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의 모습 #1. 캐나다: 내가 도착한 공항에는 2개의 흡연구역이 있었다. 그런데 2013년부터 운영을 중단했단다. 텅빈 흡연구역을 바라보며 괴로워하는동안 저쪽 면세점에서는... 담배를 팔지나 말던지. #2. 러시아: 이곳도 공항 양옆의 흡연구역이 모두 운영을 중단했다. 다른점이 있다면... 화장실에서 핀다. 다같이. 대놓고. 뻑뻑. #3. 독일: 공항이건 공공장소건 그냥 핀다. 그런데 냄새가 나지 않는다. 나오는 연기만큼의 환기시설을 해두었기 때문. 진짜다. #4. … [Read more...] about 10개국 흡연 여행기: 한국보다 흡연자를 차별하는 나라는 없다
사회
2014년 프로야구 시즌의 교훈 5가지
1. 과거의 명성은 아무것도 보장해주지 않는다 왕년의 스타들이 줄줄이 옷을 벗거나, 1군에서 모습을 감췄다. 그 중에는 더 이상 기량이 예전같지 않으면서도 팬들 여론을 등에 업고 선수생활을 연장하는 예도 있다. 하지만 베테랑의 가치는 이름값이 아닌, 어린 선수들과 당당하게 맞짱뜰 수 있는 실력이 있을 때 발휘된다. 감독의 경우 명장 김응룡 감독은 커리어의 마지막을 제대로 망쳤고, 왕년의 레전드 출신들이 감독으로서는 실패했다. 반면 선수 시절 경력이 초라했거나, 레전드급은 아니었던 감독들은 … [Read more...] about 2014년 프로야구 시즌의 교훈 5가지
한국 인구 전망 그렇게 암담한가? – 최근 전망 수정 추이와 의미
(※ 아래 글은 모두 사견이며 자료는 통계청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임.) 한국 경제의 미래에 대해 걱정하는 얘기를 들으면 대체로 인구 문제가 가장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느낌을 받는다. 한국 경제를 이끌어 온 수출주도산업의 국제경쟁력이라든가 최근 경제의 대내불균형 논의의 핵심에 서 있는 재벌구조, 그리고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는 노동생산성 문제 등 물론 걱정을 자아내는 주제는 많다. 하지만 주변 사람들과 얘기를 나눌 때나 언론 기사를 보면 단연 미래인구변화와 그 … [Read more...] about 한국 인구 전망 그렇게 암담한가? – 최근 전망 수정 추이와 의미
미국 언론과 한국 언론, 대조적인 성소수자 보도윤리
2015년을 며칠 앞두고 17살의 한 트랜스젠더 소녀가 미국에서 자살을 한 일이 있었다. 이 소녀는 종교적인 이유로 가족들이 소녀의 성정체성을 인정해주지 않아 세상에 홀로 있는 느낌을 느껴 자살을 하게 됐다고 한다. 안타까운 일이다. LGBT 커뮤니티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슬프고 비극적인 소식이다. 이 사건을 전하는 연합뉴스의 기사다. 자신이 여성이라고 생각하는 미국 10대 소년이 사회관계망(SNS)에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자신의 문제를 공감하지 못하는 부모에 대한 절망감이 … [Read more...] about 미국 언론과 한국 언론, 대조적인 성소수자 보도윤리
박근혜 “애국가 따라 나라사랑” 비판 트윗 모음
[View the story "박근혜 "애국가 따라 나라사랑" 비판 트윗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박근혜 “애국가 따라 나라사랑” 비판 트윗 모음
펀드 매니저들의 2015년 전망은 무시하라
* 이 글은 Market Watch에 실린 Brett Arends의 칼럼을 번역한 글입니다. 일본을 사라. 유럽을 사라. 기술주를 사라. 에너지 부문을 피하라. 러시아를 피하라. 이 말은 새해가 다가오면서 “빅 머니(Big Money)”가 주장한 것으로,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 린치에서 기관 펀드 매니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설문조사에서 나온 것이다. 이 설문조사는 거의 4,500억 달러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는 150명 이상의 전 세계 전문 펀드 매니저들을 인터뷰한 … [Read more...] about 펀드 매니저들의 2015년 전망은 무시하라
핀란드, 자가용 소유를 없애려는 혁신 대중교통 실험
이 글은 the guardian의 10년 안에 자동차를 소유하는 걸 안드로메다로 보내려는 헬싱키의 야심찬 계획을 번역한 글입니다.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는 “필요할 때 이용하는 교통”(mobility on demand) 시스템을 바라보고 있다. 이 시스템은 공공 및 개인들이 공유한 교통수단을 모두 통합해서 하나의 결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인데, 이것은 자동차를 사적으로 소유할 필요성이 없도록 만들 것이다. 헬싱키는 2025년까지 종합적이고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 [Read more...] about 핀란드, 자가용 소유를 없애려는 혁신 대중교통 실험
김무성 “열악한 알바, 좋은 경험” 비판 트윗 모음
[View the story "김무성 "열악한 알바" 좋은 경험이라 생각해야" on Storify] … [Read more...] about 김무성 “열악한 알바, 좋은 경험” 비판 트윗 모음
헌재 판결로 종북몰이에 대항하자
1. 헌법재판소는 북한에 대한 태도를 이유로 판단을 한 것이 아니다. 나는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정당해산 결정에 반대한다. 그 이유는 헌법재판소 결정의 취지대로 북한의 대남혁명전략을 추종하여 폭력으로 대한민국을 전복하려는 세력은 민주주의 기본질서에 위배되어 제재를 해야 하지만, 이석기 의원 및 전쟁 시 우리나라 시설을 공격하겠다는 사람들(결정문을 보니 이분들이 긴긴 세월 해 온 이 밖의 다른 언동들도 많이 적시되어 있으므로, 이것만 문제는 아니지만)이 이 당을 장악했는지 여부(즉 이 당이 … [Read more...] about 헌재 판결로 종북몰이에 대항하자
민주주의 후퇴: 왜 헌재에 내맡기는가?
사법적극주의와 사법소극주의 이 논쟁구도는 역사가 꽤 깊다. 가장 극적으로 나타난 시기는 대공황 시기, 루스벨트의 온갖 정책에 미국 대법원이 위헌 판결을 펑펑 때려 댄 시기에서부터다. 열이 바짝 오른 루스벨트는 대법원에다가 거의 전쟁선포를 하고는 법관 물갈이를 해버리려고 했다. 대법원 입장에서도 나라는 다 망해가고, 대통령이 북치고 장구치고 하려는데 계속 딴지 놓는 형국이 되니 눈치가 보여서, 왠만하면 이러지 말자는 식으로 분위기가 바뀌어 갔다. 이 논쟁이 바로 사법적극주의와 … [Read more...] about 민주주의 후퇴: 왜 헌재에 내맡기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