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우리나라가 해방된 이후로 일본인들이 어떤 식으로 우리나라에 남아서 생활했고, 또 어떤 식으로 빠져나가 귀환해서 어떻게 살았는지 알고 있는 사람들은 드물다. 그런 면에서 『조선을 떠나며』라는 책은 그런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책 내용은 대부분 일본인들의 시점에서 그려진 회고담이다. 여기서는 책을 보면서 인상 깊었던 부분을 약간씩 발췌, 각색해서 올려본다. 좋은 책이니 관심 있으면 내용 전부를 보았으면 한다. 38선 이남의 일본인들 패전 당시의 … [Read more...] about 조선을 떠나며: 해방 이후 조선땅에 남은 일본인들의 삶 ①
사회
임금피크제 논란, 문제는 임금이 아니라 자본과 국가다
박근혜 대통령이 노동자들을 이미 못살게 굴고 있지만, 더 적극적으로 못살게 굴겠다고 말했다는 속보를 접하면서 이 글을 쓴다. 김기덕 변호사의 글에서 시작해보자. 이 글은 현재 도입이 강요되고 있는 임금피크제에 대한 반대 논리를 아주 모범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럼 임금피크제는 무조건 반대해야 하는가? 나는 꼭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임금피크제의 이론적 한계 무엇보다 김기덕 변호사의 설명대로, 임금피크제는 전통적인 '임금기금(wage fund)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 [Read more...] about 임금피크제 논란, 문제는 임금이 아니라 자본과 국가다
한국과 비슷한 크기의 나라들은 인구가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와 비슷한 땅덩이를 가진 나라들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까? 다 대한민국만큼 한 오천만 명 정도 되는 사람들이 오밀조밀 모여 살까? 그런 의문에서 시작한 조사. 재미로 한 번 봐보자. 우선 한국 상황을 살펴보자. 대한민국 총면적: 100,283 ㎢ (2014년. e-나라지표 기준) 총인구: 51,431,100 명 (2015년 6월, 행정자치부 자료) 대략 기억하기 쉽게, 면적은 10만 제곱킬로미터, 인구는 약 5천만 명이라고 기억하고 넘어가 보자. 다른 나라들 면적과 인구는 … [Read more...] about 한국과 비슷한 크기의 나라들은 인구가 얼마나 될까?
나라별 ‘세계 1위’로 보는 세계지도
한국은 '일 중독'(...) 북한은 '검열(censorship)' ─ 약한데? 요덕 수용소쯤은 나와주어야... 일본은 '로봇', 남극은 '황제펭귄'으로 유명하다고. 북아메리카 미국 - 노벨상 수상자 수, 잔디깎이로 인한 사망자 1위. 뉴스룸은 역시 거짓말쟁이였군! 캐나다 - 메이플 시럽과 소행성 충돌 1위 멕시코 - 벼락 맞기 1위 쿠바 - 야구 온두라스 - 살인(...) 코스타리카 - 행복도 1위 파나마 - 군대(국방) … [Read more...] about 나라별 ‘세계 1위’로 보는 세계지도
황교익의 “맛없는 치느님”에 대한 비판적 읽기
※ 이 글은 다음 스토리볼에서 연재 중인 황교익 칼럼니스트의 <한국인의 '먹방'> 제17화, "치느님 치느님 맛없는 치느님"에 대한 비평문입니다. 1. "치느님 치느님 맛없는 치느님" 요약 사람들이 치킨을 맛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많이 주어져 있어서 구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는 사람들의 '안정 욕구'와 관련이 있다. 또한 사람들의 보수적·체제 순응적 성향상, 값비싼 쇠고기보다는 값싼 치킨을 먹으며 "이 정도면 맛있지"라고 자기 최면을 걸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치킨은 맛없는 … [Read more...] about 황교익의 “맛없는 치느님”에 대한 비판적 읽기
[납량특집] 사라진 문재인의 얼굴
지난 4일, 북한이 설치한 목함지뢰가 폭발해 두 장병이 다리를 잃는 사건이 발생했다. 반복되는 도발과 교전 속에 이렇듯 언제나 가장 먼저 다치는 건 최전선의 젊은 장병들이다. 우리는 언제까지 이런 비극을 반복해야만 하는 걸까? 그들의 노고와 희생에 감사와 위로를. 사건이 공개되자 기업과 정치인을 포함해 각계각층의 위로와 응원, 그리고 방문이 이어졌다. 언론 또한 그에 맞춰 여러 보도를 쏟아냈다. 1등신문 조선일보 역시 최신 트렌드에 맞춰 카드뉴스 형태로 소식을 전했는데... 응? … [Read more...] about [납량특집] 사라진 문재인의 얼굴
“왕좌의 게임” 인권보고서: 웨스테로스의 인권침해 실태
Winter is coming <왕좌의 게임(Game of Thrones)>은 작가 조지 R.R 마틴이 쓴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를 제작사 HBO가 영상으로 옮긴 미국드라마입니다. 2011년 4월 시즌1 방영을 시작으로 2014년 현재 시즌5까지 방송되었는데,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HBO의 역대 최고의 히트작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왕좌의 게임>은 중세 유럽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웨스테로스’라는 가상세계를 배경으로 한 판타지 드라마입니다. … [Read more...] about “왕좌의 게임” 인권보고서: 웨스테로스의 인권침해 실태
솔직히, 핑크의자에 못 앉겠다
포털 사이트 메인에 핑크색 의자 사진이 올라왔다. 서울시는 기존에 엠블럼 스티커만 부착돼 있던 배려석이 크게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배려석에 주목도를 높이기 위해 좌석과 등받이, 바닥까지 '분홍색'으로 연출키로 했다는 것이다. 이 사진을 보고 나는 경악했다. “아, 이제 저 자리는 정말 못 앉겠다.”싶었다. 내 생각과는 달리 임신부들은 핑크 의자를 매우 반기는 것 같다. 그러나 나는 저 사진을 보자마자 ‘이제 나는 노약자석에 더는 갈 수 없으며 일반 승객들의 눈치를 더 봐야겠구나’하는 … [Read more...] about 솔직히, 핑크의자에 못 앉겠다
“집밥 백선생”에 대한 비판이 왜 문제인가
설탕의 귀환 음식이나 식재료의 사용을 두고, '이건 옳고 저건 그르다'는 식으로 선악을 판단할 수는 없다. 문제는 양이지 음식이나 성분 자체가 아니다. 예를 들어, 과잉의 설탕이 해롭긴 한데, 얼마만큼이 과잉인지 정할 때는 논란이 많다. 설탕 자체가 안전역이 넓다. 대부분의 비타민은 설탕만큼 안전역이 넓지 않다. 양으로 치면 과잉의 설탕보다 과잉의 비타민이 훨씬 해롭다. 과학적으로는 설탕은 나쁘고, 비타민은 좋다고 말할 만한 근거가 없다. 사회적으로는 얼마든지 선 긋기가 가능하다. 위계질서를 … [Read more...] about “집밥 백선생”에 대한 비판이 왜 문제인가
‘막다른 일자리’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감동적인 대자보 사진이 화제다. 연세대의 ‘기숙사 청소·경비 노동자 일동’ 명의로 쓴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라는 제목의 대자보다. 비뚤지만 정성 들여 쓴 글씨가 빼곡히 들어차 있었다. 이야기는 역설적이게도 해고 통보로부터 시작됐다. 지난해 말 학교 쪽은 청소용역업체 선정 과정에서 예산을 줄였다. 선정된 용역업체는 72명의 청소·경비 노동자 가운데 23명을 해고하기로 했다. 결국 파업에 돌입했고, 학생들과 동문들이 나서면서 학교 쪽이 고용 유지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청소노동자 월급은 … [Read more...] about ‘막다른 일자리’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