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사회

조직에서 직급에 따라 필요한 능력

2017년 10월 26일 by 최효석

조직에서 직급에 따라 필요한 능력

조직에서 직급에 따라 필요한 능력은 다음과 같다. 대표는 조직의 전략 방향을 결정하는 일을 한다. 임원은 실무자들이 그 방향으로 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관리자는 추상적 지시를 구체적 업무로 만들어 실무자에게 분배하고 그 결과를 취합하여 보고하는 커뮤니케이터의 역할을 한다. 실무자는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완수해야 한다. 잘 안 돌아가는 조직은 이런 역할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실무자가 방향성에 개입하니 사공이 많아져 버리고, … [Read more...] about 조직에서 직급에 따라 필요한 능력

우리 부서의 역량은 어떻게 떨어지는가?

2017년 10월 26일 by 손성곤

우리 부서의 역량은 어떻게 떨어지는가?

1. 잦은 관리자의 변경 원하는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사람은 바뀐다. 회사의 기대보다 퍼포먼스가 부족할 경우 혹은 제대로 된 줄타기에 실패했을 경우 그러하다. '관리자'는 '팀장' 이거나 '본부장' 등의 임원급이 될 수도 있다. 일정한 시간을 두고 숫자로 명시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사람이 바뀔 확률이 매우 높다. 누군가 임원은 ‘임시직원’의 약자라고 하지 않았나. 팀장급 같은 경우는 거듭되는 실적 부진에 부담을 느끼게 되면 알 수 없는 압박에 눈치가 보여 스스로 회사를 떠나는 경우가 … [Read more...] about 우리 부서의 역량은 어떻게 떨어지는가?

조직의 합리성에 대한 노트: 막내착취, 중간관리자, 합리적 개인

2017년 10월 25일 by begray

조직의 합리성에 대한 노트: 막내착취, 중간관리자, 합리적 개인

2010년대로 접어들면서 비슷한 연배의 지인들이 본격적으로 직장생활을 하기 시작했다. 학생-연구자의 진로를 선택했다고 해서 직장인의 길을 가는 지인들과 교류를 중단한 것은 아니었기에 나는 종종 그들의 경험을 상당히 세부적인 지점에까지 들을 수 있었다.   모두가 엄청난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내 인상에 가장 주의깊게 남은 지점은, 그들 중 많은 수가 자신의─남들이 부러워할 곳을 포함해─직장에 엄청난 불만을 가졌다는 것이었다; 심지어 성실하고 의욕이 충만했던 이들조차도 자신이 … [Read more...] about 조직의 합리성에 대한 노트: 막내착취, 중간관리자, 합리적 개인

“행복한 노예”를 그리는 것은 역사 왜곡일까요?

2017년 10월 24일 by 뉴스페퍼민트

“행복한 노예”를 그리는 것은 역사 왜곡일까요?

※ 이 글은 Newsweek 지에 실린 「SCHOLASTIC STOPS DISTRIBUTION OF BOOK CRITICIZED FOR ITS DEPICTION OF SLAVERY」를 번역하였습니다. 작년의 오늘, 아동 도서 출판사인 스콜라스틱(Scholastic)은 노예제를 미화했다는 논란을 불러일으킨 동화책 <조지 워싱턴의 생일 케이크>의 배포를 출판 2주 만에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이미 책을 구입한 사람들도 환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출판사 측은 작가와 일러스트 … [Read more...] about “행복한 노예”를 그리는 것은 역사 왜곡일까요?

헤르미온느는 백인일까?

2017년 10월 23일 by 뉴스페퍼민트

헤르미온느는 백인일까?

※ 이 글은 「Is Hermione Granger White?」를 번역한 글입니다. 해리포터의 주요 등장인물인 헤르미온느 그레인저는 과연 백인일까요? 책 표지의 그림에 백인으로 등장하니까, 엠마 왓슨이 연기했으니까 백인일 거라고요? 사실 원작을 꼼꼼하게 읽어보면 출판사나 영화 제작사도 그저 상상력을 발휘해 자의적인 판단을 내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책 속의 내용만으로는 헤르미온느를 특정 인종으로 단정지을 수 있는 근거가 충분치 않으니까요. 문제는 헤르미온느의 인종이 … [Read more...] about 헤르미온느는 백인일까?

바로 오늘부터, ‘존엄사’가 가능해진다

2017년 10월 23일 by 표범

바로 오늘부터, ‘존엄사’가 가능해진다

바로 오늘, 2017년 10월 23일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존엄사가 가능해진다. 불치병으로 괴로워하거나 죽음을 지척에 두고 힘겨운 싸움을 벌이던 환자들과 부양가족들이 무의미한 싸움을 중단하고 죽음을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죽음과 생명에 대해 폐쇄적이고 전통적인 태도를 고수하고 있던 우리나라의 의료계로써는 매우 파격적인 행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존엄사'를 인정한 첫 국내 판결은 8년 전인 2008년, 식물인간 상태인 76세 어머니에 대한 연명 치료를 중단할 수 있게 해달라는 … [Read more...] about 바로 오늘부터, ‘존엄사’가 가능해진다

한국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이 선택한 것

2017년 10월 23일 by 펜시브

한국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이 선택한 것

<먼나라 이웃나라> 프랑스 편에는 직원이 손님 계산을 하던 도중에도 퇴근 시간이 되면 중단하고 가버리는 장면이 있다. 아무리 그래도 몇 분이나 차이 난다고 자기 월급 주는 가게 사정은 나 몰라라 하는 게 너무 심한 것 아니냐는 생각을 했었다. 얼마 전에는 유럽에서 버스회사가 대체인력을 구해주지 않자, 근무 시간을 다 채운 버스 기사가 손님을 태운 차를 중간에 내버려 두고 집에 가 버린 적이 있었다. 이것도 직업의식과 최소한의 책임감도 없는 사례로 보인다. 그런데, 안 되는 것들을 … [Read more...] about 한국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이 선택한 것

자꾸 선을 넘는 사람과 대화하는 법

2017년 10월 23일 by 정문정

자꾸 선을 넘는 사람과 대화하는 법

퍼스널 스페이스(Personal Space)라는 말이 있다. 이는 개인이 쾌적하게 있기에 필요한 점유공간을 뜻하는 말인데, 나라마다 이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거리가 달라서 일본은 1.01미터, 미국은 89센티미터 정도로 차이가 난다고 한다. 엘리베이터 안에서 낯선 사람과 가까이 있게 될 때 불편한 이유도, 지하철에서 자리가 났을 때 최대한 떨어져 앉으려고 하는 것도 이 퍼스널 스페이스를 지키려는 본능 때문이다. 문화 인류학자 에드워드 홀은 이렇게 말한 바 있다. "퍼스널 … [Read more...] about 자꾸 선을 넘는 사람과 대화하는 법

어떻게 자기표현은 사랑 대신 결혼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가 되었나

2017년 10월 23일 by 뉴스페퍼민트

어떻게 자기표현은 사랑 대신 결혼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가 되었나

※본 글은 더 컷의 How Self-Expression Replaced Love 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a Marriage를 번역한 글입니다. 2004년 HBO는 드라마 섹스앤더시티 최종화를 방영했습니다. 사라 제시카 파커가 분한 자기 중심적인 칼럼니스트 캐리 브래드쇼는 미하일 바리시니코프가 분한 천재적인, 그러나 차가운 예술가 알렌산더 페트로스키와 함께하기 위해 파리로 거처를 옮깁니다. 하지만 알렉산더는 캐리가 아닌 자신의 전시회에만 신경을 쓰고, … [Read more...] about 어떻게 자기표현은 사랑 대신 결혼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가 되었나

라스베이거스 참사 후, 변하는 것은 없다

2017년 10월 22일 by 뉴스페퍼민트

라스베이거스 참사 후, 변하는 것은 없다

※ 이 글은 The Economist에 기재된 「After the massacre in Las Vegas, nothing is set to change」을 번역한 글입니다. 8명이 숨지고 489명이 다친 미국 역사상 최악의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의회 다수당 대표들의 관심은 온통 총기규제 여론을 잠재우는 데 쏠려 있습니다. 만약 스티븐 패독이 만달레이 베이 호텔 32층에서 무장 드론과 같은 신기술로 사람들을 죽였거나, 혹은 총격범이 중동 출신 … [Read more...] about 라스베이거스 참사 후, 변하는 것은 없다

  • « Previous Page
  • Page 1
  • …
  • Page 119
  • Page 120
  • Page 121
  • Page 122
  • Page 123
  • …
  • Page 301
  • Next Page »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