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지나갈 때쯤 이직에 대한 상담이 많이 옵니다. 최근에는 입사지원서 혹은 자기소개서의 형태로도 많이 들어오는 이런 편지들을 읽으며 대견한 후배들이 많다는 생각을 합니다. 언제쯤 우리도 저런 인재들을 마음껏 뽑을 수 있을까 하는 아쉬움을 느낍니다. 한 분이 쓴 긴 편지의 끝에 이런 문장이 있었습니다. "울분을 토해내듯 글을 썼습니다. 그것은 제 지난 삶에 대한 후회이기도, 제 무능함에 대한 분노이기도, 제가 품은 꿈에 대한 간절함 이기도 합니다." 아마 30세를 전후한 분들은 많이 … [Read more...] about 이직을 고민 중이신 서른 즈음의 후배들에게
경제
아시아의 경제적 부상, ‘저성장’은 필연이 아니다
2017년에 본 책 중에 재미있는 책이 많았지만, 그중에서 가장 많은 인사이트를 준 책은 세계은행연구소 수석 경제학자인 브랑코 밀라노비치가 쓴 『왜 우리는 불평등해졌는가』(Global Inequality: A New Approach for the Age of Globalization)였다. 그 책은 글로벌 불평등에 관한 책이기도 했지만, 글로벌 경제성장에 관한 책이기도 했다. 경제성장과 불평등 발생의 상호관계와 세계화는 언제 발생하는지, 향후 세계 경제의 성장률 전망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 [Read more...] about 아시아의 경제적 부상, ‘저성장’은 필연이 아니다
상속세가 산업을 붕괴시키는가? : 프랑스 샤또의 사례
요즘 네이버 뉴스 댓글을 보면 진보파와 보수파가 전쟁을 벌이는 것이 눈에 확연하게 보입니다. 제가 보니 보수파의 댓글 부대도 이젠 MB나 503은 완전히 포기한 것 같고(…) 그냥 현 진보파 정부를 공격하는 것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는 와중에 진보 댓글파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독자들은 주목하지 않는데도 보수 댓글파가 매우 격렬하게 반응하며 댓글과 '좋아요'를 눌러대는 기사가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바로 상속증여세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이건 매우 흥미로운 … [Read more...] about 상속세가 산업을 붕괴시키는가? : 프랑스 샤또의 사례
싱글맘, 높은 빈곤율의 원인?
※ 사회학자 데이비드 브레이디(David Brady), 라이언 M. 피니건(Ryan M. Finnigan), 사빈 휘브젠(Sabine Hübgen)이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Single Mothers Are Not the Problem」을 번역한 글입니다. 미국인에게 '가난'이라는 단어를 연상시키는 사회 집단은 아마도 '싱글맘'일 것입니다. 수십 년간 정계와 언론계, 학계에서는 왜 가난한 커플이 피임에 실패해 아이를 낳고, 결혼하지 않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 [Read more...] about 싱글맘, 높은 빈곤율의 원인?
스타트업은 투자에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하는가
스타트업은 투자에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하는가? 투자는 왜 받아야 하는가? 언제 받아야 하며 얼마나 받아야 하는가? 1년에 300개 이상의 스타트업이 투자 및 컨설팅을 요청하기 위해 우리에게 찾아온다. 투자를 왜 받아야 하는지, 지금이 적기인지, 그리고 얼마나 필요한지 물어보면 대답은 제각각이다. 1. 투자받는 목적은 무엇이어야 하나? 이 질문은 투자받는 목적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 같은 투자를 받아 같은 용도로 사용하더라도 그 결과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투자받는 … [Read more...] about 스타트업은 투자에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하는가
부자들은 도대체 얼마나 부유할까?
※ 이 글은 보스톤칼리지의 길 맨존 주니어 교수가 컨버세이션에 기고한 「How rich are the rich? If only you knew」을 번역한 글입니다. "가난한 사람들이 부자들이 실제로 얼마나 돈이 많은지 알게 되면 당장 곳곳에서 폭동이 일어날 것이다." 배우이자 코미디언인 크리스 록이 2014년 <벌처>와의 인터뷰에서 갈수록 벌어지는 빈부 격차에 관해서 했던 말입니다. 이 말은 실로 정곡을 찌르는 말이 아닐 수 없는데, 이는 불평등을 연구하는 이들이 … [Read more...] about 부자들은 도대체 얼마나 부유할까?
인정하시라, 우리는 투자로 부자가 될 수 없다
안녕하세요, 상당히 자극적인 제목으로 글을 시작했습니다. 다만 몇 가지 조건을 추가하면 해당 제목은 자극적인 제목이 아니라 지극히 합리적인 제목이 됩니다. 첫 번째는 '단기간에'라는 조건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사실 이미 제목에 녹아 있는 말입니다만 '자본금이 충분히 크지 않다면'이라는 조건입니다. 두 번째 조건이 사실 이미 제목에 녹아 있다고 표현한 이유는, '자본금이 충분히 크다면' 이미 당신은 부자이기 때문에 부자가 '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자극적인 제목을 합리적인 … [Read more...] about 인정하시라, 우리는 투자로 부자가 될 수 없다
창업자를 파산자·사기 전과자로 만드는 정부의 엔젤투자매칭펀드 제도
엔젤투자매칭펀드가 아주 문제가 많다는 것은 익히 들어 알았지만 어제 지인에게서 들은 이야기는 너무 충격적이어서 글로 남긴다. 엔젤투자 문화조차 없는 한국에서 엔젤투자매칭펀드 제도는 사기꾼(블랙엔젤)들을 활개 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생각한다. ‘엔젤투자매칭펀드’란? 엔젤투자자가 창업 초기 기업(스타트업)에 먼저 투자한 후 매칭 투자를 신청하면 엔젤투자자와 해당 기업 평가 및 특이사항을 검토한다. 그를 통해 엔젤투자자와 같은 조건의 기업 가치와 금액을 매칭해 투자하는 … [Read more...] about 창업자를 파산자·사기 전과자로 만드는 정부의 엔젤투자매칭펀드 제도
2018년에 주목해야 할 블록체인 스타트업 TOP 8
비트코인을 필두로 암호화폐가 연일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거래에 대해 ‘투기 광풍’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리는 한편, 이 새로운 기술이 어떻게 세상을 바꿔 나갈지 기대에 찬 목소리도 들리고 있지요. 블록체인을 응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움직임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그 움직임을 생생히 느낄 수 있지요. 작년 말부터 암호화폐, 블록체인 관련 프로젝트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번 1월에는 작년 동월 대비 21배나 많은 암호화폐 관련 프로젝트가 … [Read more...] about 2018년에 주목해야 할 블록체인 스타트업 TOP 8
평창동계올림픽에선 ‘사회적 경제 가치’가 메달과 함께 빛난다
강원도·사회적 경제 지원센터, ‘올림픽 특수’ 이용 사회적 기업 판로 확대에 팔 걷어붙여 “올림픽 기간 강원도 방문객, ‘강원곳간’ 들려주세요” 9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25일까지 이어지는 ‘2018평창동계올림픽’에서는 ‘사회적 경제 가치’가 더욱 빛날 전망이다.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도 사회적 경제 기업 지원 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쳐온 강원도가 이번 올림픽 특수를 놓치지 않고 사회적 경제 기업 성장과 위상을 확대하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어서다. 9일 강원도와 … [Read more...] about 평창동계올림픽에선 ‘사회적 경제 가치’가 메달과 함께 빛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