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업들은 어떻게 부채의 산을 쌓았나? 한국이 가계부채 문제로 고심하듯, 중국은 기업 부채의 급격한 증가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중국의 GDP 대비 부채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기업이 부채 증가를 주도하고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대목에서 한 가지 의문이 제기된다. 2014~2016년 동안 세계의 교역량은 급격히 줄어들었고, 이 과정에서 중국의 경제성장률도 6%대로 내려앉았다. 경제성장이 가파른 고성장 시대에는 부채를 늘려 투자하는 게 타당한 의사결정이지만, 금융위기 이후 펼쳐진 … [Read more...] about 중국 기업들은 어떻게 부채의 산을 쌓았나
경제
왜 좋은 기업이 나쁜 투자 대상이 될까?
좋은 기업, 경영진 및 투자 대상 어떤 기업이 "좋은" 기업이 되려면 좋은 경영진이 있어야 하고, 어떤 기업에 좋은 경영진이 있다면 그 기업은 좋은 투자 대상이라는 논점을 이용한 투자 조언은 종종 좋은 기업, 좋은 경영진 및 좋은 투자 대상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위 논점은 옳지 않다. 하지만 왜 그런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무엇이 좋은 기업을 만드는가?’, ‘어떻게 기업이 좋은 경영진을 갖췄는지 알아보는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좋은 투자 대상이 되기 위한 요건은 무엇인가?’를 … [Read more...] about 왜 좋은 기업이 나쁜 투자 대상이 될까?
당신이 모르는 코스트코 가격표에 숨겨진 비밀
대용량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창고형 할인 전문 마트 코스트코(COSTCO). 코스트코 직원들이 알려주는 더 싸고 알뜰한 쇼핑을 도와줄 꿀팁을 지금부터 알아볼까요. https://youtu.be/3xC7dNK_gtY 똑똑한 소비로 코스트코의 백미를 맛보는 법. 이제 아시겠나요? 눈속임에 속지 않고 현명한 소비자가 되는 법! 잊지 마시고 활용하세요! 원문: 쉐어하우스 … [Read more...] about 당신이 모르는 코스트코 가격표에 숨겨진 비밀
한국 부동산 시장을 지배하는 요소, 공급
부동산 시장에 대한 시리즈 글 세 번째, 마지막 편입니다. 앞의 두 편 ‘금리가 상승하면 부동산 시장 붕괴된다?’와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을 통해서 한국 부동산 시장에서 금리나 경기 등의 수요 요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다음 순서로 공급 요인이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위 그림은 주택 인허가 실적 및 한국 주택 가격 상승률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한국 주택 시장이 매우 효율적이며 또 탄력적이라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주택 … [Read more...] about 한국 부동산 시장을 지배하는 요소, 공급
이번주 주요 해외 기업 뉴스
*이 글은 The Economist의 Business This Week를 번역하여 옮긴 기사입니다. 1. 스페인의 가장 큰 은행인 산탄데르(Santander)가 요즘 위기에 처한 반코 포퓰러(Banco Popular)를 인수했습니다. 이번 인수는 상황이 어려운 유럽의 은행들을 구제하기 위한 계획의 첫 시작입니다. 악성 채권을 처리하지 못한 포퓰러의 주가는 최근 급격히 하락했습니다. 유럽중앙은행 산하 독립 기관인 단일정리위원회(Single Resolution Board, 이하 … [Read more...] about 이번주 주요 해외 기업 뉴스
미국-한국 해외송금 ‘소다트랜스퍼’ 사용기
미국과 한국 사이의 송금(wire transfer)은 소액이라도 650-1,000달러 기준으로 보내는 쪽 약 10-15달러, 받는 쪽 약 10-15달러, 도합 30달러 정도의 수수료를 낸다. 액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수수료도 당연히 증가한다. 아깝지 않은가. 고작 100달러 보내자고 30%나 되는 수수료를 낸다. 이만한 비능률이 있을까. 오랜 시간 동안 한국과 미국을 오가면서 송금을 하고 받을 일이 참 많았다. 고등학교부터는 생활비를 송금 받았고, 대학교 다닐 때는 한국에 있으면서 미국 계좌로 … [Read more...] about 미국-한국 해외송금 ‘소다트랜스퍼’ 사용기
90일 완성, 돈 버는 평생 습관 만들기
일본 대표 재무 컨설턴트이자 작가가 말하는 저절로 돈이 모이는 초간단 재테크 어릴 때 나의 꿈은 부자가 되는 일이었다. 돈 문제로 괴로워하지 않는 삶을 살고 싶었다. 그래서 지금도 나는 매주 복권을 꾸준히 구매하고 있고, 최대한 효율적으로 돈을 사용하기 위해서 가계부를 쓰면서 돈 관리를 하고 있다. 아마 나만 아니라 많은 사람이 기본적인 돈 관리는 하고 있지 않을까? 그러나 우리는 재테크 도서를 읽거나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 아무리 돈 관리를 하더라도 쉽게 목돈을 모으지 못한다. 도대체 왜 … [Read more...] about 90일 완성, 돈 버는 평생 습관 만들기
신용카드와 핀테크의 미래
각종 온·오프라인 미디어는 물론 대선후보까지 언급하면서 4차 산업혁명은 거의 모든 곳에서 쓰이는 용어가 되었다. 기존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산업혁명을 3차 산업혁명이라 한다면 4차 산업혁명은 요즘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용어인 빅데이터, 인공지능, 딥러닝, 블록체인 같은 기술이 기존 산업과 융합되거나 제품 및 서비스와 연결되어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한다. 거의 모든 산업이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발맞춰 가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고 변화할 산업은 금융업이라고 … [Read more...] about 신용카드와 핀테크의 미래
감세는 왜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 옮긴이: 만화로 알기 쉽게 설명한 복스의 해설 기사를 소개합니다. 원문의 그림을 함께 보며 글을 읽어 내려가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겁니다. 원문에서 샌드위치로 설명한 모든 것은 번역의 편의상 김밥으로 바꿨습니다. 미국 경제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김밥이 샌드위치보다 어색하긴 하지만, 전반적인 조세 형평성 문제나 세제 개편, 세수 확대 및 증세와 감세 문제 등에서 우리나라가 겪고 있는 고민과도 닿아있다는 점에서 화폐를 김밥으로 바꿔 묘사했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 [Read more...] about 감세는 왜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왜 영국만 18세기에 실질임금이 상승했을까?
일전에 소개했던 글 ‘세계경제사 - 산업혁명 당시 영국의 임금이 상승하고 일자리가 늘어난 이유는?’에서 동양에 비해 서유럽, 특히 영국 런던의 실질소득이 높았던 것이 산업혁명 발생의 이유였다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그 논리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산업혁명 이전 시절, 대부분의 나라에서 자본은 희소하고 대신 노동력은 풍부했다. 따라서 어떤 일을 함에 있어서 기계를 투입하느니 남아도는 인력을 활용하려는 방향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서유럽, 특히 영국은 지속적인 실질임금의 … [Read more...] about 왜 영국만 18세기에 실질임금이 상승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