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사회

2015 수능 개드립 모음

2015년 11월 13일 by 리승환

2015 수능 개드립 모음

[View the story "2015 수능 개드립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2015 수능 개드립 모음

판교 현대에서 배우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교훈 3가지

2015년 11월 13일 by 허양일

판교 현대에서 배우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교훈 3가지

스타트업 관련된 일 한다는 사람이 왠 대기업 비즈니스의 핵심인 백화점 이야기를 하는지 의아해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이 ‘백화점’이란 것은 시장에서 근대화된 가장 대표적인 비즈니스모델이자 꽤 긴 역사와 배울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비즈니스의 보물창고다. 사실 오프라인에서는 가장 큰 플랫폼 비즈니스인 셈인데, 온라인 미디어의 대표격인 TV 채널을 포함해 가장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자, 대다수의 스타트업들이 이런 플랫폼 비즈니스를 노리고 사업을 준비하고 있기에 꼭 한 번 … [Read more...] about 판교 현대에서 배우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교훈 3가지

‘송곳’의 메시지에는 좌우가 없다

2015년 11월 13일 by Nasica

‘송곳’의 메시지에는 좌우가 없다

제가 미국으로 출장 와서 TV를 보니 True Detective라는 드라마를 하는데, 오프닝에 나오는 랩송이 굉장히 인상적이었습니다.  일부 가사를 못 알아 들어서 가사를 인터넷에서 뒤져 보니, 인상적인 이유가 있더군요. 레오너드 코헨이 짓고 부른 노래였습니다. The war was lost The treaty signed I was not caught I crossed the line I was not caught Though many tried I live among … [Read more...] about ‘송곳’의 메시지에는 좌우가 없다

강한 것들을 위해서만 민감한 사회에 대하여

2015년 11월 13일 by 한지은

강한 것들을 위해서만 민감한 사회에 대하여

하위문화가 아닌 대중문화에서는 욱일기(きょくじつき)가 아니라 그 비슷한 문양의 옷만 등장해도 논란이 되고, 책임자들이 사과를 한다. 그럴 때 사람들은, 한국에서 욱일기를 내걸 '표현의 자유'나, 더 멋진 표현을 위해 욱일기를 넣은 '맥락'을 말하지 않는다. "빨간 원과 직선들이 왜 꼭 제국주의의 상징이죠? 저는 그냥 예쁜 해로 보이는데요"라고 말하지도 않는다. "그 문양이 실제 누구에게 피해를 주나? 현존하는 제국주의 피해자가 몇이나 있나?"라거나, "사회적으로 무해한 제국주의 상징의 기준이 … [Read more...] about 강한 것들을 위해서만 민감한 사회에 대하여

헬조선 흙수저/금수저론의 통계적 근거

2015년 11월 13일 by 바이커 sovidence

헬조선 흙수저/금수저론의 통계적 근거

 2006-08 2009-11 2012-14 변화  20대  .241 .410 .381  .140 (65.4%)  40대  .489 .544 .512  .023 ( 4.7%) 이 표는 가계동향조사의 시장소득(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합)을 개인 단위로 변환한 후 연령대별 불평등 정도를 구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지니계수가 아니라 VarLog라고 불리는 로그 전환 소득의 분산이다. VarLog도 불평등 지수에서 요구되는 척도 불변성(scale invariance) 등의 … [Read more...] about 헬조선 흙수저/금수저론의 통계적 근거

왜 인도 여성들은 일하지 않을까?

2015년 11월 12일 by 뉴스페퍼민트

왜 인도 여성들은 일하지 않을까?

※ 이 글은 하버드대학 교수인 로히니 판데(Rohini Pande)와 하버드 인도 프로그램 디렉터인 트로이어 무어(Troyer Moore)가 뉴욕타임즈에 기고한 「Why Aren't India's Women Working?」을 번역한 것입니다. 대체로 개발도상국가에서 경제 성장은 여성들을 위한 일자리를 더 창출합니다. 하지만 2004~2011년 인도 경제가 연간 7%씩 성장하는 동안,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는 31%에서 24%로 7%p나 감소했습니다. 여학생들의 교육 수준이 빠르게 높아지고 … [Read more...] about 왜 인도 여성들은 일하지 않을까?

종교의 암흑기, 중세와 지금

2015년 11월 12일 by 최주훈

종교의 암흑기, 중세와 지금

중세는 암흑기가 아니다. 종교심이 충만했던 시기이다. 그러나 중세는 암흑기다. 한국교회는 암흑기가 아니다. 종교심은 여전히 충만하다. 그러나 암흑기다. 돌파구는 없는가?   1. 중세는 암흑기가 아니다. 중세는 거의 완벽한 종교세계였다. ‘요람에서 무덤까지’ 교회가 책임지는 성례전 시스템은 중세인들의 삶의 기초가 어디에 있었는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중세인들의 종교적 열정과 열심은 대단했다. 예를 들어, 중세 초기 기독교는 무엇보다 수도원 중심이어서 경건의 삶과 예배에 대한 … [Read more...] about 종교의 암흑기, 중세와 지금

네, 가능합니다. 와이낫?

2015년 11월 12일 by 마냐

네, 가능합니다. 와이낫?

그래요, 사는 건 늘 고달파요. 스무 살 존슨씨, 파트타임 버스 기사로 일하는 싱글맘과 시카고에 사는 청년. 집에서 90분 떨어진 맥도널드로 출근을 합니다. 주당 25~28시간을 8.25 달러의 시급으로 일하면 주급은 대략 200달러. 7월에 시카고 최저임금이 시급 10달러로 인상됐습니다. 그도 살림살이 좀 나아지는가 했죠. 커뮤니티 칼리지라도 진학할 수 있을까 잠시 설레이기도 했죠. 그런데, 그는 주당 8시간 밖에 일을 얻지 못했어요. 주당 72.50달러를 벌죠. 근무시간을 늘려주겠다는 상사의 … [Read more...] about 네, 가능합니다. 와이낫?

한국 경제는 진짜 망하고 있나

2015년 11월 12일 by 유춘식

한국 경제는 진짜 망하고 있나

최근 이런저런 자리에서 한국 경제에 대해 국내에서 일고 있는 걱정과 비관론을 접하다 보면 과장되거나 근거가 약한 주장이 꽤 널리 퍼져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수출마저 경쟁력을 잃어 급격히 수출이 악화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또 성장률이 지나치게 둔화하고 있어 한국 경제의 앞날은 암울하다는 걱정도 있다. 이런 말을 들으면서 과연 얼마나 근거 있는 주장인지 살펴보기 위해 몇 가지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1. … [Read more...] about 한국 경제는 진짜 망하고 있나

여기 어때, 그 불편함에 대하여

2015년 11월 11일 by 박진아

여기 어때, 그 불편함에 대하여

웃긴 것은 사실이다. 이 광고영상을 볼때 피식이나마 웃지 않을 수 없다. 남자의 가슴에 뜨거운 불을 지피는 박기량의 은근한 신호와 유병재라는 불가항력의 캐릭터가 표현한 너도 알고 나도 아는 그 야릇하고도 짜릿한 분위기. 10초 남짓한 영상이지만 모텔앱의 유머러스한 자기소개로는 충분하고도 넘친다. 그러나 무엇인가가 석연치 않다. 뭔가 불편하다.   하고 싶다고 왜 말을 못해 남녀를 불문하고 '우리 섹스하자!'라고 말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그걸 어떻게 잘 표현하느냐에 따라 목적달성의 … [Read more...] about 여기 어때, 그 불편함에 대하여

  • « Previous Page
  • Page 1
  • …
  • Page 217
  • Page 218
  • Page 219
  • Page 220
  • Page 221
  • …
  • Page 301
  • Next Page »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