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한신대학교에서의 강의를 토대로 정리한 것입니다. 변호인, 그 시기에 초점을 맞춘 이유 개인적으로 한 사람을 볼 때마다 많이 생각하는 게, 그 사람 개인적으로 갈라파고스 시기라 부를 때가 있다. 찰스 다윈이 목회자 활동을 하다가 비글 호를 타고 전세계를 돌다가 갈라파고스에 우연히 도착한다. 그 사이에 종의 기원이 탄생한 중요한 계기를 발견하게 된다. 생물학자들은 이 사실에 매우 크게 놀란다. 갈라파고스에서 종의 기원 생각을 갖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체계적으로 생물학 … [Read more...] about “변호인” 양우석 감독이 대학생에게 드리는 이야기
경제
국산 TV, 해외에서 사면 60만원이 싸다
※ 이 글은 Bloomberg의 Korean buy Samsung TVs on Amazon, Hurting local shops를 번역한 글입니다. 한국인은 자국상점을 상처입히면서까지 아마존에서 삼성TV를 산다 By Cynthia Kim 한국의 사무직인 임지한씨가 한국 삼성전자에서 제조된 TV를 사려했을 때 그는 백화점에 가서 구입하는 대신, Amazon.com을 통해 지구 반바퀴를 돌려 TV를 배달시켰다. 2주간의 기다림으로 $600 이상을 절약할 수 … [Read more...] about 국산 TV, 해외에서 사면 60만원이 싸다
삼성 앱카드, 문제는 아이폰이 아니다
삼성앱카드 도용 사건, 왜 아이폰을 탓하나? 삼성카드의 앱카드 명의도용 사건과 관련해 여러가지 뉴스들이 나오고 있다. 기사들이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조금씩 다른 얘기를 하고 있어서, 그나마 잘 정리된 것으로 보이는 한국일보 강지원 기자의 기사를 인용한다. 삼성카드는 자체조사를 벌여 해커들이 앱카드 이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스미싱(문자 사기)을 보내 개인정보를 빼낸 후 이를 앱카드 결제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문자메시지를 받은 고객이 메시지에 있는 인터넷 주소를 누르면 악성코드가 설치돼 … [Read more...] about 삼성 앱카드, 문제는 아이폰이 아니다
현대 경제에서 통화(money)가 창출되는 경로
이전 포스팅 "Shadow Rate, 제로금리 제약(Zero Lower Bound)에서 주목할 만한 유용한 지표"에서 서두에 중앙은행이 본원통화(base money)를 늘린다고 해서 그것이 광의통화(broad money, M2)의 증가로 직결되지는 않는다고 간단하게 언급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한 부연설명을 하지 않고 넘어가서 좀 아쉬웠는데 마침 영란은행(Bank of England)에서 최근에 "Money Creation in the modern economy"란 괜찮은 보고서가 … [Read more...] about 현대 경제에서 통화(money)가 창출되는 경로
주류경제학자가 바라보는 세월호 단상
경제학을 공부하는 입장에서 이번 사건에 대해서 느낀 점을 정리해 보겠다. 물론 경제학자라고 해서 같은 의견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내가 경제학자 대표로 나설 만큼 뛰어난 것도 아니다. 그래도 내가 가진 의견은 편의상 주류(mainstream) 경제학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견해와 대체로 비슷할 것으로 (적어도 나는) 믿고 있다. 일단 먼저 나는 시장경제와 친구 사이임을 밝힌다. 나는 학교에서 시장경제를 가르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시장의 효율성과 자생적 질서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있다. … [Read more...] about 주류경제학자가 바라보는 세월호 단상
공개입찰의 비밀
물론 이런 형태는 일부분이다(라고 믿고싶다). 조사된 내용이 있는 것도 아니라서, 얼마나 만연해 있는지도 알 수 없다. 단지, 이런 형태가 있긴 있다는 것, 그것도 한두 건은 아니었다는 것 정도만 알 수 있을 뿐. 때때로 어떤 조직에서는 일정 금액 이하의 프로젝트는 간소한 절차를 거쳐서 입찰을 낼 수 있는데, 큰 금액의 프로젝트를 잘게 잘라서 하나의 업체나 여러 업체에 갈라주기도 한다. 아마도 이런 프로젝트에 입찰하고 일 하는 업체들이 어느정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런 것 아닐까 싶다. 당장 … [Read more...] about 공개입찰의 비밀
인플레이션이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들까?
※ 역주: 이 글은 Noahpinion의 ‘Does inflation make you poorer?’를 번역한 글입니다. 필자 Noah Smith는 젊은 나이에도 내공이 있으며 글도 재미있고 명쾌하게 잘 쓰는 분으로, 폴 크루그먼 교수도 자신의 블로그에서 이 사람을 종종 언급하고 때론 논쟁 비슷한 것도 벌일 정도죠. 그중에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관해 어려운 수식을 동원한 게 아닌 실생활에 빗대어서 이야기한 글이 있길래 옮겨 봤습니다. 많은 사람은 인플레이션이 자신을 … [Read more...] about 인플레이션이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들까?
가난이 IQ를 떨어뜨린다
가난에는 개인의 능력을 떠나 '대물림'되는 등의 구조적 문제들이 분명 존재하지요. 최근 <사이언스>지에 실린 연구에 의하면 가난이 IQ 등 다양한 인지능력을 떨어트려 가난한 이의 삶을 또 다시 힘겹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연구자들은 실험을 통해 가난한 사람들은 '갑자기 차가 고장나서 백만원 이상 지출해야 한다면?'같이 돈에 대한 걱정을 하는 것만으로 IQ나 인지적 통제능력(특정 방향으로 행동을 조절)이 뚝 떨어진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 인도의 농부들을 대상으로 … [Read more...] about 가난이 IQ를 떨어뜨린다
외부투자를 받을 때 꼭 알아둬야 할 기초 6가지
1. ‘돈을 빌리는 것’과 ‘투자를 받는 것’은 성격상 차이가 있다. 회사가 돈이 필요할 경우 a. 돈을 빌리는 방법과 b. 투자를 받는 방법이 있다. 돈을 빌린다는 것은 회사가 채무자가 되어 개인이나 금융기관으로부터 일정기간 돈을 빌리고 그 기간 후에 다시 원금과 이자를 갚을 것을 약속하는 행위다. 하지만 투자는 투자자가 회사의 주식을 갖는 것으로서 둘의 관계는 끝나며, 별도로 회사나 대표이사가 책임을 지지는 않는다(물론 뒤에서 보는 바이백 옵션이 있을 때는 예외다). 즉 … [Read more...] about 외부투자를 받을 때 꼭 알아둬야 할 기초 6가지
돈이 노후를 보장한다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할 때
황금만능을 넘어, 소비 지상주의 시대. 개미처럼 벌어 미친 듯이 쓰고 쇼핑중독과 폭풍 지름신에 시달리는 우리에게 상품경제시스템은 그냥 당연한 일상이 됐다. 지갑 한번 열지 않고 하루를 지낼 수 있는 신용사회가 도래한 지도 오래 전 일이다. 바람처럼 왔다가 이슬처럼 사라지는 것은 , 매월 겪는 급여통장의 현실이기도 하다. 해도 해도 끝이 나지 않는 잔업인지는 무한정 쌓여 있고, 사고 싶은 것, 갖고 싶은 것은 많으나 삶은 비루하기만 한 세상이다. 다들 고민한다. 왜 나는 돈도 없고, … [Read more...] about 돈이 노후를 보장한다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