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생활

‘요섹남’이 되기 위한 11가지 조언

2015년 8월 7일 by 김택환

‘요섹남’이 되기 위한 11가지 조언

저는 매주 요리를 합니다. 요리 시작한 지는 벌써 3년이 됐는데, 심한 아토피로 아무 음식이나 먹을 수 없는 큰딸아이가 계기였습니다. 최근에 요리를 주제로 하는 많은 콘텐츠들이 쏟아져나오고, 관심을 갖는 분들도 많이 계신 것 같아 오늘은 요리를 하면서 깨닫게 된 몇 가지 교훈들을 나누려고 합니다.   1. 처음 하는 요리는 레시피에 충실합니다. 요리를 처음 해보는 사람이 처음 접하는 요리를 레시피 없이 하는 건 천부적인 재능이 없이는 거의 불가능 합니다. 그래서 레시피를 충실히 … [Read more...] about ‘요섹남’이 되기 위한 11가지 조언

우리들의 집은 얼마나 당연한 것일까?

2015년 8월 4일 by 격암

우리들의 집은 얼마나 당연한 것일까?

어떤 집에서 어떤 삶을 사는지가 가족을 바꾼다. 칸막이가 없는 거대한 스튜디오 식 아파트에 가족이 모두 같이 살 때와 칸칸이 나누어져 프라이버시가 좀 더 강조되는 집에 살 때의 가족의 모습은 다를 수밖에 없다. 인간은 자신의 생활 방식에 따라 집을 만들어 왔고 반대로 집에 맞춰서 생활해 오기도 했다. 그런데 그 생활양식이란 게 그렇게 빨리 변하진 않는다. 집을 짓는 양식도 그렇다. 그러다 보니 생각과 집의 구조와의 차이가 발생하기 쉽다. 관례에 따라 이건 원래 그렇다고 하는 것이 알고 보면 큰 … [Read more...] about 우리들의 집은 얼마나 당연한 것일까?

‘백종원 현상’이 보여주는 현실: ‘집밥’은 ‘노동’이다

2015년 8월 3일 by 임예인

‘백종원 현상’이 보여주는 현실: ‘집밥’은 ‘노동’이다

아마도 황교익의 글에서 촉발되었을 '백종원 논란'은 크게 두 가지 갈래로 나뉘는 것처럼 보인다. 첫 번째는 맞벌이가 일반화되면서 엄마의 집밥을 먹지 못한 젊은 세대가 백종원을 대체 엄마로, 백종원의 요리를 대체 집밥으로 여긴다는 것이다. 황교익 칼럼을 거칠게 요약하면 대강 이런 이야기가 될 것이다. 이 칼럼이야 까이고 까였으니 또 깔 필요가 있나 싶다. 집밥을 엄마, 여성의 몫으로 한정지은 것은 황교익 칼럼의 가장 큰 한계다. 칼럼이 '진짜 엄마한테 진짜 엄마 손맛을 배우면 어떨까' 같은 … [Read more...] about ‘백종원 현상’이 보여주는 현실: ‘집밥’은 ‘노동’이다

임금피크제와 한국 IT 업계

2015년 7월 30일 by 빈꿈

임금피크제와 한국 IT 업계

요즘은 그래도 조금 나아져서 40대 중반까지 코딩하는 분들이 조금 보이긴 한다. 그렇다 해도 그 나이대 사람들이 예전에 꽤 많았던 것에 비하면 다들 어디로 다 사라졌는지 의아할 지경. 그렇다고 딱히 20대가 새로 들어오는 것 같지도 않고. 이러다 점점 한국 IT 자체가 소멸하지 않을까 싶을 정도. 조금 다른 얘기를 하자면, SI 쪽은 나이 든 개발자들이 좀 있어도 소프트웨어 산업을 키우는 데 그리 큰 도움이 되질 않는다. 물론 프로젝트야 잘 하겠지만, 그들의 지식이 젊은 층에게 전수되지 않는다는 … [Read more...] about 임금피크제와 한국 IT 업계

경차 취득세 부활, 자동차 시장의 추이는?

2015년 7월 29일 by 성년월드 흑과장

경차 취득세 부활, 자동차 시장의 추이는?

2004년부터 사라진 경차 취득세가 내년부터 부활할지도 모른다. 행정자치부가 관련 면제 조항을 연장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단다.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지만, 어쨌든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논란이다. 박근혜 정권이 돈이 없긴 확실히 없나 보다. 이런 데까지 '형평성'을 들먹이면서 세금 면제 혜택을 없애려 하다닛! 근데, 이 "경차 취득세 면제 혜택"이라는 건 보수파 정당들이 시작한 감면 정책이라능. 보수 진보 할 것 없이 현재까지 계속 갱신된 이유는 그게 타당한 정책이었기 … [Read more...] about 경차 취득세 부활, 자동차 시장의 추이는?

길치 개드립 모음

2015년 7월 26일 by 리승환

길치 개드립 모음

[View the story ""길치" 관련 개드립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길치 개드립 모음

“한양의 길거리는 똥 천지였다.” (2)

2015년 7월 24일 by 만쭈리

“한양의 길거리는 똥 천지였다.” (2)

※ 「"한양의 길거리는 똥 천지였다." (1)」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서양의 화장실 동양과는 달리 서양에서는 화장실을 갖춘 집들이 적었다. 동양에 비해 인분을 거름으로 쓰는 시비법이 덜 발달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럼 어떻게 용변을 봤단 말일까? 그냥 밖에서 누거나 아니면 요강을 사용해서 버렸다. 어디다 버렸단 말인가? 그냥 아무 데나 버렸다. 강에다 버리기도 하고 그냥 길가에 버리기도 했다. 예컨대 17세기 스페인의 마드리드에서는 깊은 밤이 되면 갑자기 … [Read more...] about “한양의 길거리는 똥 천지였다.” (2)

서울에 산다는 특권

2015년 7월 21일 by 리승환

서울에 산다는 특권

지방과 다른 수도권 나는 "지방은 식민지"라는 강준만 교수의 말에 어느 정도 동의한다. 초중고를 경상도에서 나온 내가 볼 때, 지방의 진짜 문제는 '문화 자산'에서 나온다. 그냥 돈벌이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 자산이 없으니 아이들이 성장하기 힘들고 장기적으로 희망이 없어진다. 되짚어 보면 내게 몇 차례 컬처 쇼크가 다가온 적이 있었다. 초등학교 6학년 방학 때 꽤 잘사는 분당 고모 댁에 놀러 갔다. 놀러 갔지만 할 일이 없어서(...) 대형 학원에서 사교육을 받았다. 3일뿐이지만 어떻게 … [Read more...] about 서울에 산다는 특권

명품 브랜드 옷을 입고 면접을 보면 합격 확률이 높아진다?

2015년 7월 21일 by 뉴스페퍼민트

명품 브랜드 옷을 입고 면접을 보면 합격 확률이 높아진다?

※ 『Harvard Business Review』의 "Wearing Luxury Brands Makes You Seem More Qualified for the Job"를 번역한 글입니다. 능력, 스펙, 전공에 생김새까지 똑같은 두 사람이 같은 일자리에 지원해 면접을 치르는 상황을 가정합시다. 당신이 면접관인데, 이 두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은 중저가 브랜드인 H&M을, 다른 한 사람은 루이비통 옷을 입고 있습니다. 당신은 누구의 손을 들어주시겠습니까? 연세대학교와 미국 코스탈 … [Read more...] about 명품 브랜드 옷을 입고 면접을 보면 합격 확률이 높아진다?

당신이 말을 잘해야 하는 이유

2015년 7월 21일 by 채자영

당신이 말을 잘해야 하는 이유

요즘은 어딜 가나 말 잘하는 사람 천지다. 하지만 우리는 알고 있다. 단지 말을 '많이'한다고 해서 '잘'하는 것이 아니란 것을. 당신도 말을 잘하고 싶은가? 말을 '잘'하는 것은 과연 어떤 것일까? 그렇다면 그 전에 우리는 왜 말을 '잘'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바벨의 언어가 사라졌다 태초에 인간에게 완벽한 언어가 있었다. 인간은 살아있는 모든 것과 대화를 나눌 수 있었고 언어를 통해 모든 감정을 전달할 수 있었다. 벼를 베어낼 때 줄기들의 … [Read more...] about 당신이 말을 잘해야 하는 이유

  • « Previous Page
  • Page 1
  • …
  • Page 240
  • Page 241
  • Page 242
  • Page 243
  • Page 244
  • …
  • Page 299
  • Next Page »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