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네이버 지식인에 댓글로 달았던 글을 재구성하였습니다. 질문을 쓰신 분은 외모 콤플렉스로 인해서 사회생활이 힘들고 자존감이 낮아지는 것이 고민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을 싫어한다고 느끼고, 나아지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이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사람마다 콤플렉스의 원인도 다르고 채우고자 하는 니즈도 다르지만 이러한 내용에 관하여 공감하실 수 있는 분들이 있지 않을까 답변 부분만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일단 글 쓴 분이 얼마나 힘들지 이해합니다. 아마 누굴 … [Read more...] about 외모 콤플렉스에 관하여
전체글
왜 영어로 감정을 말하기 어려울까: 감정 영어를 익히는 5가지 팁
※ 이 글은 튜터링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더욱 다양한 감정 및 느낌을 표현하고 감정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면 튜터링으로 원어민 선생님과 수업해보세요. ‘나 체했어’를 느낌 딱! 오게 영어로 말해보세요 영국 왕립미술대학(Royal College of Art) 졸업생인 페이 잉 린(Pei-Ying Lin)은 영어로 표현할 수 없는 21가지 감정 단어를 맵으로 표현했다. 다른 나라의 언어에는 있으나 영어에는 없는 단어들. 이는 "it is a kind of (emotion A), … [Read more...] about 왜 영어로 감정을 말하기 어려울까: 감정 영어를 익히는 5가지 팁
한국 출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대형서점의 매대 판매와 중고서점이다
현 단계 한국 출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대형서점의 매대 판매와 중고서점이다. 둘이 문제인 이유는 출판업이 존속될 수 없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출판인들은 왜 가만히 있었을까? 자신만 매대를 사지 않으면 된다는 생각이었을까? 그러나 대형서점이 중요한 자리부터 팔다가 구석 자리까지 팔면서 한국의 출판은 처절하게 무너져 내리고 있다. 한 대형서점의 한 지점에서는 1주일에 세 부만 팔려도 매대를 사면 팔릴 가능성이 있다고 출판사를 협박하고 있다. 정말 대한민국의 출판은 … [Read more...] about 한국 출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대형서점의 매대 판매와 중고서점이다
“그걸 누가 몰라?” 심리학에서는 왜 뻔한 것을 연구할까
기사 「스트레스 많은 여성 '자살 시도' 확률 높다」에서 소개한 연구는 성별에 따라 자살 시도와 연관되는 변수가 상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남성은 암 발병 경험이, 여성은 스트레스 수준이 자살 시도 확률과 더 큰 관련을 보였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여성의 스트레스와 자살 시도 간의 관계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스트레스를 크게 경험하는 여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약 3.6배 높은 자살 시도 확률을 보였다. 그렇다면 이 연구 결과에 누리꾼들은 어떤 반응을 내어놓았을까? … [Read more...] about “그걸 누가 몰라?” 심리학에서는 왜 뻔한 것을 연구할까
데이비드 드레먼의 역발상 투자
개인투자자는 시장을 이길 수 없을까? 최근 한국 주식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돌파하는 강세를 보이지만, 개인투자자들은 별다른 재미를 보지 못하고 있다. 2017년 초 이후 5월 24일까지 종합주가지수(KOSPI)는 14.4% 상승했지만, 개인 순매수 상위 10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9.9%에 불과하다. 반면 기관투자자들의 순매수 상위 종목은 21.2% 그리고 외국인의 순매수 상위 종목은 19.5%의 성과를 올렸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올해에만 국한되지 않는 데 있다. 2008년 이후 10년 동안 … [Read more...] about 데이비드 드레먼의 역발상 투자
플랫폼의 승자독식 현상은 갈수록 강화된다
전 세계 유니콘은 ‘플랫폼’ 기업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정기적으로 전 세계 10억 달러 이상의 기업가치를 기록하는 스타트업(유니콘이라고도 함) 순위 ‘10억 달러 스타트업 클럽(The Billion Dollar Startup Club)’을 발표한다. 2017년 7월 말 여기에 속한 상위 10개 기업은 다음과 같다. 이들 기업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우리가 익히 아는 우버는 부가수익을 더 창출하려는 택시 기사와 택시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잡고자 하는 승객을 연결하는 플랫폼 … [Read more...] about 플랫폼의 승자독식 현상은 갈수록 강화된다
영화는 공동창작예술이라는 시선과 태도 ‘리처드 링클레이터: 꿈의 연대기’
리처드 링클레이터만큼 시간이라는 관념을 작품 내외적으로 활용하는 감독이 있을까? 그는 작품 사이 9년의 간격을 두고 18년 동안 공개된 <비포> 트릴로지와 12년의 시간을 담은 <보이후드>를 만들었다. 링클레이터의 힘 있는 기획력과 한 편의 작품을 위해 뭉치는 영화 공동체의 힘이 있었기에 가능한 결과물이다. 루이스 블랙과 카렌 번스타인이 연출한 다큐멘터리 <리처드 링클레이터: 꿈의 연대기>는 1991년 <슬래커>로 데뷔한 링클레이터의 영화관을 … [Read more...] about 영화는 공동창작예술이라는 시선과 태도 ‘리처드 링클레이터: 꿈의 연대기’
필라이트가 카스보다 40% 저렴한 이유
TV나 유튜브에서 초록색 코끼리가 나오는 맥주 광고를 보신 적 있나요? 355mL 기준 1만 원에 12캔이라는 엄청난 가격으로 어필하는 이 제품은 하이트진로에서 발매한 '필라이트'입니다. 자, 대놓고 질문 들어갑니다. 맛은 둘째 치고 어떻게 이런 가격이 나왔을까요? 하이트진로가 마진을 포기한 것일까요? 맥주가 아닌 발포주 필라이트는 하이트진로에서 2017년 4월에 출시한 발포주입니다. 응? 맥주가 아니라 발포주라고요? 발포주는 뭘까… 와인과 비슷한 것인가요? 사실 발포주는 … [Read more...] about 필라이트가 카스보다 40% 저렴한 이유
학내 자살에 MIT가 대처하는 방법
※ 이 글은 Boston Globe에 실린 기사 「In wake of suicides, MIT bolsters mental health services」를 번역한 글입니다. 지난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메사추세츠 공과대학(MIT)에서는 네 명의 학생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이에 MIT는 정신 건강 서비스와 학생 지원을 강화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가을 학기부터 더 많은 정신 건강 상담사들을 배치하고, 정신 건강 전문가들과 상담할 수 있는 장소들을 만듦으로써, … [Read more...] about 학내 자살에 MIT가 대처하는 방법
10년 차 마케터가 대학생에게 드리는 글 1 : ‘대학교’가 중요한가요?
'10년 차 마케터가 대학생에게 드리는 글’ 그 첫 번째다. 내용을 참고하기 전에 0편 「들어가기」부터 읽기를 추천 드린다. 오늘은 가장 민감하지만 빈번히 받는 질문을 몸 풀기로 풀어보겠다. 그러니까 “마케터, 커뮤니케이터 되는데 ‘대학교’가 중요한가요?” 1. 광고홍보학과를 전공해야 하나요? 광고홍보나 경영, 미디어나 혹은 언론정보학과에 진학해야 마케터나 커뮤니케이터가 될 수 있을까?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비교하자면, 기본 체력에서 차이가 … [Read more...] about 10년 차 마케터가 대학생에게 드리는 글 1 : ‘대학교’가 중요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