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글보다 강렬하고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들이 매 순간 부딪히는 디자인, 기획서 작업, 마케팅 활동 등에서 이미지가 필요할 때는 무척이나 많습니다. 하지만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이미지의 저작권 때문에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것인지 의문스러울 겁니다. 여기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사이트 14개를 소개합니다. 대부분 로그인 필요 없이 고품질 이미지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 PIXABAY 바로 가기 퍼블릭 도메인 그림을 … [Read more...] about 저작권 걱정 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14개
테크
한국에서 UX 디자인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
해외에는 종종 성공적인 UX디자인 프로젝트 사례가 있는데 왜 우리나라는 없을까? 계속해서 UX디자인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데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가장 치명적으로 실패를 부르는 원인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UX디자인 리서치에 접근하는 방식 등 진행자(혹은 업체)의 실력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 있겠지만 실력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UX 디자인 프로젝트를 실패하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은 우리나라의 문화적인 특징에 있다. 바로 "디자인 의사결정을 의사결정권자가 하는 것"이 … [Read more...] about 한국에서 UX 디자인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
지금 당장 무료로 받을 수 있는 카톡 이모티콘 TOP3
텔레그램이 제 아무리 날고 긴다 해도, 여전히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우리의 카카오톡이다. 텔레그램이 무료스티커를 넘어 사용자가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커스텀 스티커까지 지원하는 마당에, 카톡 이모티콘을 피 같은 돈 주고 사기에는 아까운 노릇이다. 떠날 수도 그렇다고 돈을 낼 수도 없는 헬조선의 어쩔 수 없는 카톡 유저라면, 아래의 무료 이모티콘 모음을 주목하도록 하자. 1. 왕년의 대스타 차인표를 카톡으로 만나보기 (급반말) … [Read more...] about 지금 당장 무료로 받을 수 있는 카톡 이모티콘 TOP3
VR체험방이 가야 할 길
1. VR시장 활성화를 위해 오프라인 보급처를 늘리자 국내 VR시장 활성화를 위해 오프라인 보급처를 늘리자는 의견이 많다. 특히 그 중심에는 아케이드 게임장, 소위 말하는 오락실이 이야기가 많이 되고 있는데, 이 이야기의 전체적인 맥락에는 동의한다. VR을 경험할 수 있는 시설들이 있는 것은 분명히 VR 산업을 위해 중요한 일이지만, VR체험방 혹은 게임방이 아케이드 게임장이나 PC방의 후속이 되어야 하는가? 는 좀 의문이 든다. 2. PC방과 아케이드 게임장이 … [Read more...] about VR체험방이 가야 할 길
미래를 운전하다, 무인 자동차
전기 자동차 업체 테슬라가 요새 승승장구하고 있다. Model X를 출시하자마자 '오토파일럿'이라는 무인 주행 기능을 OTA (over-the-air)로 기존에 있는 테슬라에 장착시킨 것이다. 실제로 테슬라를 오토파일럿 모드로 주행하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종종 보면서, ‘아 정말 미래가 현실로 다가왔구나!’ 라는 생각이 들곤 한다. 무인 자동차 관련 뉴스를 점점 더 많이 접하면서 무인 자동차 기술 및 전략에 대해 호기심이 생기게 되었는데, 최근 실리콘밸리에서 무인 자동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 [Read more...] about 미래를 운전하다, 무인 자동차
VR의 정의와 분류, 그리고 360영상
VR이 꽤나 핫하긴 하지만, VR에 대해 여전히 정리가 안 되는 느낌이 든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서 VR에 관심을 갖고 개인적으로 정리를 좀 하고 있지만, 정리된 뭔가가 나오기는 꽤 시간이 걸릴 것 같아서 그동안 내가 보아온 VR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보고자 한다. 1. VR과 AR의 차이와 역사 VR과 AR은 기술이나 사용자 경험으로 봤을 때 확연한 차이가 발생한다. AR은 실제 상황을 보여주면서 그 위에 가상물체나 가상정보를 뿌려주는 개념이라면, VR은 가상현실을 … [Read more...] about VR의 정의와 분류, 그리고 360영상
디자이너는 직감과 데이터 중 무엇을 믿어야 할까?
※ 이 글은 Google Ventures의 Brandon Kowitz가 작성한 「Should designers trust their tnstincts - or the data?」를 원작자의 동의 하에 번역한 글입니다. 상당수의 기술기반 기업들에게 디자인은 더 이상 주관적인 요소가 아닙니다. 데이터에 의해 객관적으로 디자인을 결정하죠. 데이터 분석가들은 다양한 경우의 수를 고려해 아주 작은 디자인 요소들까지도 가장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결과를 분석합니다. 이러한 … [Read more...] about 디자이너는 직감과 데이터 중 무엇을 믿어야 할까?
기획자와 개발자, 어서 친해지길 바라
지난 포스팅에서 개발자와 대화하고 싶은 비 개발자를 위한 참고서에 대한 글을 작성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발자와 기획자 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저희 팀 내에서 초기 사용했던 방법이 현재는 어떻게 바뀌었는지 사례를 통해 보여드리겠습니다. 주의! 이 방법은 주로 슬로워크 1팀 기획자인 저와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회사별로 팀별로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팀 내에서 서로 많은 대화를 해보는 것입니다. 1. 기획자와 개발자의 시간은 … [Read more...] about 기획자와 개발자, 어서 친해지길 바라
데이터과학의 의미에 대하여
데이터와 관련한 수많은 단어를 볼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데이터 애널리틱스, 데이터 시각화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아직까지 이들은 데이터과학이라는 이름으로 통칭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과학은 도대체 무엇일까요? 무엇이기에 주목받고 있고, 우리 주변에서 회자되고 있을까요? 그것이 가지는 의미는 과연 무엇일까요? 위키피디아에 나온 정의를 살펴보겠습니다. Data Science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about processes and systems … [Read more...] about 데이터과학의 의미에 대하여
데이터, 기술보다 마인드가 우선이다
여러분이 '데이터'에 대해 생각할 때 떠오르는 것은 무엇인가?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컴퓨터와 같은 정보 기기와 이를 귀신같이 다루는 프로그래머, 혹은 가운을 입은 과학자를 떠올릴 것이다. 최근에는 '빅데이터'가 유행이니 거기에 대형 기업용 컴퓨터 및 서버 팜(farm)을 떠올리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쯤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데이터를 자신과 별 관계 없는 먼 나라 이야기로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하지만 데이터의 본질은 무엇인가? 데이터는 어떤 현상의 단편을 포착하여 수치화 … [Read more...] about 데이터, 기술보다 마인드가 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