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가 끝나자 국민들은 큰 상실감에 빠졌다. 민심은 흡사 폭격을 맞은 듯했다. 거리는 너무나 조용했고, 특히 민주 진영에서는 최악의 상황이 닥치자 어쩔 줄 몰라 했다. 많은 민주인사들의 희생과 6.10 항쟁으로 어렵게 얻은 선거에서 그것도 오랜 독재를 물리치고 16년 만에 처음으로 치른 국민의 직접 선거에서 졌다. 국민들의 원성이 하늘을 찌를 듯했다. 나라도 양보를 했어야 했다. 지난 일이지만 너무도 후회스럽다.” - 김대중 전 대통령 자서전, 1987년 대선 패배에 대한 … [Read more...] about 시대 교체를 위한 필승의 조건
전체글
저작권 걱정 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14개
사진은 글보다 강렬하고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들이 매 순간 부딪히는 디자인, 기획서 작업, 마케팅 활동 등에서 이미지가 필요할 때는 무척이나 많습니다. 하지만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이미지의 저작권 때문에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것인지 의문스러울 겁니다. 여기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사이트 14개를 소개합니다. 대부분 로그인 필요 없이 고품질 이미지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 PIXABAY 바로 가기 퍼블릭 도메인 그림을 … [Read more...] about 저작권 걱정 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14개
왜 현대 기업에서 여성 관리자의 성취도가 더 높은가
※ 《비즈니스 리뷰 USA(Business Review USA)》에 아비가일 필립스(Abigail Phillips)가 기고한 「Why ‘Female’ Leadership Qualities Enable Greater Success In Modern Business」를 편역 및 축약한 글입니다. 필립스는 현대 기업의 리더십을 연구해왔으며 특히 여성의 역할과 리더십에 관해 글을 써온 유명 칼럼니스트이기도 합니다. 1. 들어가며 여성의 리더십은 차별적이고 비범하다. 나는 그간 … [Read more...] about 왜 현대 기업에서 여성 관리자의 성취도가 더 높은가
한국에서 UX 디자인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
해외에는 종종 성공적인 UX디자인 프로젝트 사례가 있는데 왜 우리나라는 없을까? 계속해서 UX디자인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데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가장 치명적으로 실패를 부르는 원인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UX디자인 리서치에 접근하는 방식 등 진행자(혹은 업체)의 실력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 있겠지만 실력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UX 디자인 프로젝트를 실패하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은 우리나라의 문화적인 특징에 있다. 바로 "디자인 의사결정을 의사결정권자가 하는 것"이 … [Read more...] about 한국에서 UX 디자인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
한국의 불평등은 왜 1995년을 기점으로 확대됐을까?
장하성 교수가 한국 자본주의의 불평등을 다룬 『왜 분노해야 하는가』라는 책을 보면 ‘불평등’이 확산된 시점은 1995년이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IMF 사태가 있었던 ‘1997년’이 아니라 ‘1995년’을 기점으로 불평등이 확산됐다는 점이다. (더군다나 IMF사태는 1997년 11월에 있었다.) 1995년이 도대체 무슨 해이길래, 무슨 일이 있었길래 왜 하필 다른 연도도 아니고 1995년에 불평등이 확산되었을까? 1995년 이전까지는 불평등이 줄어든다. 그런데, 1995년을 변곡점으로 … [Read more...] about 한국의 불평등은 왜 1995년을 기점으로 확대됐을까?
“우리의 소원은 전쟁” : 만약 한반도가 통일된다면
통일된 한반도를 무대로 한 장강명 장편소설 2017년 정유년 새해를 맞이하면서 많은 사람이 새로운 내일을 꿈꾸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그 와중에는 여전히 불이 꺼진 공장을 바라보며 다시금 불을 켜 공장을 돌릴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다리는 사람도 있다. 바로, 개성공단에서 일하던 사람들과 개성공단 기업과 거래를 하던 사람들이다. 개성공단이 중단되고 벌써 며칠이 지났는지 셀 수 없는 시간이 되어버렸다. 북한의 말썽은 여전히 골치 아픈 문제로 남아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개성공단 문제를 … [Read more...] about “우리의 소원은 전쟁” : 만약 한반도가 통일된다면
“경제 낙수 효과”의 진실
미국 경제에서의 낙수효과 이론은 실패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 그리고 이에 따른 경제체제는 실패한 경제체제이다. 원문 : 2층 아저씨의 세상 보기 … [Read more...] about “경제 낙수 효과”의 진실
사무실은 무엇을 하는 곳일까?
우리는 '직장'으로 출근한다. 무형적으로는 그렇고, 실제 눈에 보이는 것은 '사무실'로 출근한다. 큰 빌딩의 어느 한켠이든, 오피스텔이든, 카페든, 우리 집이든… 우리가 도구를 챙기고 출근하고, 에너지 레벨이 점점 떨어지면서 탈출하고 싶어 하는 애증의 공간. 기업 입장에서도 비싼 돈을 들여 임대료가 높은 땅에 건물을 빌리거나 혹은 사거나 하는 투자 혹은 비용을 지불하는 사무실. 그만한 효율성이 있는지, 돈 들인 만큼 잘 쓰고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지금 우리 사무실에선 어떤 … [Read more...] about 사무실은 무엇을 하는 곳일까?
TV방송사는 정말 몰락하는가?
이 글은 필자가 2016년 4월에 썼던 글을 재편집한 것입니다. 오늘은 소신 있게 현재 우리나라 디지털 오리지널 동영상 시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보려 한다. TV가 몰락하고 있고 모바일이 대세가 되었으며, 그에 따라 디지털 오리지널 동영상이 결국 대세가 될 것이라는 기사들이 하루가 멀다고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런데 용어의 범위나 쓰임새가 모호하여 오해를 부르고 있는 부분들도 상당히 많은 듯하다. TV방송사의 몰락 TV의 몰락이라는 말과 함께 굉장히 자주 등장하는 … [Read more...] about TV방송사는 정말 몰락하는가?
만드는 사람의 성취감
※ 역자 주: Michael Lopp이 쓴 「The Builder’s High」라는 글의 전문 번역이다. 난 무언가를 만드는 것을 엄청 좋아하는 사람이다. 무언가를 발행한다는 느낌을 갖고 싶어서 트위터와 페이스북도 제법 열심히 했고, 그걸로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어서 이 블로그까지 만들게 됐다. 무거운 카메라를 들고 다니며 사진을 찍고, 시간을 투자해서 보정하고, 멋지게 나온 사진을 보며 혼자 뿌듯해하기도 한다. 학생 시절에는 쓸데없이 발표자료를 공들여 만들기도 했다. 이런 것들은 누군가가 볼 … [Read more...] about 만드는 사람의 성취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