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이 김상기님은 의료전문기자로 15년을 보냈으며, 현재 라포르시안 편집국장으로 있습니다. 페이스북은 여기. 첫 단추부터 왜곡된 건강보험제도 리승환: 대체 왜 파업이 일어난 건가? 김상기: 의사들은 의료영리화 정책 및 원격의료 저지, 건강보험제도 개선을 걸고 있다. 리승환: 의료영리화? 보통 민영화라고 하지 않나? 김상기: 사실 ‘영리화’가 좀 더 정확한 표현이다. 민영화는 공공기관이 아닌 개인 소유가 핵심인데, 이미 한국의 95%의 의료기관은 민간병원이기 … [Read more...] about 15년 의료기자가 말하는 의사파업의 모든 것
전체글
리카르도의 비교우위론이 허구인 이유
많은 사람들이 고등학교, 대학교 경제 시간에 리카도의 비교우위론을 배운다. 아담스미스의 절대우위론과 그에 입각한 무역 이익은 금방 이해가 되는데, 리카도의 비교우위론은 쉽게 이해가 안 된다는 사람들도 있다. 이해가 안 가야 정상이다. 리카르도의 비교우위는 이론적으로는 작동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쉬운 예를 하나 만들어 보았다. 2개의 국가가 2개의 품목만을 생산하는 모형이 있다. 1-1. A국은 핸드폰과 가구 두 품목에서 모두 절대 우위에 … [Read more...] about 리카르도의 비교우위론이 허구인 이유
세상을 바꾼 12장의 지도
※ 이 글은 Uri Friedman이 The Atlantic에 쓴 12 Maps That Changed the World를 번역한 글입니다. 모든 문화권에서는 나름의 지도를 제작하면서, "우리가 만드는 지도는 사실적이고, 진실하고, 객관적이며, 투명하다"고 믿어 왔다. 그러나 모든 지도는 주관적이다. 그건 당신의 휴대폰이나 태블릿 PC에 있는 지리정보 앱도 - 구글이든 애플이든 심지어 어느 누가 만들었든,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 마찬가지다. 다시 말하자면, 이 세상에 완벽한 … [Read more...] about 세상을 바꾼 12장의 지도
포털 3사, 4년간 몇 개의 서비스를 실패하고 성공했을까?
2010년 막 IT업계를 출입했을 시점, 포털3사로 통칭됐던 네이버, 다음, SK컴즈는 매우 바쁘게 움직이고 있었다.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돌풍을 일으키면서 기업가치가 향상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기대감에 다양한 신사업을 추진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결과는? 정리해보니 다음과 같다. 1. 네이버: "야! 신난다!" 총평: 포기한 서비스도 많지만 라인 하나만으로 대성공, 글로벌 기업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주가는 끝을 모르고 올라가고 있다. 접은 … [Read more...] about 포털 3사, 4년간 몇 개의 서비스를 실패하고 성공했을까?
박근혜, 대통령인가 패셔니스타인가
대통령이 옷 바꿔 입는다고 경제가 살아날까 옷깃부터 단추까지 모두 빨간 상의.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7월 11일 2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 이어 9월 3차 회의에도 같은 옷을 입고 등장했다. "우리 경제에 많은 열정을 불어넣어서 경제를 활력 있게 살려야 한다는 뜻으로 열정의 색깔인 빨간색을 입고 나왔다"며 스스로 ‘투자활성화복’이라 이름 붙인 재킷이다. 대선 전날 방문한 한국거래소에서 코스피 3000 시대를 약속한 것을 비롯해, 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주요 경제행사에 줄곧 빨간색 … [Read more...] about 박근혜, 대통령인가 패셔니스타인가
남성국방의무 합헌, 성차별을 낳을 뿐이다
병역법 제 3조 1항 “대한민국 국민인 남자는 헌법과 이 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병역의무를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잊어버릴 때 쯤 되면 다시 튀어나와 인터넷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구는 군대 떡밥. 그중에서도 가장 무시무시한 헬게이트를 여는 "왜 남자만 군대 가냐" 떡밥이 또 나왔다. 바로 그 떡밥의 근원인, 병역의무의 대상이 오직 남성만임을 못박은 병역법 제 3조 1항 합헌 결정이 '또' 나온 덕이다. 근 사년 새 벌써 세 번째 나온 똑같은 결정이다. 사실 세계적으로도 병역의무를 … [Read more...] about 남성국방의무 합헌, 성차별을 낳을 뿐이다
박사과정 학생이 유의해야 하는 점
박사 학위를 위한 길은 꽤 길다. 평균적으로 5~6년 정도는 걸린다. 이런 길고 긴 과정의 마무리는 역시, 졸업 논문을 완성하고, 최종 발표(디펜스)를 하고, 지도교수를 비롯한 커미티에게 서명을 받는 게 아닐까 한다. 이렇게 마무리를 하기까지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학생의 실수로 생기는 어려움도 많이 있다. 학위 과정 중에 저지르기 쉬운 실수는 아주 많은 유형이 있지만, 그 중에서 실수임을 알아 채기 어려운 한 가지만 골라서 이야기해 보겠다. “나는 열심히 하는 데, 지도교수는 … [Read more...] about 박사과정 학생이 유의해야 하는 점
아이에게 ‘핸드폰 좀 그만 들여다봐라’고 말하기 전에 고칠 점
작년에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처음으로 사주면서 앞으로 이것 때문에 후회할 일이 많이 있을 거라고 예상은 했습니다. 그러나 사줘야 할 이유도 있었고 아이의 기대를 만족시켜 주고 싶은 마음도 있었기 때문에 피처폰이 아닌 스마트폰을 선택했죠. 예상대로 아이와 이런저런 갈등이 있습니다. 제 예상보다 많은 시간을 게임 하는데 사용하는 것, 친구로부터 메시지가 오면 하던 일을 중단하고 달려가는 것, 폰을 보는 자세 때문에 생기는 건강에 대한 걱정들 때문에 생기는 갈등이죠. 그럴 때는 스마트폰을 … [Read more...] about 아이에게 ‘핸드폰 좀 그만 들여다봐라’고 말하기 전에 고칠 점
보안업계인들이 말하는 한국 해킹의 본질
Q. 해킹이 뭐냐? A. 관리자 권한이 없는 컴퓨터를 파헤치는 모든 행위가 해킹이다. 예로 박근혜 계정을 뚫고 박근혜 계좌에 돈을 입금시키는 건 좋은 행위이지만 이 역시 해킹이다. 그래서 일부 해커들은 나쁜 짓을 하는 것을 따로 분리해 크래킹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Q. 그럼 이번 KT 해킹 사건은 무엇인가? A. 좀 어이 없는 사건이다. 사실 해킹은 언제 어디서든 터질 수 있다. 심지어 내부 보안 관리자가 빼돌리는 등 막기 힘든 해킹도 있다. 하지만 보통 해킹이 터지면 이내 … [Read more...] about 보안업계인들이 말하는 한국 해킹의 본질
변호사와 언론학자가 말하는 김연아와 디스패치
Q. 김연아가 디스패치를 고소했다. 정당한가? 변호사: 당연히 정당하다. 사생활 침해에 대해 고소할 권리가 있다. 언론학자: 파파라치가 뭐가 정당하겠나? 디스패치가 좀 다르다면 똥을 눴는데, 아름답게 눈 거지. Q. 일단 디스패치의 행위는 범법 행위인가? 변호사: 그렇다. 파파라치는 기본적으로 사람을 따라다녀야 한다. 누군가를 따라다녔다는 것만으로 경범죄 처벌법에 따라 과태료 내야 한다. 언론학자: 캐릭터가 아니라 일반 개인으로서의 일상을 영위할 때는, 누구나 프라이버시 … [Read more...] about 변호사와 언론학자가 말하는 김연아와 디스패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