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alue Walk의 「Never Trust The “Experts” – British Housing Prices Up 5.2% Since Brexit」를 번역한 글입니다. 전문가들의 말을 절대 듣지 말아야 한다는 사례가 또 하나 나왔다. 지난 10개월 동안 수집된 영국 주택 가격에 관한 이번 자료에서 그렇게 말하고 있다. 2016년 6월 23일 투표 결과 영국이 유럽 연합을 떠나기로 한 것은 많은 사람을 놀라게 했다. 그동안 이 결정의 영향에 대해서 논란이 있어 왔다. 많은 … [Read more...] about ‘전문가’의 말을 믿지 말아야 할 또 하나의 사례: 브렉시트 후 영국 주택 가격 상승
경제
문재인 때문에 미국이 한국 철강에 고율 관세를?
4줄 요약 미국 상무부가 고율의 철강 관세를 준비 중인데 같은 동맹인데도 일본은 빠지고 한국은 대상에 올랐음 보수 댓글 부대는 이 모든 게 문재인의 친북·친중 성향 때문이라고 씹음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않고 한국이 중국에서 철강을 잔뜩 수입해 가공한 뒤 미국에 수출한다는 의심을 받기 때문임 결국 문재인이 아니라 중국산 철강을 많이 쓰는 국내 기업들 때문임 댓글에 속지 마라 「같은 동맹인데도…일본 빠지고 한국만 232조 고율 관세」라는 제목의 연합뉴스 … [Read more...] about 문재인 때문에 미국이 한국 철강에 고율 관세를?
다시, ‘고용 없는 성장’은 팩트가 아니다
지난 1월 28일 「‘고용 없는 성장’은 팩트가 아니다」라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경제-정책에 관심 있다면, 그래서 언론 기사를 유의 깊게 봤던 사람이라면 ‘고용 없는 성장론’이 하나의 정설로 회자되고 있다는 것을 안다. 이는 진보/보수 경제학자들이 일치하며 진보/보수 언론 사이에 이견이 있지 않다. 경제학자들이 어떤 주장을 하려면 논거-팩트가 있어야 한다. ‘고용 없는 성장’의 경우도 주장하려면 논거-팩트가 있어야 한다. 가장 많이 인용되던 논거-팩트가 '취업유발계수'와 … [Read more...] about 다시, ‘고용 없는 성장’은 팩트가 아니다
스타트업 창업 전 꼭 읽어야 할 도서 TOP 10
스타트업 기업을 운영하면 예전에 접하지 못했던 분야들을 많이 접하죠. 따라서 여러 분야의 지식을 익히는 것이 필수입니다. 적은 인력으로 회사를 이끌어야 하니 경영자는 각 분야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기본적인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하겠죠. 물론 직접 몸소 부딪혀보는 것이 더 빨리 배우는 방법이지만, 그래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창업 전에 꼭 읽어야 할 도서를 추천해드리고자 합니다. 1. 린 스타트업 이 책은 창업할 때 비즈니스 모델을 어떻게 최소의 비용으로 발전시키는지 … [Read more...] about 스타트업 창업 전 꼭 읽어야 할 도서 TOP 10
경영학의 아버지 피터 드러커에게 배우는 효과적인 의사결정법
피터 퍼디낸드 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는 오스트리아 빈 출신의 미국인이며, 작가이자 경영학자였으며 스스로는 “사회생태학자(social ecologist)”라고 불렀습니다. 피터 드러커의 경영관으로 기업의 경영의 중심에 고객을 두고, 근로자를 비용이 아닌 자산으로 인식시키려 했다는 점이 피터 드러커가 현대 경영학에 남긴 가장 큰 업적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경영학의 아버지로 추앙받으며 지식사회의 도래와 지식근로자의 역할을 언급하며 수많은 경영철학을 남긴 것으로도 … [Read more...] about 경영학의 아버지 피터 드러커에게 배우는 효과적인 의사결정법
‘최저임금 1만원’을 주장하는 당신이 잘못 알고 있는 것들
최저임금 1만원 관련 논의가 여전히 시끄럽다. 이에 관해서 논의 중 항의하시는 분들 중 대다수가 잘못된 사실관계나 어디서 나왔는지도 모를 숫자, 혹은 근거 없는 본인 생각으로 주장하시는 모습을 보았다. 그것은 본인들이 무언가를 직접 찾아본 것이 아니라 '대략적으로 이렇겠지'라고 어렴풋이 아는 것들을 이야기하시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어렴풋이 아는 것은 대부분 사실과는 다르다. 그렇기에 그것을 하나하나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1. 임금은 오르지 않는데 물가만 더럽게 … [Read more...] about ‘최저임금 1만원’을 주장하는 당신이 잘못 알고 있는 것들
GM의 군산공장 철수를 어떻게 볼 것인가
현재 가장 쉽게 군산공장 폐쇄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프레임이라면 ‘GM이라는 회사가 나쁜 놈이라서 그렇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기업의 의사결정을 이런 윤리적 틀로 바라보면 그저 질타밖에 남는 것이 없다. 게다가 이 문제를 좀 더 깊이 들여다보자면, GM이 비윤리적으로 경영을 했다기보다는 그저 너무 야박하게 경영을 했다는 말이 더 적합해 보인다. 이제 GM은 장기적인 비전이니 글로벌한 가치 창출이니 세계 1위 자동차 기업의 자부심이니 이런 레토릭은 다 벗어버렸다. 그냥 최소비용 최대수익의 … [Read more...] about GM의 군산공장 철수를 어떻게 볼 것인가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 본 글은 법무법인 평우 대표변호사 칼럼을 옮겨 온 글입니다. 철학자 니체는 인간의 욕망을 ‘푸줏간 앞의 개’로 비유했다. 푸줏간의 고기가 먹고 싶어 개는 호시탐탐 안을 노리지만, 주인의 칼이 무서워서 정작 들어가지는 못하고 그 앞에서 한참을 머뭇거리고만 있다. 이러한 모습이 현 사회의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욕망과 닮아있다는 뜻이다. 모든 사회구성원은 욕망을 가지고 있다. 더 좋은 직업을 가지고 싶고, 더 좋은 집에서 살고 싶어 한다. 그러나 한정된 재화의 특성상 보다 더 … [Read more...] about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사회적 기업도 ‘기업’이다
사회적 기업이 '사회적(Social)'임을 강조하다 보니 사회적 기업에 범용이 아닌 '전용' 컨설턴트가 필요하다고는 생각이 있는 모양이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도 엄연히 '기업(enterprise)'이다. 특히 국제개발협력 분야는 국내에서보다 훨씬 어려운 여건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열정에 들뜬 아마추어가 아니라 기업 활동에 정통한 프로페셔널 컨설턴트가 더욱더 필요하다. 최근 국제개발협력계에서도 사회적 기업을 비롯한 사회적 경제 방식을 적용하려는 노력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런데 좀 위험해 보일 … [Read more...] about 사회적 기업도 ‘기업’이다
부동산 보유세에 대한 고찰: 서울과 뉴욕, 두 도시 이야기
국가 및 도시의 물가를 비교하는 통계 사이트 NUMBEO를 보다 보면 각국의 도시의 물가는 가끔 꽤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준다. 물론 같은 나라, 같은 도시, 같은 마을 안에서도 입지에 따라 주택의 가격은 상이하고 대파 한 단의 가격은 우리 동네 이마트와 그 담장 너머 전통시장 사이에도 격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통계를 맹신하는 것은 조심해야 한다. 하지만 해당 지역 및 사회의 경향성 측면에서 보면 어느 정도 고민할 가치가 있다. 한국의 수도 서울과 미국의 경제 수도라 할 수 있는 … [Read more...] about 부동산 보유세에 대한 고찰: 서울과 뉴욕, 두 도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