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업이 '사회적(Social)'임을 강조하다 보니 사회적 기업에 범용이 아닌 '전용' 컨설턴트가 필요하다고는 생각이 있는 모양이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도 엄연히 '기업(enterprise)'이다. 특히 국제개발협력 분야는 국내에서보다 훨씬 어려운 여건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열정에 들뜬 아마추어가 아니라 기업 활동에 정통한 프로페셔널 컨설턴트가 더욱더 필요하다. 최근 국제개발협력계에서도 사회적 기업을 비롯한 사회적 경제 방식을 적용하려는 노력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런데 좀 위험해 보일 … [Read more...] about 사회적 기업도 ‘기업’이다
경제
부동산 보유세에 대한 고찰: 서울과 뉴욕, 두 도시 이야기
국가 및 도시의 물가를 비교하는 통계 사이트 NUMBEO를 보다 보면 각국의 도시의 물가는 가끔 꽤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준다. 물론 같은 나라, 같은 도시, 같은 마을 안에서도 입지에 따라 주택의 가격은 상이하고 대파 한 단의 가격은 우리 동네 이마트와 그 담장 너머 전통시장 사이에도 격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통계를 맹신하는 것은 조심해야 한다. 하지만 해당 지역 및 사회의 경향성 측면에서 보면 어느 정도 고민할 가치가 있다. 한국의 수도 서울과 미국의 경제 수도라 할 수 있는 … [Read more...] about 부동산 보유세에 대한 고찰: 서울과 뉴욕, 두 도시 이야기
이직을 고민 중이신 서른 즈음의 후배들에게
겨울이 지나갈 때쯤 이직에 대한 상담이 많이 옵니다. 최근에는 입사지원서 혹은 자기소개서의 형태로도 많이 들어오는 이런 편지들을 읽으며 대견한 후배들이 많다는 생각을 합니다. 언제쯤 우리도 저런 인재들을 마음껏 뽑을 수 있을까 하는 아쉬움을 느낍니다. 한 분이 쓴 긴 편지의 끝에 이런 문장이 있었습니다. "울분을 토해내듯 글을 썼습니다. 그것은 제 지난 삶에 대한 후회이기도, 제 무능함에 대한 분노이기도, 제가 품은 꿈에 대한 간절함 이기도 합니다." 아마 30세를 전후한 분들은 많이 … [Read more...] about 이직을 고민 중이신 서른 즈음의 후배들에게
아시아의 경제적 부상, ‘저성장’은 필연이 아니다
2017년에 본 책 중에 재미있는 책이 많았지만, 그중에서 가장 많은 인사이트를 준 책은 세계은행연구소 수석 경제학자인 브랑코 밀라노비치가 쓴 『왜 우리는 불평등해졌는가』(Global Inequality: A New Approach for the Age of Globalization)였다. 그 책은 글로벌 불평등에 관한 책이기도 했지만, 글로벌 경제성장에 관한 책이기도 했다. 경제성장과 불평등 발생의 상호관계와 세계화는 언제 발생하는지, 향후 세계 경제의 성장률 전망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 [Read more...] about 아시아의 경제적 부상, ‘저성장’은 필연이 아니다
상속세가 산업을 붕괴시키는가? : 프랑스 샤또의 사례
요즘 네이버 뉴스 댓글을 보면 진보파와 보수파가 전쟁을 벌이는 것이 눈에 확연하게 보입니다. 제가 보니 보수파의 댓글 부대도 이젠 MB나 503은 완전히 포기한 것 같고(…) 그냥 현 진보파 정부를 공격하는 것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는 와중에 진보 댓글파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독자들은 주목하지 않는데도 보수 댓글파가 매우 격렬하게 반응하며 댓글과 '좋아요'를 눌러대는 기사가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바로 상속증여세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이건 매우 흥미로운 … [Read more...] about 상속세가 산업을 붕괴시키는가? : 프랑스 샤또의 사례
싱글맘, 높은 빈곤율의 원인?
※ 사회학자 데이비드 브레이디(David Brady), 라이언 M. 피니건(Ryan M. Finnigan), 사빈 휘브젠(Sabine Hübgen)이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Single Mothers Are Not the Problem」을 번역한 글입니다. 미국인에게 '가난'이라는 단어를 연상시키는 사회 집단은 아마도 '싱글맘'일 것입니다. 수십 년간 정계와 언론계, 학계에서는 왜 가난한 커플이 피임에 실패해 아이를 낳고, 결혼하지 않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 [Read more...] about 싱글맘, 높은 빈곤율의 원인?
스타트업은 투자에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하는가
스타트업은 투자에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하는가? 투자는 왜 받아야 하는가? 언제 받아야 하며 얼마나 받아야 하는가? 1년에 300개 이상의 스타트업이 투자 및 컨설팅을 요청하기 위해 우리에게 찾아온다. 투자를 왜 받아야 하는지, 지금이 적기인지, 그리고 얼마나 필요한지 물어보면 대답은 제각각이다. 1. 투자받는 목적은 무엇이어야 하나? 이 질문은 투자받는 목적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 같은 투자를 받아 같은 용도로 사용하더라도 그 결과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투자받는 … [Read more...] about 스타트업은 투자에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하는가
부자들은 도대체 얼마나 부유할까?
※ 이 글은 보스톤칼리지의 길 맨존 주니어 교수가 컨버세이션에 기고한 「How rich are the rich? If only you knew」을 번역한 글입니다. "가난한 사람들이 부자들이 실제로 얼마나 돈이 많은지 알게 되면 당장 곳곳에서 폭동이 일어날 것이다." 배우이자 코미디언인 크리스 록이 2014년 <벌처>와의 인터뷰에서 갈수록 벌어지는 빈부 격차에 관해서 했던 말입니다. 이 말은 실로 정곡을 찌르는 말이 아닐 수 없는데, 이는 불평등을 연구하는 이들이 … [Read more...] about 부자들은 도대체 얼마나 부유할까?
인정하시라, 우리는 투자로 부자가 될 수 없다
안녕하세요, 상당히 자극적인 제목으로 글을 시작했습니다. 다만 몇 가지 조건을 추가하면 해당 제목은 자극적인 제목이 아니라 지극히 합리적인 제목이 됩니다. 첫 번째는 '단기간에'라는 조건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사실 이미 제목에 녹아 있는 말입니다만 '자본금이 충분히 크지 않다면'이라는 조건입니다. 두 번째 조건이 사실 이미 제목에 녹아 있다고 표현한 이유는, '자본금이 충분히 크다면' 이미 당신은 부자이기 때문에 부자가 '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자극적인 제목을 합리적인 … [Read more...] about 인정하시라, 우리는 투자로 부자가 될 수 없다
창업자를 파산자·사기 전과자로 만드는 정부의 엔젤투자매칭펀드 제도
엔젤투자매칭펀드가 아주 문제가 많다는 것은 익히 들어 알았지만 어제 지인에게서 들은 이야기는 너무 충격적이어서 글로 남긴다. 엔젤투자 문화조차 없는 한국에서 엔젤투자매칭펀드 제도는 사기꾼(블랙엔젤)들을 활개 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생각한다. ‘엔젤투자매칭펀드’란? 엔젤투자자가 창업 초기 기업(스타트업)에 먼저 투자한 후 매칭 투자를 신청하면 엔젤투자자와 해당 기업 평가 및 특이사항을 검토한다. 그를 통해 엔젤투자자와 같은 조건의 기업 가치와 금액을 매칭해 투자하는 … [Read more...] about 창업자를 파산자·사기 전과자로 만드는 정부의 엔젤투자매칭펀드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