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팅에서 까였던 어느날 이야기 안녕하세요, ㅍㅍㅅㅅ와 어벤져스쿨 대표 이승환입니다. 제가 몇달 전, 소개팅해서 까였는데요. 여자분이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저는 대표님처럼 남들 안 하는, 자기가 하고 싶은 일 하는 분 보면 너무 존경스러워요." 의례적인 멘트이지만, 멋있게 답할 수 있었겠죠. 하지만 저도 모르게 이렇게 얼버무리게 되더라고요. "아뇨, 무슨... 그냥 빚쟁이에요. 매달 적자 보고..." 그리고 그녀와의 카톡은 지금도 1이 남아 … [Read more...] about 소개팅에서 백전백승하는 법 “오빠 직업? 그냥 취미삼아 영화관에 투자하고 있어”
경제
창업 정책에 대하여
꽤 예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창업 정책은 (R&D 정책과 함께) 일자리 (실업) 정책과 혼동되었다. 창업해 본 결과 일자리의 이동과 밀어내기의 비중이 컸다. 일자리의 이동 : 일자리를 가졌던 사람이 여하한 이유로 (창업된) 다른 일자리로 옮기는 것. 즉, 우리 땅 안에서 A 회사에서 B 회사로 일자리를 옮기는 거라 이런 사업은 일자리도 별로 안 늘어난다. O2O 사업에서 이런 일이 많다. 업의 본질이었던 시장이 크게 바뀌지 않기 때문에. 일자리 밀어내기 : 특히 퇴직자들이 … [Read more...] about 창업 정책에 대하여
성심당은 어떻게 동네 빵집을 넘어 지역 경제를 이끄는 로컬 기업이 됐을까?
SBS 19대 대통령 선거 개표 방송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대전의 투표율을 소개하는 장면에서 이곳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많은 사람이 이 가게 앞에 줄을 서 있는 장면이었는데요. 바로 ‘성심당’입니다. 지역을 대표하는 장소 또는 사건으로 꾸몄던 SBS의 지역별 배경 애니메이션에서 대전 지역의 대표 장소는 당당하게 성심당이 차지했습니다. 특정 상점이 지역 전체를 대표한 장면은 대전의 성심당이 유일했습니다. 성심당은 대전을 대표하는 60년 전통의 빵집입니다. 1955년 창업주 고 … [Read more...] about 성심당은 어떻게 동네 빵집을 넘어 지역 경제를 이끄는 로컬 기업이 됐을까?
산업혁명 당시 영국의 임금이 상승하고 일자리가 늘어난 이유는?
기술혁신이 거듭됨에 따라, 기계가 인간을 대체하고 사람들은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요즘 흔히 듣는 이야기들입니다. 그런데 이 대목에서 한 가지 고민해봐야 할 것은 '역사'의 경험이 아닐까 싶습니다. 18세기 말,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벌어질 때 똑같은 일이 벌어졌는데 왜 영국 사람들은 더 부유해졌고 또 고용이 증가했느냐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 비밀을 풀어볼까 합니다. 18세기 영국 런던과 중국 베이징 사람들의 최저생계비 대비 실질임금의 배율은 아래 '그림'과 같았습니다. 여기서 … [Read more...] about 산업혁명 당시 영국의 임금이 상승하고 일자리가 늘어난 이유는?
금리가 상승하면 부동산 시장이 붕괴된다?
제 블로그에 들르시는 분 중에 부동산에 대해, 특히 서울 부동산에 대해 혐오감을 가진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이런 분들의 주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서울 수도권 부동산 가격 상승의 주된 원인은 저금리 때문이며, 저금리 기조가 사라지는 순간 버블이 녹아버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금의 부동산시장 붐은 착시에 불과하니, 절대로 따라가면 안 된다. 뭐, 흥미로운 주장입니다. 그러나 이상의 주장은 거시경제학의 기본적 가정을 송두리채 부정하는 것입니다. 아래 식을 한번 보시죠. … [Read more...] about 금리가 상승하면 부동산 시장이 붕괴된다?
채권을 알면 거시경제가 보인다: ‘매크로인컴’ 한상경 대표 인터뷰
1. 잘나가던 금융인, 전업투자자가 되다 리승환(이하 리): 지금 어떤 일을 하고 있나요? 한상경(이하 한): 전업투자자… 라고 남들은 부르는데, 반백수라고 볼 수도 있네요. 리: 몇 시간이나 일하시죠? 한: 시장이 열리는 날은 특별한 일이 없으면 사무실에 있어요. 하루 8~9시간 앉아 있는 셈이죠. 공식적으로 회사에 매여 있지 않으니 백수라고 봐도 되겠지만, 사무실에 꼭 일하러만 나오는 건 아니에요. 사무실 사람들과 얘기도 하고 밥도 먹고. 말하자면 사랑방인 … [Read more...] about 채권을 알면 거시경제가 보인다: ‘매크로인컴’ 한상경 대표 인터뷰
주식, 채권, 환을 활용한 리밸런싱: 『마법의 돈 굴리기』 저자 김성일 인터뷰
1. 자산배분 책을 낸 IT 엔지니어: 분산투자가 핵심 리승환(ㅍㅍㅅㅅ 대표, 이하 리): 어떤 일을 하고 계시나요? 김성일(『마법의 돈 굴리기』 저자): 은행에서 IT 관련 기획 쪽 업무를 맡고 있어요. 원래는 IT 엔지니어였는데, 회사에서 보내준 MBA에 다녀오고 나서 이쪽으로 업무가 바뀌었어요. 리: 그런데 어쩌다 자산배분 책까지… 김성일: 책을 쓴 이유는… 흔히들 경제, 주식 전문가라 하는 사람들이 언론에 많이 나와요. 그런데 이 사람들 하는 이야기가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 [Read more...] about 주식, 채권, 환을 활용한 리밸런싱: 『마법의 돈 굴리기』 저자 김성일 인터뷰
대한민국 대표 이코노미스트가 보는 한국 인구와 투자의 미래: 홍춘욱 박사 인터뷰
역덕이 경제계로 뛰어든 이유 리: 전망은 잘 맞는 편인가요? 홍춘욱: 전망은 원래 늘 틀리는 게 정상이에요. 중요한 건 왜 그렇게 전망했는지 근거를 밝히는 거예요. 전제가 틀렸다면 방향을 돌려야 한다는 걸 투자자들이 알 수 있도록 노력하죠. 리: 어쩌다 금융업계에 뛰어들게 되셨나요? 홍춘욱: 원래 사학과 출신이었어요. 역사에 이어 경제사에 관심을 가지게 됐어요. 예로 옛날 경기가 어땠는지 알기 위해 무덤을 조사해요. 건설현장에서 나오는 뼈를 보고 키를 추산하죠. 이를 시계열로 … [Read more...] about 대한민국 대표 이코노미스트가 보는 한국 인구와 투자의 미래: 홍춘욱 박사 인터뷰
아파트 매매, 분해와 전망에 대하여: ‘하나금융투자’ 채상욱 부동산 애널리스트 인터뷰
1. 명심하세요, 그래도 부동산은 오릅니다 리승환(이하 리): 무슨 일을 하고 있나요? 채상욱 (이하 채): 2011년부터 하나금융투자에서 건설, 부동산 섹터 애널리스트를 하고 있어요. 2004년부터 삼성물산에서 건설 기술직 공돌이였는데, 증권과 금융 쪽에 관심이 많아서 여기까지 왔네요. 리: 어쩌다 공돌이가 금융으로 흘러온 거죠? 채: 공돌이들이 돈에 큰 관심이 없어요. 그런데, 삼성물산 동기 중 한 놈이 재테크로 돈을 좀 많이 모았어요. 이때부터 일자무식에서 공부했죠. 지금은 … [Read more...] about 아파트 매매, 분해와 전망에 대하여: ‘하나금융투자’ 채상욱 부동산 애널리스트 인터뷰
숫자로 기업의 숨겨진 진실까지 찾아내라: ‘파인트리컨설팅’ 최병철 대표 인터뷰
재무제표에서 기업의 스토리를 읽어내는 사람 리가희(이하 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최병철(이하 최): 안녕하세요, 최병철입니다. 10년 차 회계사고요. 삼일회계법인에서 근무하다가 우연히 강의하게 되었는데 적성에 맞아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리: 지금은 주로 강의를 맡고 계신 건가요? 최: 그렇죠. 회계사는 기본적으로 '너희 회사가 준 자료가 과연 맞느냐'며 의심하는 일이거든요. 그런데 제 천성은 주로 사람을 믿는 편이라…. 성향과 안 맞는 부분이 있었어요. 그런데 강의는 … [Read more...] about 숫자로 기업의 숨겨진 진실까지 찾아내라: ‘파인트리컨설팅’ 최병철 대표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