨우겨우 따고 군 시절 방통대도 다녀 보았지만 다른 전공으로의 전이가 쉽지는 않다는 결론을 냈다. 그 후 … [Read more...] about 공학 전공이 내게 가르쳐 준 4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