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에서 일상과 일정을 기록하는 중요한 도구인 노트. 여러분은 주로 어떤 노트를 사용하시나요? 기존의 틀과 선에서 벗어나, 노트의 형식과 그래픽으로 사용자의 새로운 상상력을 자극하는 노트 디자인을 소개합니다. 1. 삼각형 노트 노트는 꼭 사각형이어야 할까요? 고정관념을 깬 삼각형 모양의 노트입니다. 들고 다니기 편한 작은 크기로, 펼쳤을 때는 사각형이 되어서 기록을 할 때 적당히 넉넉하고 편한 공간이 확보됩니다. 삼각형의 노트를 들고 다니면 더 재미있는 생각이 많이 … [Read more...] about 상상력을 자극하는 노트 디자인
전체글
2016년 기대되는 과학계 소식들
※ nature의 "The science to look out for in 2016"를 번역한 글입니다. CO2 회수 산업 올해 7월 스위스의 클라임웍스는 매달 75톤의 CO2를 공기 중으로부터 회수해 농작물의 성장을 위해 이를 필요로하는 온실에 판매할 계획입니다. 캐나다 캘거리의 카본 엔지니어링은 지난 해 10월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고 있지만 아직 이를 판매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CO2를 액체연료로 만들 계획입니다. 유전자 … [Read more...] about 2016년 기대되는 과학계 소식들
스타트업을 위한 보도자료 쓰는 법 & 미디어 리스트 만들기
초기 스타트업은 보통 홍보부서를 따로 두지 않기에 마케팅 담당자가 몇 가지 PR 업무도 해야 하는데요. 그중 우리 스타트업의 소식을 언론에 알리는 보도자료 배포는 중요한 일 중의 하나죠. 저희도 총 15번 이상 보도자료를 냈고 감사하게도 전부 실렸습니다. 흙수저라 돈 낸 적 없이 모두 직접 했는데요. 오늘은 보도자료 쓰는 법과 미디어 리스트 만드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보도자료 작성법 막연한 분야라 낯설어서 그렇지 보도자료용 기사 쓰기는 사실 어렵지 않습니다. … [Read more...] about 스타트업을 위한 보도자료 쓰는 법 & 미디어 리스트 만들기
[반론] DBpia가 생각하는 학술생태계와 학술정보산업
※ 편집자 주: 이 글은 2016년 1월 29일에 게재된 begray 님의 「공공 데이터베이스와 지식생태계: 누리미디어와 한 국회의원에 관하여」에 대한 누리미디어의 반론입니다. DBpia 유료 논문을 처음 접한 연구자의 당혹스러움과 분노 대학 연구자는 이제까지 대부분의 국내 논문을 무료로 이용해왔다. 어떻게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지에 대해 생각할 것도 없이, 당연한 것처럼 이용해왔다. 그런데 갑자기 DBpia에 유료 논문이 등장하니 적잖은 연구자들이 당황했을 것이다. 그 … [Read more...] about [반론] DBpia가 생각하는 학술생태계와 학술정보산업
컨텐츠 마케터가 꼭 알아야 할 마케팅 심리학 7가지
모든 마케터들의 꿈은 하나다. 고객의 생각과 태도를 비즈니스에 호의적으로 변화시켜 궁극적으로 매출을 일으키는 것. 좋은 소식은 몇 가지 간단한 행동심리학 이론만 적용해도 성공적인 콘텐츠 마케팅의 로켓에 올라탈 수 있다는 것이다. 수많은 업체가 콘텐츠 마케팅을 이용해 자사 사이트로 고객을 유입하고, 관심을 일으키고, 소통을 강화하고, 뉴스레터 가입이나 다운로드 등의 행동을 일으키고, 궁극적으로 구매 결정을 유도한다. 이 모든 과정에 사실상 마케터의 개입은 거의 없다. 모두 소비자 스스로 직접 … [Read more...] about 컨텐츠 마케터가 꼭 알아야 할 마케팅 심리학 7가지
시장 붕괴와 주식 스캔들: 중국과 다른 신흥국들이 19세기 미국에서 배워야 할 교훈
Money Beat의 Market Crashes, Stock Scandals: Lessons From the U.S. Frontier를 번역한 글입니다. 정부는 교통 및 토지 개발에 대규모 과잉 투자를 단행했다. 은행 시스템은 비효율적이었고, 부패해 있었다. 주 정부들은 게걸스레 지방채를 찍어냈고, 뻔뻔스럽게 채무 불이행을 선언했다. 주식 시장은 병들어 있었고, 정실 인사와 내부자 거래 투성이었다. 주가는 급등했다가 다시 급락했다. 마치 요요처럼 말이다. 중국 얘기냐고? 아니다. … [Read more...] about 시장 붕괴와 주식 스캔들: 중국과 다른 신흥국들이 19세기 미국에서 배워야 할 교훈
데이터 과학자의 데이터로 책 쓰기: 데이터는 기획력과 감수성이다
"먼저 나에게 적용할 것, 반드시 성공할 것 그다음 상이한 조건에서 다른 사람이나 조직에 활용할 수 있는지 실험할 것 내가 가지고 있지도 않은 것을 나눠 주려는 잘못을 범하지 말 것" ─구본형 변화 경영 사상가로, 그리고 1인 기업가로 필자가 존경하는 고 구본형 소장님께서는 전문가로서 스스로에게 적용하는 원칙을 위와 같이 밝히고 있다. 무슨 일을 하든 스스로 선택한 길에서 전문가가 되고 싶다는 목표를 설정한 이래, 필자 역시 위의 가르침을 가슴에 항상 새기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 [Read more...] about 데이터 과학자의 데이터로 책 쓰기: 데이터는 기획력과 감수성이다
유럽, 구글과 애플의 조세 회피에 ‘구글세’를 빼들다
※ 『블로터』, Business Insider, Bloomberg의 기사를 토대로 작성된 글입니다. 세금을 내고 싶어하는 사람은 그 누구도 없습니다.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인 현상입니다. 현재 세계를 장악하고 있는 수많은 기업들도 모두 세금을 내기 싫어하며, 톡톡 튀는 아이디어만큼이나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세금 납부를 피하고 있습니다. 세금은 상대성이 있습니다. 좋게 말하자면 절세이고, 나쁘게 말하자면 탈세입니다. 국가의 수입에서 가장 큰 부분을 … [Read more...] about 유럽, 구글과 애플의 조세 회피에 ‘구글세’를 빼들다
며느리가 되지 않으려는 자, 그 불편함을 견뎌라
정말 여러가지 마음이 한번에 든다. 좋은 시부모님께 "평범한 며느리"로서 마음에 들고 싶은 마음, 근데 내 남친은 특별히 아무 것도 안해도 이미 "평범한 사위"가 되는 것에 대한 분노, 시부모님의 기대가 내 입장에서는 부당하지만 당신들 입장에서는 아니라는 것에 대한 이해. 하지만 그 모든 이해에도 불구하고 며느리로 살고 싶지 않고, 그럴 수 없는 나를 안다. 이 불편함들이 내가 … [Read more...] about 며느리가 되지 않으려는 자, 그 불편함을 견뎌라
전체 전력의 42%를 풍력으로 충당하는 덴마크
유럽의 작은 부국인 덴마크는 천연자원이 풍부한 국가는 아니지만, 한 가지 자원만큼은 매우 풍부합니다. 그 자원은 바로 바람입니다. 특히 해상 풍력 발전을 할 수 있는 바람이 강하게 부는 북해와 인접한 것이 큰 자원입니다. 사실 덴마크는 베스타스(Vestas) 같은 대형 풍력 발전 회사를 가지고 있는 풍력 발전 강국입니다. 덴마크 정부는 차세대 대체 에너지로 풍력을 적극 개발하고 있습니다. 덴마크 정부의 발표에 의하면 2015년 덴마크 전체 전력의 42.1%는 풍력으로 충당되었다고 합니다. … [Read more...] about 전체 전력의 42%를 풍력으로 충당하는 덴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