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 퀀트에 인공지능을 심다 인공지능이란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판단을 내리며 실행에 옮기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퀀트들은 컴퓨터가 등장한 초창기부터 이런 인공지능을 이용해 자동으로 증권의 가격을 계산하고 예측하며 거래했다. 가장 큰 장점은 감정기복 없이 주어진 로직과 데이터에 의해서만 거래한다는 점이다. 물론 단점도 있었다. 위기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했고 인간이 끊임없이 알고리즘을 업데이트 시켜주어야만 현재 시장에 맞게 적응할 수 있었다. 그러다 200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 [Read more...] about 퀀트,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의 시대
투자
퀀트, 그리고 퀀트에 대한 착각
퀀트란? 투자에 어떤 방식이든 계량적인(Quantitative) 방법만 이용하면 퀀트라고 불렀다. 그러나 퀀트 또한 계속 발전해나가면서 다양한 목표와 방법으로 인해 필요한 기술과 지식에 변화가 생겼고 그에 따라 업무 방식에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퀀트의 종류 또한 많아져서 데스크 퀀트, 모델 검증 퀀트, 리스크 매니지먼트 퀀트, 퀀트 애널리스트, 알고 트레이더, 퀀트 트레이더, 퀀트 개발자 등 지금도 계속해서 다양해지고 있다. 퀀트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면 적정 가격을 계산 … [Read more...] about 퀀트, 그리고 퀀트에 대한 착각
당신의 본능에 따르면 절대 주식으로 돈 벌 수 없다 : 투자 수익을 좀먹는 생각
나는 주식 투자를 할 때, 매수하고 나면 종목명은 거의 다 잊어버린다. 종목 발굴보다 일관성 있는 투자전략의 개발, 즉 어떤 논리로 주식을 매수하고 보유하고 매도하는지 고민하는 것이 백배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고심 끝에 투자전략이 정해지면 그 전략에 적합한 종목은 저절로 나온다. 전략을 실천하기만 하면 수익은 저절로 따라온다. 좋은 투자전략은 누구나, 초보 투자자도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며 명확해야 한다. 요리사가 바뀌어도 문제없는 식당의 레시피처럼, 투자자가 바뀌어도 … [Read more...] about 당신의 본능에 따르면 절대 주식으로 돈 벌 수 없다 : 투자 수익을 좀먹는 생각
금융 데이터를 요리하다
깔끔한 수트 유리로 된 회의장 블랙베리 수화기로 들리는 긴박한 협상 흔히 미디어에서 표현하는 금융권 사람들의 일상이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분주하게 일하면서 숨 가쁜 일상을 보내기도 한다. 클릭 한 번에 큰돈이 움직이는 트레이딩 부서는 장 중에는 언제나 긴장이 감돈다. 평화로운 듯이 악수를 하고 있는 인수 협상 회의실에서는 상대의 의중을 읽기 위해 바쁘게 눈을 움직인다. 금융 업무는 굉장히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기본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업무, 즉 영업이다. 고객에게 직접 상품을 파 … [Read more...] about 금융 데이터를 요리하다
퀀트가 된 이유
유년 시절부터 지금까지 나의 꿈은 비교적 단순하고 원초적이었다. 부, 명예, 지식. 어렸을 적 아버지의 무리한 창업과 넉넉지 못한 집안 사정으로 외식이나 여행도 하기 힘들었을 때, 나는 적어도 부모님께서 하고 싶은 것은 마음껏 시켜 드릴 수 있는 부자가 되고 싶었다. 월스트릿에서 면접관이 되어 면접을 보다 보면 가장 흔히 하는 질문이 '왜 월가, 금융계로 오고 싶냐?'이다. 대부분 좋은 핑계를 대지만, 결국 가장 솔직한 답변은 '부자가 되고 싶어서'이다. 아마 대부분의 퀀트가 되고 싶어 한 … [Read more...] about 퀀트가 된 이유
왕초보를 위한 퀀트 주식 6계명: 주식투자, 뻘짓만 안 해도 복리 20%는 번다
이것만 피하면 주식을 통해 장기적으로 돈을 벌 수밖에 없다 내가 직접 주식에 투자해야 하는구나! 근데 정확히 뭘 해야 하는 거지? 뭘 사고팔아야 하는 거냐고? 여기서부터 내가 바톤 터치를 해서 어떤 주식을 피해야 하는지 설명해 보겠다. 주식은 ‘훌륭한 주식’을 사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그것보다는 큰 실수, 소위 ‘뻘짓’을 피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그리고 주식시장이라는 곳은 희한한 곳이라 큰 실수만 피해도 꽤 큰돈을 벌 수 있는 구조이다. 도대체 무조건 피해야 하는 뻘짓은 무엇인가? … [Read more...] about 왕초보를 위한 퀀트 주식 6계명: 주식투자, 뻘짓만 안 해도 복리 20%는 번다
월스트리트 트레이더, 초단타 퀀트 매매법을 말하다
ㅍㅍㅅㅅ 이승환 대표 (이하 '리') : 무슨 일을 하고 있습니까? <인공지능 투자가 퀀트> 저자 권용진 (이하 '권') : 뉴욕에서 퀀트 트레이더로 일하고 있는 권용진입니다. 더 정확히는 초단타 전문이죠. 타워리서치라는 헤지펀드 다니고 있다가, 현재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리: 그 회사에서는 하루 종일 초단타 클릭질만 합니까. 권: 이게 초당 10건 이상 거래라 시스템 자동 매매로 돌립니다. 증권사와 완전히 달라요. 제가 다닌 회사는 데이터, 시스템, 서버 … [Read more...] about 월스트리트 트레이더, 초단타 퀀트 매매법을 말하다
돈에 대해서 이 10가지를 명심해라
돈이란 얼마나 어려운 주제인가. 돈에 관한 이야기는 한 가지 정해진 답이 없다. 인간의 육정칠욕, 백팔번뇌가 다 돈에 엮여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돈을 다루고, 돈을 벌게 해주는 사람으로서 돈에 관해 내가 알고 있는 이야기를 나눠주고 싶다. 돈은 하나의 수단이다. 돈이 더 착한 사람으로도, 더 악한 사람으로도 만들어주지 않는다. 다만 나쁜 사람을 더 나쁘게, 착한 사람을 더 착하게, 똑똑한 사람을 더 똑똑하게 만들어줄 뿐이다. 이런 수단이 없다고 해서 악해지지 말고, 수단이 생겼다면 더 잘 … [Read more...] about 돈에 대해서 이 10가지를 명심해라
코인 버블을 대하는 시각
블록체인 토큰에 대한 젊은 층의 열광이 사회심리학적으로 ‘노동혐오’에 기반 둔다는 주장을 최근 곳곳에서 보도한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조금 생각이 다르다. 시장의 참여자가 젊은 층이 대다수인 것은 ‘젊은 층이 많아서’ 인 것도 있지만 ‘중년층 이상이 없어서’ 도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흙수저론과 노동 혐오라는 개념에 기반 둔 토큰 시장 참여자에 대한 분석은 전자의 절반 정도만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사실 일확천금을 향한 욕망만으로 젊은 층의 토큰 시장 참여를 설명하는 것이 문제의 … [Read more...] about 코인 버블을 대하는 시각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의 미덕
※ Collaborative Fund의 「Making History By Doing Nothing」을 번역한 글입니다. 오래전 앤서니 이든(Anthony Eden)은 영국 총리에서 내려왔습니다. 수에즈 운하 위기를 해결하지 못한 것이 그의 이름에 먹칠을 했고, 영국 경제를 망쳐 놓았기 때문이죠. 드라마 〈더 크라운(The Crown)〉에서 엘리자베스 여왕은 위험을 자초한 이든을 불쌍히 여깁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종종 최선의 행동이다. 하지만 역사는 아무것도 하지 않은 이들의 … [Read more...] about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의 미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