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FA Institute의 「Gold $3,000?」를 번역한 글입니다. 아마도 금은 지금도 널리 사용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가치 저장 수단일 것이다. 하지만 금의 내재 가치를 평가하기란 불가능하다. 금은 아무런 소득도 창출하지 못하고, 할인할 현금 흐름도 없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선진국의 국가 부채와 유사하다. 그리고 금이 초기 시절 화폐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듯이, 오늘날 국가 부채도 같은 목적을 가졌다. 금 가격(XAU)과 미국 달러 인덱스(DXY)는 … [Read more...] about 3가지 시나리오에 따른 금 가격 전망
투자
게임스탑 주가 폭등으로 알아보는 공매도의 원리
서두에 먼저 언급하고 넘어갈 사실이 하나 있다. 현재 각종 커뮤니티에 도는 멜빈 캐피탈의 파산 소문은 아직까지 확인된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다. 멜빈이 게임스탑 공매도로 인해 상당한 손실을 입은 것은 사실이나 멜빈은 현재 공매도 포지션을 정리했을 뿐 파산하지는 않았다. 현재 멜빈은 다른 헤지펀드인 시타델과 포인트72 로부터 약 30억 달러 정도의 긴급 자금 수혈을 받아 한숨을 돌린 상태이다. (즉 포인트72 파산설도 완벽한 허구다.) 물론 그렇다고 할지라도 멜빈이 공매도를 했다가 거하게 한 … [Read more...] about 게임스탑 주가 폭등으로 알아보는 공매도의 원리
“주가가 고점 같은데, 지금 투자해도 될까?”
※ A Wealth of Common Sense의 「Investing in Stocks At All-Time Highs」를 번역한 글입니다. 2020년 감염병 대유행과 사상 최악의 분기 GDP 감소를 겪는 상황에서, 미국 주식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30차례나 경신했다는(그리고 경신해나간다는) 것은 정말로 이례적인 경우다. 2007년 금융 위기 이후 최고치를 회복한 이후 S&P 500 지수는 현재 270차례 이상의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 왔다. 즉, 이 기간 전체 거래일 … [Read more...] about “주가가 고점 같은데, 지금 투자해도 될까?”
디플레이션과 유동성 장세
지난번 디플레이션 구간, 즉 물가 수준이 하락 압력을 받는 현상이 이 시대의 지배적 패러다임이라는 이야기를 했다. 물가 수준 중에서도 교환 가치를 가진 '준화폐적 자산'에 속할지도 모른다고 판단되는 것들은 가격이 냅다 오르고, 필수 소비재, 특히 인건비와 연관된 소비재들의 물가는 낮아지고 있다. '준화폐적 가치'란 표현이 나도 참 어색하다. 하지만 중요한 개념이다. 예전엔 교환 가치가 있는 달러나 현금, 그리고 그에 준해 보이는 MMF 등 단기채권이 교환 가치가 높았다. 반대로 수집품과 … [Read more...] about 디플레이션과 유동성 장세
주식으로 돈 못 버는 사람들 특징
1. 무슨 종목 사야 할지 묻는다. 무슨 종목 사야 해? 내가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인데, 말해줘도 어차피 안 산다. A를 추천해 주면, 관심종목에 넣고 오르는지 본다. 신중한 투자자니까 바로 사지 않는다. 그러다가 A가 오르면 A 같은 B를 묻는다. 역시 사진 않는다. B도 오르면 그제서야 진짜 살 C를 묻고, C는 하락한다. 간혹 처음부터 사는 사람도 있지만 결과는 다르지 않다. A를 사고 오르는지 본다. A가 오르면 더 넣지 않은 것을 한탄하다가 비중을 늘릴 B를 묻고, 결국 … [Read more...] about 주식으로 돈 못 버는 사람들 특징
한국보다 해외에 투자하라: 문남중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팀장 인터뷰
일단 미국에 투자하라, 그리고 인도를 보자 최기영(픗픗 아카데미 대표, 이하 최): 미국과 중국 둘 중 하나를 투자처로 고른다면 어디일까요? 문남중(대신증권 리서치센터 팀장): 당연히 미국. 최근 발생한 위기라 해도 2008년도 금융위기 정도인 것 같은데, 과거의 위기를 보면 일시적인 쇼크가 와 금융시장이 흔들리잖아요. 하지만 대부분 단기간에 끝나요. 그러고 나서 회복되는 패턴을 살펴보면, 미국이 단연 앞서요. 경제도 그렇고, 금융시장 회복력도 그렇고. 코로나로 경제와 주가가 동시에 … [Read more...] about 한국보다 해외에 투자하라: 문남중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팀장 인터뷰
왜 주변에 부자들이 점점 늘어날까?
아주 큰 부자는 아니더라도, 계획적으로 살 경우 평생 먹고살 수 있는 20–30억 수준의 부자가 주변에 많아지는 것을 느끼지 않나요? 혹자는 강남에 아파트 하나 사면 끝이니 부자가 아니라고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지방이나 수도권 외곽으로 갈 경우 2–3억 정도면 30평대의 준신축 아파트를 구할 수 있으며, 남은 20억의 돈을 배당주나 수익형 부동산의 투자를 할 경우 매월 1,000만 원 정도의 소득을 만들 수 있는 큰돈입니다. 30평대 아파트에 살면서 매월 1,000만 원의 소득이 생긴다면 … [Read more...] about 왜 주변에 부자들이 점점 늘어날까?
알파벳이 배당주가 될 수 있을까?
※ Sure Dividend의 「Will Alphabet Stock Ever Pay A Dividend?」를 번역한 글입니다. 배당 투자자들은 헬스케어, 유틸리티, 필수 소비재 등 다양한 시장 부문에서 우량 배당주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기술 부문에는 여전히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대형주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알파벳(GOOG; GOOGL)은 S&P 500 지수에서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약 90개 종목 중 하나이다. 알파벳이 한 번도 배당금을 지급한 적이 없는 … [Read more...] about 알파벳이 배당주가 될 수 있을까?
투자, 할 만한 때가 왔다 : 이베스트투자증권 염승환 차장 인터뷰
투자, 할 만한 때가 왔다 최: 지금은 투자하기 적절한 시기인가요?(2020년 9월 28일 기준) 염승환 차장: 지수가 많이 빠지면, 투자하신 분들은 ‘내가 잘못했나’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오르고 내릴 시기를 예측하는 건 정말 어려워요. 시장이 5개월 연속 오른 상황에서 9월 중순부터 코스닥이 10% 빠졌거든요. 어떤 강세장이라도 한 번은 급락장이 와요. 1년에도 몇 번씩. 그런데도 제 생각엔 지금은 투자하기 좋은 시기라 생각합니다. 최: 왜죠? 염승환 차장: 계속 오르기만 … [Read more...] about 투자, 할 만한 때가 왔다 : 이베스트투자증권 염승환 차장 인터뷰
투자자들이 겪는 10가지 인지적 오류
정신과 의사이자, 인지 치료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아론 벡 박사는 우리가 생각하고 사고하는 과정에서 흔히 10가지의 오류를 범한다고 말했다. 나는 내가 무척 이성적이고, 냉정한 투자자라고 착각한 적이 있었다. 또한 정신과 의사로서 벡의 이론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기에, 이러한 실수를 안하겠지라며 방심했다. 하지만 우리가 어떤 지식을 단순히 알고만 있는 것과 숙고의 과정을 거친 후 진짜 그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함입하는 것은 무척 다른 차원의 얘기다. 부끄럽지만 나는 숱한 투자의 … [Read more...] about 투자자들이 겪는 10가지 인지적 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