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탄소년단을 키운 ‘빅히트’에게 배우는 ‘매니지먼트’ 기술 ①」에서는 1) ‘아이돌 기획사’가 아닌 ‘콘텐츠 제작사’로서 보는 관점, 2) 방시혁 대표로부터 배운 자율성과 팀 중심 커뮤니케이션의 매니지먼트를 살펴봤습니다. 이 글에서는 1) 아이돌에게 ‘시간’을 확보해주는 빅히트 2) 뛰어난 위기관리 능력 3) 세계관을 만드는 빅히트의 IP 사업과 마케팅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아티스트의 시간을 확보해주는 스케줄링 일반적인 아이돌의 스케줄을 보면 그야말로 살인적입니다. … [Read more...] about 방탄소년단을 키운 ‘빅히트’에게 배우는 매니지먼트 기술 ②
전체글
디지털 노마드라는 환상: 그럼에도, 한 번쯤은
그래. 처음 퇴사하고 1년의 여행을 준비할 때 나는 ‘디지털 노마드’라는 단어에 사로잡혀 있었다.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글을 쓰는 삶. 작년 8월 퇴사한 후 긴 여행을 떠났고 이제 여행한 지 8개월이 다 되어간다. 미얀마 양곤, 태국 치앙마이와 빠이, 포르투갈 포르투와 리스본, 스페인 마드리드를 거치는 동안 두 권의 책을 계약했다. 현재는 세비야에 머물며 이 글을 쓴다. 결과적으로 보면 디지털 노마드처럼 보이지만, 나는 정말 디지털 노마드일까? 디지털 노마드 뽕, 하지만 … [Read more...] about 디지털 노마드라는 환상: 그럼에도, 한 번쯤은
1994년에 창업한 스타트업의 시조새, 메타브랜딩 박항기 대표를 만나다
이승환(ㅍㅍㅅㅅ 대표, 이하 리): 무슨 일을 하고 있나요? 박항기(메타브랜딩 대표): 사람 만나고 다녀요. 10년 전부터 대표이사 체제로, 소유와 경영을 분리했어요. 지금은 초기에 했던 클라이언트만 자문해요. 좀 컸다고 회사 초기 고객 도와드리지 않으면 꼭 뒷말 나옵니다. 제 입장에서도 고맙잖아요. 그때 안 도와줬으면 지금 제가 없으니까요. 그 외에는 30대 스타트업 대표들을 주로 만나요. 리: 스타트업이면 돈 별로 안 되지 않나요? 박항기: 제가 이제 50대가 됐잖아요. 제가 … [Read more...] about 1994년에 창업한 스타트업의 시조새, 메타브랜딩 박항기 대표를 만나다
장거리 비행에 대처하는 가난한 여행자의 자세
비행기를 탄다는 것 자체만으로 설레던 시절이 있었다. 마일리지가 차곡차곡 살집을 불려 가는 만큼 나이도 먹고, 경험치도 쌓여갔다. 시간이 흘러가면서 당연히 체력은 떨어졌고 흥미도 사라졌다. 좁디좁은 이코노미 좌석에 반 결박 당한 채 견뎌야만 하는 그 시간은 그저 낯선 곳으로 가기 위한 지루한 기다림의 시간일 뿐이다. 이 피할 수 없는 시간의 불편함을 조금이나마 덜기 위해 고민했다. 그렇게 장거리 비행을 앞두고 행하는 가난한 여행자의 의식이 생겨났다. 1. 출발 며칠 … [Read more...] about 장거리 비행에 대처하는 가난한 여행자의 자세
식욕은 ‘채우는’ 것인데, 왜 성욕은 ‘푸는’ 것일까
흔히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식욕, 수면욕, 성욕이 꼽히곤 한다. 흥미로운 점은 우리나라에서는 그중 '성욕'에만 '풀다'라는 술어를 붙인다는 점이다. 식욕과 수면욕은 은유 자체가 '채우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어쩐 일인지 성욕은 채우는 것이 아니라 ‘비워내는 것’ ‘풀어내는 것’이라는 비유적 술어가 붙는다. 식욕이든, 수면욕이든, 성욕이든 먹고, 자고, 관계를 맺는 행위를 통해 해결되는 것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유독 성욕에 대해서만 '풀다'라는 용례가 존재한다는 게 이상하기도 하다. … [Read more...] about 식욕은 ‘채우는’ 것인데, 왜 성욕은 ‘푸는’ 것일까
페이스북 마케팅: 콘텐츠 데이터 해석의 오류
데이터는 마케팅 플랜을 설정하는 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페이스북 마케팅 집행 이후 콘텐츠 데이터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흔히 일어나는 오류에 관해 이야기하고, 자잘한 페이스북 마케팅의 특징은 생략한다. 정량적 데이터와 정성적 데이터 데이터는 특성에 따라 정량적 데이터와 정성적 데이터로 나뉜다. 페이스북 마케팅은 다른 온라인 플랫폼 대비 콘텐츠 형태의 제한 없이 확산하기 가장 좋으며, 광고와 콘텐츠의 정량적 데이터와 정성적 데이터를 얻을 수 … [Read more...] about 페이스북 마케팅: 콘텐츠 데이터 해석의 오류
혁신가, 모방꾼 그리고 바보
※ Jamie Catherwood의 「Sunken Treasures」를 번역한 글입니다. 먼저 혁신가가 나타나서 다른 이들은 보지 못하는 곳에서 기회를 찾아낸다. 그런 다음 모방꾼이 나타나 혁신가를 따라 한다. 그러고 나서, 부자가 되고픈 욕심에 눈이 먼 바보가 나타나 바로 그 혁신을 망쳐버린다. 워런 버핏 투자란 대부분 혁신가를 찾아내고, 모방꾼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지켜보고, 바보를 걸러내는 과정이다. 이 원칙은 종목 선정에서 경영진의 평가에 이르기까지 … [Read more...] about 혁신가, 모방꾼 그리고 바보
“라떼는 말이야…” 리더는 꼰대인가?
나 때는 말이야… 최근 주가를 올리는 한 중년 남자 배우가 말이 그려진 커피잔을 들고 말했다. ‘라떼’는 ‘말’이야… 나는 분명 그것을 "나 때는 말이야"로 들었다. 물론 광고는 그걸 노린 것이다. 많은 사람이 나와 같이 그 광고에 몰입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사람 중 십중팔구는 월급을 받는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 머릿속으론 누군가를 선명히 떠올리며. 꼰대는 어디에나 있지만, 또 어디에도 없다. 어느 조직에나 또라이가 있지만, 스스로를 또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듯이 … [Read more...] about “라떼는 말이야…” 리더는 꼰대인가?
아픈 어린이 곁을 지켜주는 곰돌이 인형
모든 부모의 가장 큰 소망은 자녀의 건강입니다. 어떠한 부모도 자녀가 병으로 고통받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경우가 생깁니다. 병원 치료 중 어린아이들이 제일 무서워하는 것은 주사일 것입니다. 특히 링거 주사라도 맞게 되면 주사의 양과 걸리는 시간 때문에 처음부터 두려움을 느낍니다. 미국의 엘라 카사노(Ella Casano)는 12살 소녀입니다. 그녀는 7살 때 혈소판이 파괴되어 부상과 출혈 시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 [Read more...] about 아픈 어린이 곁을 지켜주는 곰돌이 인형
‘흰 코끼리’ 탈피? IOC 올림픽 개최지 선정 방식 손본다
1988년 열린 제24회 여름 올림픽은 '한국 올림픽'이 아니라 '서울 올림픽'이었습니다. 반면 이로부터 14년 뒤 열린 2002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은 '서울·도쿄(東京)' 대회가 아니라 '한국·일본' 대회였습니다. 요컨대 올림픽은 도시 단위로 열고, FIFA 월드컵은 국가 단위로 개최합니다. 지금까지는 이게 기본 패턴이었습니다. 앞으로는 바뀝니다. 올림픽이 FIFA 월드컵을 따라 하는 방식입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스위스 로잔 본부에서 26일(이하 현지 시간) 끝난 … [Read more...] about ‘흰 코끼리’ 탈피? IOC 올림픽 개최지 선정 방식 손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