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결제 혹은 선불 결제의 성공사례로 스타벅스를 많이 이야기한다. 근데, 가만 보니 이건 결제의 성공사례가 아니라 로열티 프로그램의 성공사례에 가깝다. 고객이 어떤 브랜드나 제품/서비스에 대해 애정을 표현하는 행위로 선불은 매우 강력한 것이다. 선불카드를 사는 것은 ‘앞으로 여기서 적어도 이만큼은 구매하겠다’는 일종의 단골 서약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자발성 측면에서 통신사의 노예 계약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모바일 세상에서는 앱을 받아서 설치하는 것도 선불만큼은 아니지만 상당한 로열티의 … [Read more...] about 모바일 단골 서비스, 스타벅스 앱
IT
정보보안과 기술 부채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미국에서 발생한 아름다운 버그 바운티 사례 하나가 있다. Karan Saini란 보안 연구원이 미국 5대 통신사 중 하나인 T-Mobile 웹사이트의 보안 취약점을 신고해서 1,000달러의 보상금을 받았다고 한다. BUG ON T-MOBILE WEBSITE ALLOWED HACKERS TO ACCESS ACCOUNT INFO 재미있는 건 해당 사례가 알려진 후, 익명의 해커들이 해당 취약점을 이미 알고 있었고, 개인정보도 진작에 털었다는 제보를 한 것이다. … [Read more...] about 정보보안과 기술 부채
아마존의 디자인 특허로 바라본 미래
들어가며 아마존의 하드웨어 기기 중 가장 최근에 출시된 기기는 얼마 전 출시되어 화제를 모은 킨들 오아시스(Oasis)다. 사실 오아시스의 출시 일정은 예측할 수 없었지만 디자인은 예상 가능했다. 아마존의 디자인 특허를 통해 이미 공개된 디자인이었기 때문이다. 연일 쏟아지는 아마존 기사와 아마존이 만들어내는 혁신의 중심에는 인공지능 알렉사를 비롯해 새로운 서비스와 오프라인 매장 기술 등이 있다. 하지만 아마존은 어느 IT 기업 못지않게 하드웨어를 사랑하는 기업이며 많은 기술을 … [Read more...] about 아마존의 디자인 특허로 바라본 미래
월마트 ‘인 홈 배달 서비스’의 의미와 전망
월마트(Walmart)가 스마트 자물쇠 업체인 어거스트(August)와 협력해 어거스트 홈 스마트 자물쇠 설치 가정을 대상으로 ‘인 홈 배달(In-Home Delivery)’ 서비스를 테스트한다고 밝혔다. 월마트는 아마존(Amazon)의 식료품 사업 진출에 대응해 발빠른 행보를 보이며 향후 유통 업체 간 빠르고 편리한 배송을 위한 인 홈 배달 서비스 경쟁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월마트의 인 홈 배달 서비스는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서도 어거스트 홈이 설치된 일부 가정을 대상으로 … [Read more...] about 월마트 ‘인 홈 배달 서비스’의 의미와 전망
데이터와 함께하는 마케팅
마케팅의 2017년 트렌드에서 데이터를 활용한 마케팅 수단 또는 개념들의 비중이 더욱더 높아졌습니다. 실제로 데이터를 활용한 마케팅으로 기존 모호하였던 마케팅의 수행, 측정, 분석 단계를 정량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미디어 매체 플랫폼, 광고 수단 등의 다양함과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홍보(인플루언서 마케팅), 인터랙션과 소통 등으로 마케팅의 의미가 점점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마케팅이 브랜드 노출, 상품 노출로 인지도를 넓히는 것에 주 목적을 두었다면, … [Read more...] about 데이터와 함께하는 마케팅
아마존, 미래를 세상(Real World)과 연결하다
올해도 벌써 11월로 접어들고 있는 지금, 2017년 들어 발표되었던 가장 센세이셔널한 IT제품을 꼽아보라고 한다면 나는 단연 아마존의 에코룩(Echo Look)과 에코쇼(Echo Show)를 들 것이다. 언뜻 보면 피사체의 사진을 찍는 에코룩과 인공지능 기반의 스피커 제품에 화면을 달아 놓은 에코쇼가 서로 달라 보일지 모른다. 하지만 그 둘은 모두 기존에 아마존이 가지고 있는 기술과 산업의 영역을 좀 더 우리 집안에 가까이 가져다 놓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렇다. 아마존의 미래 전략을 한 … [Read more...] about 아마존, 미래를 세상(Real World)과 연결하다
제품/서비스 네이밍의 중요한 포인트 6
※ 이 글은 Brandon K. Hill의 「スタートアップやプロダクト名を考える際に重要な6のポイント」를 번역한 글입니다. 이제부터 시작할 스타트업이나, 세상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제품의 이름을 생각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 창립자가 생각나는 대로 붙였던 이름이 나중에 큰 문제가 되거나, 얼마 있다가 울고 불며 변경을 할 수밖에 없게 된 사례도 적지 않다. 현재는 널리 정착되어 있는 트위터나 구글, 애플 등의 이름도 출시 당시에는 아무도 몰랐다. 우리 … [Read more...] about 제품/서비스 네이밍의 중요한 포인트 6
ZTE, 듀얼 스크린 스마트폰을 출시하다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사인 ZTE에서 듀얼 스크린 스마트폰을 내놓았습니다. 두 개의 5.2인치 듀얼 스크린이 닌텐도 3DS 비슷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열리면서 6.75인치 디스플레이가 되는 것입니다. 물론 중간에 베젤이 거슬리긴 하지만 현재 개발 중인 접었다 펼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지닌 폴더블 스마트폰 이전에는 가장 현실적이고 안전한 방법이긴 합니다. 플래그쉽 제품으로 등장했지만, 스냅드래곤 835대신 821을 탑재하고 출시되었며 4GB 램과 64GB 스토리지 (+microSD)의 사양을 … [Read more...] about ZTE, 듀얼 스크린 스마트폰을 출시하다
돌비 비전과 돌비 애트모스를 말한다
아무리 모바일 시대라지만 영화는 역시 큰 화면과 웅장한 사운드로 즐기는 게 제격이죠. 최근 열린 돌비 비전과 돌비 애트모스 간담회는 그런 영화의 맛을 제대로 보여준 현장이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돌비가 뭐냐구요? 돌비 하면 영화 끝나고 잠깐 뜨는 로고만 생각나는 분들도 많으실텐데, 얘기가 나온 김에 돌비에 대해서부터 설명하고 넘어가죠. 돌비는 사운드와 비디오 기술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영화 끝나고 뜨는 돌비 로고 잘 아시죠? 이건 많이들 알고 있는 음향 포맷이에요. 이 기술을 활용해야 더 … [Read more...] about 돌비 비전과 돌비 애트모스를 말한다
‘디지털 노마드’로 발리 한 달 살아보기
국가: 인도네시아 커뮤니티: 디지털노마드. 발리 우붓Ubud에서 서식하는 사람들 홈페이지: 없음. 커뮤니티가 딱 정해져 있는 건 아니니까. 체류 기간: 2015년 10월 / 1달 이곳은 어디인가? 디지털노마드의 성지라 불리는 인도네시아 발리의 우붓이다. 요즘도 여기 모르는 사람이 있나? 어떻게 알게 되었나? 다들 알지 않을까?(...) 이렇게 쓰면 대충 쓴 것이 너무 표나니까 좀 더 성의 있게 쓰자면, 아마도 '디지털노마드'라는 단어를 유행시킨 도유진 씨의 이 글 … [Read more...] about ‘디지털 노마드’로 발리 한 달 살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