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indizio님이 올해 4월에 발행한 글을 재편집한 글입니다. 정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사고 팔려는 사람이 많으면 이미 화폐 최근 비트코인(bitcoin)이라는 디지털 화폐가 화제다. 비트코인은 인터넷상에만 존재하는 가상의 화폐, 디지털 화폐다. 네이버 고스톱 칠 때 쓰는, 혹은 리니지 게임에서 쓰는 아덴 같은 사이버머니와 다를 바가 없다. 사실 지금 우리가 쓰는 달러, 원, 유로 같은 화폐도 이젠 다 디지털 화폐다. 동전이나 지폐로 유통되는 부분은 굉장히 적고, 대부분의 … [Read more...] about 금과 비트코인: 가치와 가격은 다르다
테크
트윗으로 보는 트위터의 역사
2006 공동 창업자들[1]의 첫 트윗. 당시엔 트위터를 “Twitter”가 아닌 “twttr”로 불렀음. just setting up my twttr — Jack Dorsey (@jack) March 21, 2006 just setting up my twttr — Biz Stone (@biz) March 21, 2006 just setting up my twttr — noah glass (@noah) March 21, 2006 just setting up my … [Read more...] about 트윗으로 보는 트위터의 역사
비트코인 이해를 위한 8가지 질문과 답변
요새 한창 세계적으로, 전자화폐 '비트코인'이 붐업중이다. 뭔가 대단한 것 같은데다가 중요하게 논의되어봐야 할 것 같은데 많은 언론보도들에 도대체 무슨 소리인지 알 길 없이 “우와 퍼즐 풀면 돈 나오는거래!” 식의 호들갑으로 일관하고 있기에, 경제학이나 전산과정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만으로도 전체 그림 정도까지는 그려볼 수 있을 아주 간략한 스케치를 문답 형식으로 정리해본다. 물론 더 깊이 파고들고 싶다면, 더 심층적인 문헌들로 관심을 더욱 뻗쳐나가시길 권장한다. 이런 것만 읽고 대출 땡겨서 … [Read more...] about 비트코인 이해를 위한 8가지 질문과 답변
정보기관의 감시를 피하는 방법 – PRISM BREAK
지난 6월, 미국 국가 안보국(NSA)의 요원이었던 에드워드 스노든은 NSA의 감시체계인 PRISM이 전 세계를 감시하고 있다고 폭로했습니다. PRISM은 인터넷 서비스망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할 뿐 아니라, 각 기업의 서버에 (법원의 영장이 없이도!) 직접 접근해 원하는 정보들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 국민이 아니라면 전 세계 누구라도 NSA의 온라인 사찰을 피할 수 없다는 의미였죠. 심지어 독일, 프랑스, 멕시코 같은 우방국 정상들조차도. PRISM 외에도 … [Read more...] about 정보기관의 감시를 피하는 방법 – PRISM BREAK
‘게임 중독법’이 아니라, ‘인터넷 통제법’이다
2013년 현재, 새누리당이 당론으로 내세우며 국회의원들이 일련의 법안을 몇 개 만들었다. 이것이 지금 IT 업계를 강타하고 있는데, 이 상황을 나름대로 한 번 정리해보겠다. 게임 중독법에 미디어 컨텐츠 포함 사태의 핵심에 있는 법안은 뭐니뭐니해도 소위 '게임 중독법'이라 불리는 법안이다. 신의진 의원(새누리당 비례대표 의원)이 대표발의를 해서, '신의진 법'이라 불리기도 하는 이 법의 정식 명칭은 '중독 예방ㆍ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이다. 이 법안의 핵심은 마약, … [Read more...] about ‘게임 중독법’이 아니라, ‘인터넷 통제법’이다
부모와 아이, 그리고 게임개발자에게 필요한 것
아이들의 모든 문제는 부모님의 관찰과 결정을 중심으로 정부, 게임계, 학계, 의료계, 교육계가 도움을 드려야 하는 문제입니다. '문제를 만들고 훈계하고 돈을 받아가는' 규제산업 종사자들은 부모님들의 눈을 가리고 게임을 공동의 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게임 문제'를 해결하는 자리에 '게임 제작자'가 빠지면 어떻게 해결을 하나요? 신의진 중독법은 게임과 미디어콘텐츠를 모두 '중독유발물질'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아닌, 이 문제의 진짜 당사자인 부모와 아이들, 그리고 게임 개발자에게 … [Read more...] about 부모와 아이, 그리고 게임개발자에게 필요한 것
게임 개발자가 학부모님께 드리는 편지
게임 개발자는 아이가 게임에만 빠지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게임은 '중독성 있는 컴퓨터 놀이'가 아닙니다. 게임은 '주어진 자원을 바탕으로 당면한 장애를 극복하고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의사결정과 기술적 행위로 구성된 놀이'입니다. 말은 길지만, 애니팡을 할 때 이미 무의식적으로 다 진행하신 것입니다. 사실 이 구조는 우리가 인생을 살아갈 때, 더 나아지기 위해 반드시 행해야 하는 행동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게임은 인생에 대한 훈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게임 기획자이기 때문에 게임의 … [Read more...] about 게임 개발자가 학부모님께 드리는 편지
3D 프린트 포머스팜 윤정록 대표 인터뷰
[note note_color="#ffffff" radius="10"]편집자의 리승환의 말 : 이웃이라는 이유로 광고비도 없는 광고글을 투척하고서는 뻔뻔스럽게 실어달라는 주문이 들어왔다. 굉장히 부적절한 글이지만 학연, 혈연만큼이나 지연이 중요한 나라인지라, 용산구민의 온정으로 한 번 싣도록 한다. 참고로 돈만 주시면 광고글, 홍보글 다 실어 드립니다. 이 말이 하고 싶었다[/note] 포머스팜과 3D프린터에 대해서 질문이 있으시면 썰타임에서 물어보세요. 3D … [Read more...] about 3D 프린트 포머스팜 윤정록 대표 인터뷰
여성지에 게임 칼럼을 넣어주세요
서점의 잡지코너에 가보면 여성잡지가 가득 있습니다. 여성중앙, 여성조선, 주부생활, 리빙센스, 우먼센스... 잡지는 주로 주부들이 흥미를 느낄 것 같은 정보와 이야기가 실려있습니다. 연예인 인터뷰, 자식교육에 대한 이야기, 자녀들과 같이 가면 좋을 것 같은 전시회 정보라던가. 가족들과 함께할 여행지 정보, 친구들과 갈 수 있는 맛집... 가끔은 침대 위 이야기들도 있죠. 그런데 아직 게임에 대한 이야기는 없어요. 왜 여성지에 게임에 대한 이야기를 넣어야 하는지 이야기해 볼까요? 시간이 … [Read more...] about 여성지에 게임 칼럼을 넣어주세요
게임 중독법 비판 트윗 모음
[View the story "게임 중독법 비판 트윗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게임 중독법 비판 트윗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