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월스트리트 저널에 실린 'The Force Behind Bitcoin’s Meteoric Rise: Millions of Asian Investors'를 번역한 글입니다. 최근 비트코인의 급상승 뒤에는 수백만 명의 아시아 개인투자자들이 있습니다. 지난주 미국시장에서는 최초로 비트코인이 선물시장에서 거래되었습니다. 하지만, 거래량으로 보자면 아시아 국가가 아직도 중심에 있습니다. 중국에서 시작된 비트코인의 열풍은 일본을 거쳐 최근 한국에서 가장 뜨겁습니다. 소매투자자들이 … [Read more...] about 비트코인 가격 폭등을 주도하는 아시아 투자자들
경제
시장과 조울증 환자의 행동은 얼마나 비슷할까?
※본 글은 Value Walk의 "How market behavior is similar to a person with mental illness"를 번역한 글입니다. 잘 알려져 있듯이, 인간은 무리를 지어 생각을 한다. 그들은 무리를 지어 광기에 빠지는 반면, 제정신을 되찾는 것은 단지 한 사람씩, 한 사람씩 천천히 이루어진다. - 찰스 맥케이, 대중의 미망과 광기(1852) 그는 최초의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다. 미적분을 고안했으며, 중력의 수수께끼를 풀었고, 운동 법칙을 … [Read more...] about 시장과 조울증 환자의 행동은 얼마나 비슷할까?
비트코인 상승세를 놓쳤다고 안타까워하는 분들에게
※ Sovereign Man의 「In case you missed Bitcoin’s epic rise…」를 번역한 글입니다.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나온 숫자 열이 어떻게 10몇만 달러의 가치를 가질 수 있을까? 답은 경제학의 기본 이론인 수요와 공급에 있다. 미술 작품, 고층 콘도미니엄, 금괴, 고급 시계 같은 것들의 가치는 수요와 공급에 달렸다. 기존 통화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이 통화라는 것도 거의 디지털이다. 예를 들자면 현재 미국 달러 공급 규모는 약 13조 … [Read more...] about 비트코인 상승세를 놓쳤다고 안타까워하는 분들에게
역사상 가장 가치 있는 회사는 어디였을까?
※ Visual Capitalist의 「The Most Valuable Companies of All-Time」을 번역한 글입니다. (1990년대 후반의) 닷컴 기업들이나 (2000년대 중반) 미국 주택 시장 주위에 투기 거품이 형성되기 훨씬 오래전, 미국에서 멀리 떨어진 나라의 금융 시장에서 처음으로 거품이 나타났다. 지금 와서 알게 된 것이긴 하지만 왜 거품이 생겼는지는 아주 쉽게 알 수 있다. 동인도 회사 같은 회사들은 무역 독점권을 얻었고 신비스러운 해외로 과감한 항해를 … [Read more...] about 역사상 가장 가치 있는 회사는 어디였을까?
지금 비트코인에 관해 알아야 할 3가지 문제
※ Zero Hedge의 「Here Are The 3 Questions We Hear Most About Bitcoin Right Now」를 번역한 글입니다. "우리는 비트코인/암호화폐 정보 홍수에 고객들이 휩쓸리지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시장에는 더 큰 관심을 두어야 할 다른 문제들도 많기 때문입니다." 데이터트렉의 닉 콜라스는 이렇게 말했지만 그는 암호화폐 이야기가 언론 뉴스의 헤드라인과 대중의 상상 속을 지배하는 상황, 그리고 비트코인 가격이 2시간 만에 1만 … [Read more...] about 지금 비트코인에 관해 알아야 할 3가지 문제
한국의 법인세 인상, 미국의 법인세 인하
한국의 법인세 인상, 미국의 법인세 인하를 가지고 말들이 참 많다. 한국의 경우, 이번 법인세 인상으로 증액되는 세수의 규모는 매년 2조 3천억 원이며, 우리나라 GDP의 약 0.1%이다. '1조 원'이 큰돈 같아도, 실제로는 내년이면 1,80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 GDP의 0.05%에 불과하다. 삼성전자의 경우, 이번 법인세 인상으로 더 내야 하는 법인세는 약 4,250억 원으로,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 50조 원의 0.9% 정도이다. 이 정도의 금액으로 한국의 경기 … [Read more...] about 한국의 법인세 인상, 미국의 법인세 인하
세계 5대 기술 업체는 어떻게 돈을 벌고 있을까
※ Business Insider의 「The tech industry is dominated by 5 big companies — here’s how each makes its money」를 번역한 글입니다. 소비자 기술의 현재와 미래에 필수적인 모든 것이 점점 더 알파벳,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및 마이크로소프트 이 5개 업체 중 적어도 한 곳에 의존한다. 스마트폰, 노트북 PC, 앱 배포, 음성 보조 장치 및 인공 지능, 음악 및 동영상 스트리밍, 클라우드 컴퓨팅, 온라인 … [Read more...] about 세계 5대 기술 업체는 어떻게 돈을 벌고 있을까
비트코인을 처음 사려는 당신에게
비트코인의 개당 가격이 1000만 원을 훌쩍 넘었다. 신문이나 방송에서도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하고 있고 주변 사람들도 하나둘씩 샀다고 한다. 머릿속에 드는 생각은? ‘계속 오르는데 나만 안 사서 손해 보는 거 아닌가?’ 필자도 비트코인을 포함한 코인에 투자하고 있고 수익률도 나쁘지 않다. 그러다 보니 주변에서 처음 코인을 시작하려는 주변 사람들이 이것저것 많이 물어보는데, 투자라는 것은 자기 책임하에 진행하는 것이므로 투자를 하라 하지 마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지만 코인판에 들어간다면 전혀 … [Read more...] about 비트코인을 처음 사려는 당신에게
부자는 어떻게 다른가: 부자의 5가지 특징
※ 이 글은 Stansberry Churchchouse의 「Copy the rich, become rich: 5 ways to do it」을 번역한 글입니다. 부자들이 제대로 하는 일이 있다. 적어도 돈을 버는 일(또는 적어도 지키는 일)에는 아주 뛰어나다. 때문에 돈에 관한 한, 부자들이 어떻게 하는지 살펴볼 가치가 있는 것이다. 다음은 부자들의 다섯 가지 다른 점이다. 1. 부자들은 분산 투자를 잘 한다. 분산 투자의 기본 개념은 간단하다. 모든 … [Read more...] about 부자는 어떻게 다른가: 부자의 5가지 특징
입지 중심 가치평가의 종말?
미국에선 아마존이 오프라인 유통시장과 상업 부동산의 침체를 부른다며 '아마존 묵시록'을 외치고 다닐 정도다. 그런데 정작 훨씬 더 저렴한 비용으로 전국을 배송권으로 둔 지 오래된 우리나라의 경우는 의외로 그 반향이 적다. 유통기업들이나 위기감을 느끼고 신경을 쓰며 대응하는 정도에 그친다. 특히 상업 부동산들의 다수는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온라인 쇼핑(이커머스)이 일반화될수록 사람들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물건 구매를 하는 비중을 줄인다. 온라인에서도 살 수 있는 물건이라면 … [Read more...] about 입지 중심 가치평가의 종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