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쿡패드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레시피 서비스인데, 꽤 잘 벌어요. 따뜻합니다. 재밌는 건, 주 수익원이 무려 프리미엄 회원비입니다. 프리미엄이라고 해도, 레시피 인기순위 보게 해주고 등... 서비스가 대단치 않습니다. 근데 100만 명도 넘게 돈을 냅니다. '잘되면 잘되는 거지. 뭘 말이 많아.' 네, 맞는데요. 막상 보면 진짜 이게 가능하다고? 를 외치게 됩니다. 저거 하려고 돈을 낸다고? 다음은 광고인데, 이곳 역시 네이버처럼 키워드 광고도 합니다. '돼지고기'라는 … [Read more...] about 블록체인이면 다 될까요?
경제
우리는 느리게 성장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우리는 '저성장'을 경험해보지 못했다. 전쟁의 굴레로부터 빠져나와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해주는 나라로 초고속 성장을 경험했다. 물론 고속 성장의 배경은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우리 민족 특유의 근면성'이 현대 자본주의와 첨단 기술을 만나면서 비즈니스 현장에 '빨리빨리'의 성장 속도 중심의 철학을 통해 가난함을 탈출하자는 공감대가 충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저성장 시대. 직장인에게 우리 윗세대가 살았던 나름의 성공 방식으로는 더 이상의 생존과 성장은 어렵다. 무조건 '열심히' 또는 … [Read more...] about 우리는 느리게 성장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주식투자를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추천 서적
본격적으로 주식투자를 고민하는 분들이 직접 투자에 응용할 수 있는 디테일한 책을 추천합니다. 혹시 주식투자 초보거나 주식투자의 장기 성과를 잘 모른다면 이전에 쓴 추천 글을 먼저 읽고 올 것을 권합니다. 읽으셨다면 아래 본문으로 바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주식투자를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추천 서적 1편 주식투자를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추천 서적 2편 1. 『소음과 투자』 주식시장에는 수많은 정보가 쏟아집니다. 그러나 그 정보의 대부분은 … [Read more...] about 주식투자를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추천 서적
무상 서비스는 공짜가 아니다
얼마 전 TV 프로그램에서 한 출연자가 자랑삼아 한 말이 귓전을 맴돈다. 한때 인기가 높아 꽤 많은 소득이 있었고, 평소 절약하는 생활 습관으로 나이가 든 현재까지도 아주 재산을 많이 모은 것으로 알려진 사람이다. 이 출연자는 평소 생활비가 얼마나 드는지 얘기하는 도중 “교통비는 공짜잖아”라면서 거의 생활비가 들지 않는다고 자랑했다. 노인들에게 교통비를 받지 않는 제도를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노인들에게 교통비를 받지 않는 제도의 문제는 생각보다 심각하다. 일반적으로 이런 제도에 … [Read more...] about 무상 서비스는 공짜가 아니다
가상화폐에 관세와 부가가치세를 내게 될까?
최근인 3월 초, 미국 연방법원에서 '가상화폐는 화폐가 아니라 상품(commodity)'이라는 판결을 내렸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보통 상품이라고 번역되는 commodity라는 단어는 곡물, 석유, 구리, 금 등과 같은 원자재 상품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런 판결은 미국 상품 선물 거래 위원회(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 CFTC)가 어떤 개인 및 그의 회사를 사기 혐의로 고소하면서 벌어졌습니다. 흔히 있는 일입니다만, 가상화폐 투자 전문가라고 … [Read more...] about 가상화폐에 관세와 부가가치세를 내게 될까?
투자자들은 얼마나 멍청할까?
투자자들은 일부 연구자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멍청이가 아닐지 모르지만, 여전히 자기 자신이 갖고 있는 공포와 탐욕과 싸워야 한다. 달바(Dalbar)에서 수행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지난 30년 동안 미국 내 모든 주식형 펀드의 평균 투자자의 연평균 수익률은 3.7%였다고 한다.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1.1%의 수익률을 기록한 S&P 500과 대비된다. 즉, 지난 30년 동안 주식형 펀드 투자자들이 시장보다 연평균 약 7.4%씩 더 저조한 성과를 기록했다는 말이다. 어떻게 … [Read more...] about 투자자들은 얼마나 멍청할까?
가장 빨리 부자가 되는 법
취향이 납작해져 가는 사회
일본 도쿄의 하라주쿠는 패션의 거리로 유명하다. 귀엽다는 뜻의 “카와이”, 서양의 패션 요소와 전통적인 일본 의상의 요소를 믹스한 “와모노”, 로리타와 고딕이 만난 “로리고스”, 미래지향적인 “사이버펑크”, 핀이나 리본 같은 액세서리를 많이 장식하는 “데코라” 같은 패션은 하라주쿠에서 시작됐다. 하지만 이런 하라주쿠의 자유분방하고 창의적인 길거리 패션은 사라지고 있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링크한 글에서 주목하는 원인은 경기 침체와 유니클로다. 1998년 이후 소비자들의 소득이 … [Read more...] about 취향이 납작해져 가는 사회
여러분은 투기꾼인가요, 투자자인가요?
※ 본글은 야후 파이낸스의 「Are You a Speculator or an Investor?」를 번역한 글입니다. 1976년 봄이었다. 투자자들은 아직도 1973~74년의 심각한 약세장에서 받은 상처를 핥고 있었다. 투자 은행 도날드슨, 러프킨 & 젠렛은 그 당시 투자계의 전설 벤 그레이엄과 찰스 엘리스를 두 명을 초청해 세미카를 개최했다. 엘리스는 그레이엄에게 1970년대 중반 주식 시장이 대부분의 투자자에게 재앙이나 다름없었던 이유를 물었다. 그레이엄은 이렇게 … [Read more...] about 여러분은 투기꾼인가요, 투자자인가요?
왜 첫 직장이 중요하냐고? 전 생애에 걸쳐 영향을 미치니까!
최근 화제가 된 논문 「청년기 일자리 특성의 장기효과와 청년 고용대책에 관한 시사점」 1~2쪽의 한 대목입니다. 특히 경력 초기 일자리 특성이 향후 고용과 임금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더 나은 일자리에서 경력을 시작하는 편이, 눈높이를 낮추어 바로 일을 시작하는 것보다 생애주기 소득 극대화 관점에서 더 나은 선택이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주장이죠? 폴 크루그먼 교수가 쓴 책 『지금 당장 불황을 끝내라』에 인용된, 예일대 리사 칸 교수의 논문 내용과 정확하게 … [Read more...] about 왜 첫 직장이 중요하냐고? 전 생애에 걸쳐 영향을 미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