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뉴스위크에서 커버 스토리로 비트코인의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가 누군지 찾아냈다는 보도를 했다. 2달여간의 취재 끝에 LA에 사는 도리안 S. 나카모토가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꽤 긴 기사인데, 핵심이 되는 증거는 다음 문단이다. (나머지 것들은 부차적인 것들이고, 확실하다고 할만한건 없다.) 말없이 비트코인 프로젝트에서 그의 역할을 인정하며, 그는 도로를 바라보면서 딱 잘라 질문에 대답하는걸 거절했다. 그는 “나는 더이상 거기에 참여하고 있지 않고, 거기에 대해서 … [Read more...] about 나는 도리안 나카모토가 아닙니다
IT
KT 개인정보 유출 개드립 모음
Let stand until the husks soften woolrich parkaIs Normal Vaginal Discharge Green or Yellow … [Read more...] about KT 개인정보 유출 개드립 모음
남편감으로 보는 휴대폰 브랜드 분석
1. 아이폰: 왠지 끌리고 세련됐지만, 외국물을 오래 먹어 한국 생활을 무지 못한다. 2. 갤럭시: 능력은 좋지만 투박하다. 패션 센스가 꽝인 시계를 즐겨 차고 허세가 넘친다. 3. G: 딱히 모난 건 없는데, 참 없어 보인다. 만나다 보면 은근 나사 풀린 느낌이다. 4. 베가: 크고 아름답다. 버스를 타고 다니는 알뜰함도 있다. 5. 소니: 잘 생기고 노래를 잘 한다. 왕년에 잘 나갔다고 하지만 현재는 가산만 탕진하는 중. 6. 노키아: 왕년에 잘 나갔는데, 친구 잘못 … [Read more...] about 남편감으로 보는 휴대폰 브랜드 분석
페이스북 10주년 동영상에서 한국 대기업이 배울 점
페이스북 10주년이다. 얼마나 영향력이 컸던지 국내외에서 온갖 분석과 전망들이 쏟아지고 있다. 페이스북 때문에 사람들의 관계는 더 피상적이 됐고, 외로워졌으며, 불행해졌다는 냉소적인 연구결과에서부터 지난 10년간 이룬 성과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이른바 ‘빨아주는’ 인포그래픽까지 온라인과 모바일 공간이 페이스북으로 왁자지껄하다. 아닌 게 아니라 지난 10년간 페이스북은 눈부신 성장을 거듭했다. 작년 연말 기준으로 월 활동사용자(active user)가 12억 3,000만명, 그 … [Read more...] about 페이스북 10주년 동영상에서 한국 대기업이 배울 점
[번역] 삼성과 애플에게 다시 찾아온 두마리 곰
※ 편집자 주: Ben Thompson의 Two Bears, Revisited를 번역한 글입니다. 아시다시피 곰은 주가가 떨어지는 것의 비유로, 실적 악화의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리뷰 사이트가 맥을 다루는 방식을 보면 그 의도와 목적이 무엇이든지 간에 상당히 짜증나는 구석이 있다. 맥을 그저 또 하나의 PC로 다룬다는 점이다. 맥북프로에 대한 이 CNET 리뷰를 보자.[1] 장점: 가격 상승 없이 업데이트된 CPU와 그래픽, 배터리 수명 향상을 위한 LED-backlit 디스플레이, … [Read more...] about [번역] 삼성과 애플에게 다시 찾아온 두마리 곰
아마존 한국 진출이 가져올 6가지 변화와 한계
아마존이 한국 진출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에 많은 사람들이 한국 IT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소리없는 강자로, 꾸준하게 자기 페이스를 지켜가며 성장하고 있는 내실 있는 멋진 회사라 생각합니다. 그런 회사가 한국에 진출한다는 소식은 기대와 우려가 한꺼번에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과연 한국IT판도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지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1. E커머스 영역 - 온라인 쇼핑에 변화를 가져올까? 글쎄? 아마존은 쇼핑으로 가장 유명한 … [Read more...] about 아마존 한국 진출이 가져올 6가지 변화와 한계
국제표준 무시하고 HWP를 고집하는 정부
한 국가의 문서는 최소한 백 년, 이백 년 갈 것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일개 기업은 몇 년이나 지속될까. 한글 워드프로세서가 기념물로 인정받는 것은 좋다. 하지만 그렇다고 hwp 파일만을 고집하는 것은 문제다. 다른 곳도 아닌,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일반에게 배포하는 문서가 특정 기업의 제품에서만 읽고 쓸 수 있는 파일포맷이라니. 공공성을 위한다면, 더욱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 그러니까 한글 워드프로세서 뿐만 아니라, MS … [Read more...] about 국제표준 무시하고 HWP를 고집하는 정부
IT 양대막장: 금융권과 대기업 시스템에 사고가 터지는 이유
금융권과 대기업, 그리고 어딘가를 엮어 'IT 3대 막장', 또는 'SI 3대 막장'이라고 한다. 혹은 3대 지옥, 던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뭐라고 불리든 핵심은 같다. SI 바닥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영혼을 빨아먹는 막장 업체들을 뜻한다. 시간이 흐르면 조금씩 바뀌기는 하는데, 현재 1, 2위는 대략 공통된 의견들이다. 3위로 거론되는 업체들이 여럿 있는데, 내 견해는 걔네들 모두를 공동 3위로 올리는 게 합당하다고 본다. SI 바닥에서 조금 굴러본 개발자라면, '내 죽어도 … [Read more...] about IT 양대막장: 금융권과 대기업 시스템에 사고가 터지는 이유
점유율 논쟁이 놓치고 있는 것들
시장 점유율의 함정: 10명 중 8명이 안드로이드를 쓴다고? (원문)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간단한 개념 하나 소개하자. 소프트웨어 그리고 IT 산업을 이해하는 핵심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의존성이다. 간단히 말해서 A의 입출력이 B의 입출력에 따라 결정될 때, A는 B에 의존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운영 체제는 cpu에 의존한다. cpu마다 거기에 맞는 명령 코드셋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cpu의 명령 코드셋이 바뀌면, 운영체제 역시 거기에 맞게 고쳐 줘야 한다. 응용 … [Read more...] about 점유율 논쟁이 놓치고 있는 것들
구글의 배신: 통신사 여러분, 어서 와~ 을은 처음이지?
최근 한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구글이 플레이스토어의 판매수익 분배율을 바꾸겠다고 통보했다고 한다. 이 사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얘기를 해보고자 한다. 다음은 한국일보 기사의 내용이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앱 장터인 ’플레이스토어’에서 팔리는 유료 앱의 판매수익은 우선 개발자가 70%를 갖고 나머지 30% 가운데 27%는 이동통신사가 3%는 구글이 갖는 구조다. 일반 상점에 비유하자면, 구글은 장터 소유자이고 이동통신사는 판매자이다. 그런데 구글은 최근 … [Read more...] about 구글의 배신: 통신사 여러분, 어서 와~ 을은 처음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