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구에서 업무를 보다 보면 정기적금과 정기예금을 두고 고민하시는 분이 있다. 그건 대부분 금리 때문인데, 모든 은행사의 정기예금 금리보다 정기적금 금리가 높기 때문이다. 보통 이런 식이다. A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1.3%면 정기적금 금리는 보통 1.8%다. 그래서 A은행을 이용하며 1200만 원이 있는 고객님은 정기예금으로 1200만 원을 한꺼번에 예치하는 게 유리할지, 1200만 원을 12개월로 나눠서 100만 원씩 정기적금을 가입하는 게 유리할지 고민하신다. 이렇게 목돈이 있을 때 … [Read more...] about 정기적금과 정기예금, 어느 쪽이 이자를 더 많이 받을까?
경제
비트코인 5년 존버기
벼락부자 vs 벼락거지. 처음에 '벼락거지'라는 단어를 접했을 때는 그 신박함에 무릎을 쳤습니다. 그러나 이런저런 글도 접하고 주변 분위기를 보니, 이게 그냥 웃을 일이 아니란 생각이 들더군요. 벼락부자의 카운터 워드인 벼락거지, 의미심장한 단어입니다. 돈값이 너무 싼 세상이 되어가고 (낮은 이자율), 월급만 제자리걸음이다 보니 (저만 그런 것은 아니죠?) 어찌 보면 우리 모두 투자에 등 떠밀려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투자를 한다기 보단 투자 당한달까요? 직장생활 16년 하면서 이렇게 … [Read more...] about 비트코인 5년 존버기
일본의 현재가 우리의 미래일까?
만일 지금 나이가 65세 이하이고 선진국에 살고 있다면, 여러분에게는 문제가 있다는 뜻이 된다. 여러분이 속해 있는 사회는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고, 부양비(dependency ratio. 생산가능인구(15~64세)에 대한 유소년인구(0~14세)와 고령인구(65세 이상)의 합의 백분비로, 인구의 연령구조를 나타내는 지표)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사회적 교제와 연금 혜택이 줄어들거나, 노동 연령 인구와 연급 수급자 모두에게 세금이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어느 … [Read more...] about 일본의 현재가 우리의 미래일까?
지금의 젊은 세대는 부자가 되기 더 어려워졌을까?
※ A WEALTH OF COMMON SENSE에 기고된 「Is It Harder For Young People to Get Rich Today?」을 번역한 글입니다. 지난 주말 열린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에서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는 비트코인에서 종목 선택, 지난 1년 동안 투기의 폭증과 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멍거의 의견 중 하나는 다음과 같았다. 현재 상황까지 나타난 한 가지 결과는 기본적으로 버니 샌더스가 이겼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것의 … [Read more...] about 지금의 젊은 세대는 부자가 되기 더 어려워졌을까?
‘원천징수는 삼쩜삼’만 아는 당신을 위한, 종합소득세 환급 간단 가이드
다들 3.3밖에 모릅니다 많은 사람들이 본업 밖에서 돈을 벌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투잡, 쓰리잡을 하는 사람도 있고요. 개발자가 귀한 요즘에는 프리랜서 개발자도 많고, 콘텐츠 사업이 흥하며 웹소설이나 웹툰 작가로서 부업을 영위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강연, 모델, 저술 활동 등은 뭐, 클래식이죠.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 이건 현대 사회의 법칙이죠. 하지만 부업으로 연 수천 수준의 소득을 벌어들이는 게 아닌 이상, 프리랜서로서 내가 버는 돈에 대해 세금 문제를 그렇게 본격적으로 … [Read more...] about ‘원천징수는 삼쩜삼’만 아는 당신을 위한, 종합소득세 환급 간단 가이드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 클릭 한 번으로 프리랜서 종소세 신고해 주는 ‘삼쩜삼’ 쓰고 환급금 돌려받자
코인보다도 핫한 서비스 ‘삼쩜삼’을 아시나요 카카오니 쿠키런이니, 팔만전자니 구만전자니, 비트코인이니 도지코인이니. 주변을 둘러보면, 주식에 코인으로 돈 벌었다는 얘기가 아주 난리들이다. 솔깃한 맘에 나도 슬쩍 손을 보태보지만, 머피의 법칙은 예외가 없다. 상승장은 끝나고 고점에 물려, 파란 나라를 보면서 돈을 빼지도 못하는 신세. 공돈 번다는 게 쉽지가 않다는 걸 다시금 깨닫는 계기만 되고 만다. 이런 세태를 자조적으로 풍자한 개그가 하나 있다. 혹시, ‘적금’이라는 상품을 아시는가? … [Read more...] about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 클릭 한 번으로 프리랜서 종소세 신고해 주는 ‘삼쩜삼’ 쓰고 환급금 돌려받자
나이 들어 자산 관리에 4S가 중요한 이유
노후 부동산 자산관리는 이익과 손실에 대한 접근, 투자 방식에서 젊은 시절 부동산 재테크와는 차이가 난다. 어찌 보면 당연한 말이겠지만, 부동산을 통한 노후 자산 설계는 수익보다는 안전하게 꾸려야 한다. 공격보다는 수성 전략이 되어야 한다. 은퇴 이후 투자에 실패하면 다시 일어서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또 나이 들어서는 인지능력이 떨어진다는 점, 부동산 관리의 어려움을 고려해 간단명료하게 포트폴리오를 짜는 것이 좋다. 노후자산관리의 최대의 적은 조바심이다. 섣부른 투자로 손해를 보기보다는 … [Read more...] about 나이 들어 자산 관리에 4S가 중요한 이유
USB를 4억이나 주고 산 이유
크게 2가지 이유에서 이 글을 씁니다. 요즘 미디어 곳곳에서 NFT 열풍을 보도하는데 왜 이렇게 뜨거운지, 왜 열풍이 불 수밖에 없는지 정리하고자 함입니다. 왜 NFT 코인 열풍이 불었을까요? 당연히 수익률이 좋기 때문입니다. 최근 3달 기준으로 적게는 10배, 크게는 2~30배까지 큰 수익률이 발생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불었던 테슬라 주식 열풍이나 작년 말 국내 우량주 열풍을 생각해 봐도 NFT 코인의 수익률은 가히 압도적입니다. 가상화폐는 실체가 없고, 블록체인 기술은 지나치게 … [Read more...] about USB를 4억이나 주고 산 이유
2020년, 억만장자들에게 엄청난 한 해였다
※ AXIOS에 기고된 「2020 was a great year for billionaires」을 번역한 글입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세계 경제가 좋지 않았던 해는 지구상에서 가장 부자들에게 오히려 기막히게 좋은 해였습니다. 오늘 포브스 지가 발표한 35번째 연례 세계 억만장자 목록을 보면, 지난해 이들의 순자산이 로켓처럼 치솟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1. 그들의 순자산은 전년도 8조 달러에서 지난해 13.1조 달러로 증가했다고 합니다(물론, 모두가 추정치입니다). … [Read more...] about 2020년, 억만장자들에게 엄청난 한 해였다
교외 땅 투자,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퇴행적 투자인 이유
신도시 보상을 노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의 투기 의혹이 매스컴을 도배했다. 일탈 행위에 국민들의 거센 비난이 쏟아졌다. 향후 신도시 개발을 위한 보상 계획은 전면 수정될 가능성이 있고, 보상을 겨냥한 땅 투기는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그들은 왜 낮은 보상가의 신도시 땅을 살까? 일반적으로 신도시 개발을 염두에 두고 투자한다면 지구 밖의 땅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마련이다. 지구 안의 땅은 수용할 때 보상가가 주변 시세보다 낮기 때문이다. 보상가는 대체로 감정평가를 통해 … [Read more...] about 교외 땅 투자,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퇴행적 투자인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