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FA(자유계약) 선수들의 몸값이 화제다. 그런데 포지션별로 몸값 상승의 온도차가 느껴진다. 아래 현상들을 보자. 1. 비슷한 스펙, 오르지 않은 외야수들의 몸값 2013년의 이용규-이종욱과, 2014년의 김강민-박용택 중 어느 '콤보'가 더 마음에 드시는지? 나이는 2013년의 '이-이'콤보가 어리지만, 공격력과 건강은 후자가 압도적이었다. (수비력은 객관적 잣대가 없다) 그런데 FA 계약으로 번 돈은 1년 전 '이-이' 콤보가 더 … [Read more...] about 투수를 키울 줄 모르는 리그의 FA 시장
전체글
사업계획서를 써서 생각의 근육을 길러보자
지금까지 기업이 시작되기 위한 조건으로서 창업가 (혹은 기업가), 고객, 그리고 이윤을 살펴 보았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이러한 모든 것을 한번에 엮어 낼 수 있는 능력이다. 아무리 훌륭한 창업가라고 해도 자신의 아이디어와 능력, 그리고 그것을 알아봐 줄 수 있는 고객, 그리고 그들로 인하여 창출되는 사업기획을 하나로 풀어내지 못하면 기업을 만들어 낼 수 없다. 이러한 모든 것을 하나의 이야기로 풀어낸 것을 우리는 일반적으로 사업계획서 혹은 비즈니스 플랜이라고 한다. 물론 … [Read more...] about 사업계획서를 써서 생각의 근육을 길러보자
남자라면 꼭 읽어야 할 단편 소설 명작 9편
이 소설을 읽고 페이스북 페이지에 소설의 원제와 감상평을 남겨주신 분 중 30분을 추첨하여 라쉬반 SOS 키트를 드립니다. 1. 오늘도 또 우리 국방색 빤쓰가 막 쫓기었다. 이번에도 사각 빤쓰가 쌈을 붙여 놨을 것이다. 빠짝빠짝 기를 올리느라고 그랬음에 틀림없을 것이다. 나흘 전 그 건만 하더라도 국방색 빤스는 저에게 조금도 잘못한 것은 없다. 너 혼자만 일하니, 일하기 좋니 잔소리를 두루 늘어놓다가 제 허리춤을 불쑥 들어올리더니, “느 허리엔 이거 없지?” 하고 명품 … [Read more...] about 남자라면 꼭 읽어야 할 단편 소설 명작 9편
천만 영화의 흥행공식 10가지
2004년 <실미도>가 최초로 천만 관객을 달성한 이래 10년이 지났다. 그동안 <태극기 휘날리며> <아바타> <광해: 왕이 된 남자> <명량> 등 12편의 천만 관객 영화가 탄생했다. 천만 명이 관람하는 영화는 뭐가 다를까? 애초에 천만 영화를 기획한다고 해서 의도대로 흥행에 성공할 수 있을까? 천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들의 공통점 10가지를 꼽아봤다. (이 글은 영진위 전종혁 연구원의 분석을 참고했다.) 1. … [Read more...] about 천만 영화의 흥행공식 10가지
혁신을 위한 제1의 토대 “공감”
빌 카터(Bill Carter)는 ‘사회적 기업’이란 말을 1980년 빌 드레이튼(Bill Drayton)에게 처음 들었다고 합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빌 드레이튼이 만든 말이었기 때문입니다. “사회적 기업가? 도대체 무슨 뜻이에요?” 라고 빌 카터는 되물었고 지금까지 두 명의 빌은 아쇼카 재단을 만들어서 전 세계에서 뛰어난 사회적기업가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일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변화를 만들어 가는 사람들은 미친 사람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2013년에는 아쇼카 … [Read more...] about 혁신을 위한 제1의 토대 “공감”
정윤회 파동 5대 체크포인트
‘세계일보’가 ‘정윤회 감찰보고서’를 입수해 보도한 후 엄청난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물론 이 파장의 한 가운데를 관통하는 것은 국정농단 여부입니다. 정윤회 씨와 이른바 ‘문고리 3인방’이 공조직을 무시하고 국정을 농단했는지가 핵심문제입니다. 오늘 ‘이슈독털’에서는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캐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사건의 실체가 온전히 드러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이번 파장을 읽는 데 도움이 될 체크포인트를 추출해보도록 하죠. 국정농단 의혹사건의 대강을 읽기 위해서는 먼저 지난 3월로 … [Read more...] about 정윤회 파동 5대 체크포인트
한국에서 대학 포기하고 배관공 되면 안 되는 이유
마이클 블룸버그 전 미국 뉴욕시장은 좋은 대학에 못 갈 거면 배관공이 되라고 조언했다. 블룸버그는 또 기술의 발달로 요즘 중산층 직업의 돈벌이가 예전만 못해졌지만 배관공 같은 직업은 과거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로펌에서도 이제는 버튼 하나만 누르면 분석 자료를 얻을 수 있다"며 "과거엔 견습 변호사들이 책을 뒤져 만들던 자료였다"고 덧붙였다. 이에 동의하는 사람들도 있다. 동의하는 사람들이 간과하는 한국의 현실 선진국에서는 육체 노동자가 상대적으로 … [Read more...] about 한국에서 대학 포기하고 배관공 되면 안 되는 이유
기독교, 그리고 서북청년단의 탄생
우리 현대사에 명멸해간 단체들은 수도 없이 많다. 해방 공간에서 우후죽순처럼 돋아났던 각종 단체들의 가입 인원들을 합치면 총 인구를 훌쩍 뛰어넘을 정도지만 제법 그럴 듯해 보이다가도 역사의 거센 물결 속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진 모래성같은 단체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그 가운데에 실로 악마적으로, 그리고 깊숙하고도 굵직하게 우리 현대사에 남은 단체가 있다. 그 이름에서는 아직도 피비린내가 나고 탄내가 가시지 않는다. 바로 서북청년단이다. 평양의 기독교 청년들, 남한으로 … [Read more...] about 기독교, 그리고 서북청년단의 탄생
날씬한 스타트업이 능사는 아니다
이 내용은 All Things Digital에 2010년 3월 17일에 게재되었으며, 원문은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경기 불황과 첨단기술 회사의 운영이 이에 대응하는 방법에 대해서 많은 글과 말이 있었습니다. 가장 유명한 경우로, Silicon Valley의 최고 VC인 Sequoia Capital이 2008년 가을에 전 CEO 참석을 필수로 요구한 미팅을 열고, 모든 CEO들에게 "지출을 줄여라. 살을 없애라. 자금을 보존해라"라고 조언했습니다. (여기에서 그 당시 … [Read more...] about 날씬한 스타트업이 능사는 아니다
중규직 탄생 개드립 모음
[View the story "중규직 탄생 개드립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중규직 탄생 개드립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