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한국 진출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에 많은 사람들이 한국 IT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소리없는 강자로, 꾸준하게 자기 페이스를 지켜가며 성장하고 있는 내실 있는 멋진 회사라 생각합니다. 그런 회사가 한국에 진출한다는 소식은 기대와 우려가 한꺼번에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과연 한국IT판도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지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1. E커머스 영역 - 온라인 쇼핑에 변화를 가져올까? 글쎄? 아마존은 쇼핑으로 가장 유명한 … [Read more...] about 아마존 한국 진출이 가져올 6가지 변화와 한계
테크
싸고 좋은 개발자를 구하기 위한 7가지 팁
1. 싸고 좋은 개발자는 경력 있는 신입사원과 같다. 모두가 찾지만 어디에도 없다. 2. 개발자 시장은 마치 연애시장과 같다. 좋은 개발자는 이미 짝이 있다. 3. 싸고 좋은 개발자를 뽑을 수도 있다. 하지만 곧 좋은 오퍼를 받고 이직할 것이다. 4. 어리고 예쁜 여자를 꼬시듯, 젊고 똑똑한 개발자를 키울 수도 있다. 물론 키우고 나면 이직할 것이다. 5. 혈연과 학연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인간관계 파탄은 염두해 두자. 6.억울하면 직접 개발을 배워라. 도산 안창호 … [Read more...] about 싸고 좋은 개발자를 구하기 위한 7가지 팁
국제표준 무시하고 HWP를 고집하는 정부
한 국가의 문서는 최소한 백 년, 이백 년 갈 것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일개 기업은 몇 년이나 지속될까. 한글 워드프로세서가 기념물로 인정받는 것은 좋다. 하지만 그렇다고 hwp 파일만을 고집하는 것은 문제다. 다른 곳도 아닌,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일반에게 배포하는 문서가 특정 기업의 제품에서만 읽고 쓸 수 있는 파일포맷이라니. 공공성을 위한다면, 더욱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 그러니까 한글 워드프로세서 뿐만 아니라, MS … [Read more...] about 국제표준 무시하고 HWP를 고집하는 정부
IT 강국 대한민국, 기적의 테크놀로지 TOP 5
세계를 한국의 IT가 주도하고 있다. IT의 집약체라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은 애플을 멀찌감치 따돌리고 세계 최고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윽고 갤럭시 기어를 내놓으며 애플보다 한 발 앞서 스마트워치 시장에 진입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삼성전자 뿐이 아니다. 한국은 과거부터 위피, 공인인증서, 샵메일 등 세계 최고의 기술을 주도적으로 개발하여 세계에 널리 퍼트렸다. 그러나 사람들은 갤럭시 기어, 위피, 공인인증서, 샵메일 같은 최고의 기술만 기억한다. 백조는 수면 위에서 우아하게 … [Read more...] about IT 강국 대한민국, 기적의 테크놀로지 TOP 5
일본의 자살 인간 기뢰 “후쿠류(伏龍)”
후쿠류(伏龍)는 일본의 이른바 본토결전을 위한 장비였다. 발안 자체는 1944년경에 이미 나왔지만 실제로 미군의 본토 상륙거부를 위한 장비로서 대량 생산에 대한 검토가 들어간 것은 1945년 2월경이 되어서였다. 밀폐식 잠수복은 2개의 3.5리터 용량의 압축 산소통, 잠수함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화학식 공기정화 장치, 그리고 고무튜브를 통해서 공급되는 유동식 식량 등을 장비하고 있었다. 유효 잠수 심도는 15m였으며, 15m 깊이에서 다시 수면으로 올라올 때는 … [Read more...] about 일본의 자살 인간 기뢰 “후쿠류(伏龍)”
애니팡 표절에 실드를 쳐보자
기사 내용에 일부 사실관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의해 기사 내용 일부를 수정하였습니다. 국민게임이라고 불리며 카카오톡게임하기의 신화를 만들어냈던 애니팡의 후속작이 나왔다. 그런데 이 게임은 나오자마자 전방위로 까이고 있다. 왜 까이는지는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미 스마트폰 게임의 신화가 되어버린 King의 '캔디크러쉬사가(이하 캔크사)'를 그대로 카피&페이스트 했기 때문이다. 애니팡2가 유독 비난을 받는 것은 크게 3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1. 애니팡2가 … [Read more...] about 애니팡 표절에 실드를 쳐보자
IT 양대막장: 금융권과 대기업 시스템에 사고가 터지는 이유
금융권과 대기업, 그리고 어딘가를 엮어 'IT 3대 막장', 또는 'SI 3대 막장'이라고 한다. 혹은 3대 지옥, 던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뭐라고 불리든 핵심은 같다. SI 바닥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영혼을 빨아먹는 막장 업체들을 뜻한다. 시간이 흐르면 조금씩 바뀌기는 하는데, 현재 1, 2위는 대략 공통된 의견들이다. 3위로 거론되는 업체들이 여럿 있는데, 내 견해는 걔네들 모두를 공동 3위로 올리는 게 합당하다고 본다. SI 바닥에서 조금 굴러본 개발자라면, '내 죽어도 … [Read more...] about IT 양대막장: 금융권과 대기업 시스템에 사고가 터지는 이유
점유율 논쟁이 놓치고 있는 것들
시장 점유율의 함정: 10명 중 8명이 안드로이드를 쓴다고? (원문)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간단한 개념 하나 소개하자. 소프트웨어 그리고 IT 산업을 이해하는 핵심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의존성이다. 간단히 말해서 A의 입출력이 B의 입출력에 따라 결정될 때, A는 B에 의존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운영 체제는 cpu에 의존한다. cpu마다 거기에 맞는 명령 코드셋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cpu의 명령 코드셋이 바뀌면, 운영체제 역시 거기에 맞게 고쳐 줘야 한다. 응용 … [Read more...] about 점유율 논쟁이 놓치고 있는 것들
구글의 배신: 통신사 여러분, 어서 와~ 을은 처음이지?
최근 한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구글이 플레이스토어의 판매수익 분배율을 바꾸겠다고 통보했다고 한다. 이 사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얘기를 해보고자 한다. 다음은 한국일보 기사의 내용이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앱 장터인 ’플레이스토어’에서 팔리는 유료 앱의 판매수익은 우선 개발자가 70%를 갖고 나머지 30% 가운데 27%는 이동통신사가 3%는 구글이 갖는 구조다. 일반 상점에 비유하자면, 구글은 장터 소유자이고 이동통신사는 판매자이다. 그런데 구글은 최근 … [Read more...] about 구글의 배신: 통신사 여러분, 어서 와~ 을은 처음이지?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는 국민연금과 같다
흔히 자연과학에 대한 것을 국가발전 혹은 경제발전의 원동력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자연과학의 발전은 경제발전의 원인이라기보다는 결과에 가깝다고나 할까. (기술과 결부돼서 이야기되곤 하고, 현대사회에서 과학과 기술의 경계를 무 자르듯 나누기 힘든 면이 있긴 하지만, 과학 != 기술) 즉, 국가가 융성하고 경제가 발전한 그 부수적인 요인으로 자연과학이 발전하는 것이지 그 역의 효과는 생각만큼 크지 않다. 경제대국은 과학대국이 아니다 예를 들자면, 천조국의 위엄 … [Read more...] about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는 국민연금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