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7일 황교안 통합당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긴급재난지원금이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며 “전 국민 50만 원 (4인 가구 200만 원) 하루라도 빨리 지급해야 한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당시 황 대표는 불필요한 예산들을 과감히 조정하는 방식으로 ‘512조 예산 중 20%만 조정하면 100조 예산을 확보할 수 있다’며 추가적 세금 부담 없이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황 대표는 “국민을 위한 긴급지원에 선거 유불리를 따지지 않겠다. 정부는 선거 전이라도 … [Read more...] about 선거 끝나자 말 바꾼 통합당, ‘1인당 50만원→전 국민 안돼’
시사
‘치매국가책임제’ 중간 평가
뭐라도 해보려던 스무 살에 아버지가 쓰러졌다. 2011년 일이다. 그 뒤 1인분의 삶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아버지는…알코올성 치매 초기에 진입했다. 발등에 화상을 입었다. 그러는 동안 나는 병원에서 ‘보호자’로 불렸다. 공공 기관에서 복지 지원을 받으려 할 때는 ‘대리자’이거나 ‘부양 의무자’였다. 주위에서는 심심찮게 ‘효자’로 부르기도 했다. 어느새 2인분의 삶을 담당하는 ‘가장’이 됐다. 돈, 일, 질병, 돌봄이 자주 나를 압도하거나 초과했다. 고강도 저임금 장시간 노동을 해야 했고, 눈앞에 … [Read more...] about ‘치매국가책임제’ 중간 평가
우리 안의 ‘마녀사냥꾼’
‘이단’ 신천지론이 거세고, 신천지 신도 전체가 코로나19 사태의 ‘원흉’처럼 간주하는 거리 여론이 심상찮다. 우리가 신천지를 공격과 비난의 표적으로 삼으면 삼을수록 그들이 더 밀실로 숨어 들어갈 것 같아 걱정이다. 우리 안의 ‘마녀사냥꾼’이 놓는 덫이 무서운 까닭이 있다. 덫은 사냥감을 가리지 않는다. 사냥감이 된 우리 밖의 ‘마녀’뿐 아니라 우리 자신이 덫에 걸릴 수 있다. 수년 전 쓴 올리퍼 푀치의 책 『사형집행인의 딸』의 독후감이다. 이 책은 17세기 독일 바바리아 주의 숀가우라는 … [Read more...] about 우리 안의 ‘마녀사냥꾼’
너도 나도, 우리 모두 공주
나는 아빠 본가에서 오랜만의 딸로 태어났다. 그래서인지 어린 시절에 아빠를 포함한 친척 남자 어른들은 나를 종종 '공주'라고 불렀다. 어릴 때는 별생각 없었지만 갈수록 저 호칭이 찜찜했다. 아마도 '공주'라는 호칭 속에, 그저 '여자는 예쁘고 참하게 자라서 시집만 잘 가면 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그랬을지도 모르겠다. '딸 키우는 재미(꾸미는 것, 애교가 있는 것)'가 있다는 말과 이어지는 '공주'라는 단어. 난 딸로 인해 그런 재미를 느끼고 싶지도, 딸을 … [Read more...] about 너도 나도, 우리 모두 공주
정치의 양극화 속에 코로나19를 맞은 미국
※ 바이러스는 국적과 인종을 가리지 않습니다. 팬데믹이 된 코로나19가 덮친 미국이란 나라도 당연히 둘이 아니라 하나죠. 그런데 코로나19에 대처하는 미국의 모습을 보면 두 부류의 사람들이 정말 같은 나라에 사는 게 맞나 싶을 정도로 대조를 이룹니다. 국가 비상사태 속에 심각한 경기침체가 다가오자 공화당과 민주당이 모처럼 초당적으로 긴급 지원법안을 통과시켰지만, 이 과정에서도 코로나19 상황 자체에 대한 인식이 극명하게 갈리는 지점이 여러 차례 보였습니다. NBC의 간판 시사 프로그램 … [Read more...] about 정치의 양극화 속에 코로나19를 맞은 미국
20대 남성의 반 페미니즘
20대 남성의 반 페미니즘에 깔린 두 가지 전제 '20대 남성의 반 페미니즘'을 이야기할 때, 나는 두 가지 전제를 깔고 시작한다. 먼저 20대 남성이 '여성혐오 세대'가 아니라, 생애 주기상 그들은 한국 사회에 만연한 여성혐오 정서를 가장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취약한' 상황에 있다는 것. 군대와 취업을 앞두었으며, 사회 전반의 성차별이 어떠한 지경인지 경험하기 어려운 20대 남성들은 반 페미니즘의 논리에 유혹당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불안과 고통도 '페미니즘'을 원인으로 지적한다. … [Read more...] about 20대 남성의 반 페미니즘
4·15 총선 결과와 4·16 세월호 사건
언젠가 하도 깊은 충격 때문에, 한국 현대사는 4·16 세월호 사건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야 할 것이라고 한 적이 있다. 일본 현대를 3·11 동일본 대지진 이전 이후로 나누어 보아야 한다는 맥락과도 궤를 같이한다. 세월호는 우리가 겪었던 한국 현대사의 질곡과는 상당히 다른 특징이 있다. 긴 역사는 차치하더라도 식민지 압제와 분단, 전쟁, 민중 학살, 군사 독재, 민주 항쟁 등 우리가 겪어 온 비탄의 역사, 그 트라우마는 어느 하나 쉽게 치부할 수 없는 한으로 쌓였다. 그러나 대부분 우리에게 … [Read more...] about 4·15 총선 결과와 4·16 세월호 사건
86세대와 미완의 민주화, 다음 단계의 민주화를 위한 과제: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저자 김누리 인터뷰 2
※ 「모든 것은 68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저자 김누리 인터뷰 1」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86세대와 한국의 정치 김민섭: 많은 청년이 86세대를 거대한 악처럼 여겨요. 꼰대나 아재 같은 말들이 파생되기도 했고요. 선생님은 책에서 86세대가 정치의 민주화를 잘 이루어낸 편이기는 하나 사회민주화, 경제민주화, 문화민주화는 이뤄내지 못한 것으로 진단하셨어요. 86세대의 공과 과를 함께 말씀해 주신 거잖아요. 김누리: 저도 86세대와 경계선을 … [Read more...] about 86세대와 미완의 민주화, 다음 단계의 민주화를 위한 과제: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저자 김누리 인터뷰 2
모든 것은 68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저자 김누리 인터뷰 1
김누리 교수와는 2015년 겨울에 만났다. 서로 얼굴을 보고 마주한 것은 아니고, 그가 쓴 「시간강사 문제 교수들이 나설 때다」라는 칼럼을 읽고 그를 알았다. 나는 그 시기에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지방시)라는 책을 쓰고 대학에서 나왔다. 오전에는 맥도날드 상하차 아르바이트를 하고 오후에는 대학에서 강의하거나 연구실에서 논문을 썼다는 사실이 화제가 되었는데, 그건 나에겐 그다지 특별할 것 없는 삶이었다. 김누리 교수는 칼럼에서 “학문 세계에 들어온 자가 처음 경험하는 것이 불의와 … [Read more...] about 모든 것은 68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저자 김누리 인터뷰 1
한국의 코로나19 대처는 정말 뭐가 다를까?
어떤 일을 보면 사람들은 여러 설명을 만듭니다. 만들 때만 해도 그것들이 아마도 그럴 수 있다거나 여러 설명 중의 하나라는 생각을 할지 모릅니다. 하지만 일단 어떤 설명에 납득하면 더 이상의 설명을 찾지 않거나, 심지어 누군가가 다른 설명을 해줘도 그걸 고려해보지도 않습니다. 이번 코로나19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설명하는 것에서도 우리는 같은 일을 보게 됩니다. 우리는 '대한민국은 왜 다른 나라와 다른가'라는 질문의 답을 알고 싶어 합니다. 대만이나 태국, 홍콩, 중국도 그래프만 보면 잘하는 … [Read more...] about 한국의 코로나19 대처는 정말 뭐가 다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