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함상욱: 엔비티(이하 NBT)에서 스텝업과 캐시피드 PO(Product Owner)를 맡고 있는 함상욱입니다. 곽근봉: NBT에서 마케팅 총괄(CMO), 기술 총괄(CTO), 제품 전략(CPO), 캐시슬라이드 PO를 맡고 있는 곽근봉입니다. 이승환: 기술총괄, 마케팅 총괄, 제품 총괄이면 그냥 대표 아니에요? 대표는 뭐 합니까, 이 회사는... 곽근봉: 대표님은 인사, 외부 IR, 전체 전략을 총괄하고 있고, 내부 살림은 제가 좀 많이 … [Read more...] about 연매출 1천억 캐시슬라이드, 다른 회사에서는 누릴 수 없는 실험의 끝판왕 PO를 모십니다: NBT 곽근봉, 함상욱 PO 인터뷰
스타트업
오답 포비아: 학교로부터 과도한 정답을 강요당한 직장인이 겪는 공포증
대다수의 직장인이 정답 강박에 시달린다. 학교부터 직장까지, 끊임없이 '정답 요구'를 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회사에는 정답이 없다. 해답만이 있을 뿐이다. ‘생각 프레임’을 짜지 못한 이들은 '오답 포비아' 현상을 겪게 된다. 학교에서 정답을 말하던 습관, 직장까지 간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은 습관 형성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어떤 습관이든 쉽게 바꾸기 어려우니 습관 만들 때부터 가급적 유의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가급적 '자신이 원하는 나의 … [Read more...] about 오답 포비아: 학교로부터 과도한 정답을 강요당한 직장인이 겪는 공포증
재택근무 붐이라는데, 슬랙의 가치는 왜 떨어진 걸까?
※ 「Why Slack Isn’t Winning the Remote-Work Revolution — Yet」을 각색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수백만 명의 사무직 근로자들이 재택근무를 해야 하는 이 상황은, 업무 협업용 툴인 슬랙에게 절호의 찬스가 될 수 있습니다. 각 기업과 단체들에게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자리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지금, 재택근무로 얻게 된 기회를 잡는 것은 생각만큼 쉬워 보이지 않습니다. 사실 화상회의 솔루션 기업인 … [Read more...] about 재택근무 붐이라는데, 슬랙의 가치는 왜 떨어진 걸까?
목사를 꿈꾸던 남자, 뷰티 MCN으로 3년 만에 월 8억 매출을 올리기까지: 디밀 이헌주 대표 인터뷰
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이헌주: 뷰티 MCN 그룹 디밀을 운영하는 이헌주입니다. 업계에 뷰티 전문 MCN이 삼국지 상황인데, 그중 촉나라 내지 오나라 포지션입니다. 이승환: 뷰티에 MCN이라니, 뭔가 돈을 잘 벌 것 같은 느낌이군요. 이헌주: 매출은 꾸준히 오릅니다. 올해 1월, 2월 평균 월 매출이 8억을 넘었어요. 작년은 40억 좀 넘었으니 2배 이상 올라간 거죠. 크리에이터 커머스가 성장을 견인 중인데, 올해는 롯데월드타워 명품관 쪽에 크리에이터 편집숍을 오픈하게 … [Read more...] about 목사를 꿈꾸던 남자, 뷰티 MCN으로 3년 만에 월 8억 매출을 올리기까지: 디밀 이헌주 대표 인터뷰
한 분야에 집중하지 못하는 사람이 더 성공하는 이유
※ Michael Simmons의 「People Who Have “Too Many Interests” Are More Likely To Be Successful According To Research」을 각색해 작성한 글입니다. 말콤 글래드웰의 책 『아웃라이어』가 출간되면서 1만 시간의 법칙이 유명해졌습니다. 그 이후로 사람들은 한 분야에 집중해서 최고의 자리에 올라서는 것을 성공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죠. 하지만 1만 시간을 한 분야에 집중하지 않아도 다양한 분야에 흥미를 갖고 … [Read more...] about 한 분야에 집중하지 못하는 사람이 더 성공하는 이유
지금 싱가포르에서 구직하면 몇 배는 더 힘들다
아무튼 참 냉엄한 시절이다. 각각 청운의 뜻을 품고 아무것도 없이 이 작은 나라로 건너왔을 사람들. 혹은 새로운 곳에 자리 잡고 싶어 노력하는 이들. 그런 사람들을 생각해보면 마음이 묘해지면서 도와주고 싶지만, 현실적으로 2020년 3월 기준 지금 싱가포르에서 이직하거나 구직하는 계획은 ‘악수’라고 말해두고 싶다. 한국인에게 박해지는 싱가포르 몇 년 전, 사실 작년까지만 해도 한국인이라고 하면 어느 정도 호감과 좋은 점수를 따고 시작하는 분위기가 있었다. 한국 콘텐츠로 … [Read more...] about 지금 싱가포르에서 구직하면 몇 배는 더 힘들다
중소기업 대표가 원격근무를 받아들이는 과정: 구글에 ‘재택근무 꿀팁’을 검색해보았다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해 재택근무가 장기화되면서 팀원들과 재택근무 팁을 공유하기 위해 구글에 '재택근무 꿀팁'을 검색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 검색 첫 페이지에 '마우스 지글러'라는 프로그램을 발견했다. 바쁘신 분들을 위해 본문의 요약 내용을 그대로 캡처해봤다. 관심일정 구독 서비스 린더를 만드는 히든트랙은 현재 13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나는 만 3년째 그 팀의 대표를 맡았다. 우리는 코로나가 다가오기 한참 전인 2019년 1월부터 11 to 2 기반의 탄력근무와 매주 수요일 전체 … [Read more...] about 중소기업 대표가 원격근무를 받아들이는 과정: 구글에 ‘재택근무 꿀팁’을 검색해보았다
코로나19로 촉발된 업무 환경 재택화, 원격화에 대한 오해와 진실
베트남이 한국인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를 시행했다. 베트남 하노이에 격주로 출장을 가던 A상무는 이제 사무실에서 화상회의로 업무를 수행한다. 처음에는 조금 어색했지만 화상으로 업무보고를 받고 업무지시를 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베트남 현지에서 초기 사업 세팅을 하는 중요한 시기에 화상회의를 통해 원격으로 업무를 하는 것이 답답하다. 사업 안착화 목표 시기를 상반기에서 하반기 중으로 미룬 상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SK그룹을 … [Read more...] about 코로나19로 촉발된 업무 환경 재택화, 원격화에 대한 오해와 진실
슬기로운 재택근무 생활
코로나19 바이러스 영향으로 다들 어려운 시간들을 보내실 것 같습니다. 체험해보지 못한 상황에 어떻게 대응할지도 막막한 요즘입니다. 적지 않은 회사에서 재택근무가 시작되고 탄력 근무제를 하는 등 기업문화도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분주한 상황입니다. 물론 아직 상당 수의 기업이 정상 출근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변화는 시작되었고, 급진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불과 몇 개월 전까지만 해도 탄력근무제란 외국계 기업이나 IT 기업 이야기였습니다. 재택근무는 프리랜서들의 영역이나 일부 글로벌 … [Read more...] about 슬기로운 재택근무 생활
책으로 독학한 OKR이 실패하는 이유
저는 교육회사 러닝스푼즈를 통해서 매월 두 차례씩 OKR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OKR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과 매월 많은 미팅과 세션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 고객들이 가장 많이 말씀하시는 애로점과 이에 대한 저의 생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OKR 책은 일단 다 읽어보고, 팀원들끼리 스터디도 하고 해 봤는데 정작 도입을 하려니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해서 오게 되었습니다. 이게 워크숍 참석자들이 공통적으로 하시는 말씀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부분이 … [Read more...] about 책으로 독학한 OKR이 실패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