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이야기. 개인적으로 상당히 애착이 가는 프로젝트가 하나 있었습니다. 그 프로젝트의 발의부터 최종 결과물을 검수하는 것까지 모두 저의 책임이었던 딱 저의 아이 같은 프로젝트였습니다. 동기간 진행 중이었던 다양한 프로젝트 때문에 리소스도 서비스에서의 관심도 너무 부족한 상황이었지만 꿋꿋이 프로젝트를 완료했었습니다. 제가 이 프로젝트에 유난히도 애착이 갔었던 이유는 제가 일전에 진행했었던 User Research 및 Persona를 통해 벌써 논리적으로 우리 서비스에게 있어 큰 효과가 … [Read more...] about UX 디자이너와 데이터가 만날 때
전체글
기업의 밸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투자를 받고자 하는 기업이 거의 항상 하는 실수는 자기 시각으로만 밸류를 산정하고 시장의 시각은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당장 돈이 아쉬워서 투자를 받는 기업이 아니라면 낮은 밸류에이션으로 투자를 받겠다는 기업은 없을 겁니다. 투자를 받고자 하는 대부분 기업은 자부심이 대단하므로 스스로에 대한 평가를 후하게 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우리 회사는 이렇게 훌륭하므로기업가치를 이만큼은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투자유치에 실패하는 사례 중 상당수는 바로 이런 밸류에이션 차이에서 … [Read more...] about 기업의 밸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안철수의 연설문 표절, 무엇이 문제인가
(안철수 연설이 오바마 표절이라는 글을 올린 뒤 여러 항의를 받았다. 댓글에는 괜찮았는데 메일로, 페이스북 메시지로, 심지어 지금 몇 년째 놀리고 있는 내 블로그까지 찾아와 그게 무슨 표절 이냐부터 시작해서, 오버 아니냐, 더 나아가 치사하다는 말까지 들었다. 그래서 좀 길게 설명한다. 그게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는 분들은 글이 길어도 꼭 읽어봐 주시기 바란다.) "토론의 달인이므로 여러분을 제압할 수 있다는 전제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재주로서 진실을 덮으려 하는 … [Read more...] about 안철수의 연설문 표절, 무엇이 문제인가
기업문화 고려시 주의사항
Question 대기업 취준생입니다. 기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으로 기업문화를 말씀하셨는데, 기업문화가 나랑 잘 맞는지 판단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Answer 기업문화랑 나랑 잘 맞는지 판단할 때 주의할 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겠지만, 그중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많은 분이 놓치고 있는 점만 한 가지 말씀드리겠습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기업문화를 판단할 때에는 지금의 내가 아닌 '10~20년 후의 나'를 염두에 두고 판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업문화를 … [Read more...] about 기업문화 고려시 주의사항
센서티브, 네가 느끼는 세상을 보여줘
언제부터 "민감함"과 "예민함"이 부정적인 특징처럼 거론되기 시작한걸까 내 주변 민감한 사람들이 더 편안하고 즐거웠으면 좋겠다 책 『센서티브』정보 원문: 서늘한 여름밤 … [Read more...] about 센서티브, 네가 느끼는 세상을 보여줘
친일문인 기념문학상에도 ‘기억 투쟁’이 필요하다
한국문인협회가 친일 부역 문인 육당 최남선과 춘원 이광수를 기리는 문학상을 제정하겠다고 나섰다가 여론의 몰매를 맞고 결국 뜻을 거두어들인 게 지난해 8월이다. 문협은 친일 경력에 대한 논란을 충분히 의식하고 있지만 한국 근·현대문학을 선도한 두 문인의 문학적 업적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웠었다. 당시 민족문제연구소는 육당과 춘원 문학상 제정을 ‘역사 퇴행의 막장 드라마’라며 규탄한 바 있었다. 그런데 이 막장 드라마는 주체가 바뀌어 계속 진행되고 있었음이 최근 밝혀졌다. 한 출판사가 … [Read more...] about 친일문인 기념문학상에도 ‘기억 투쟁’이 필요하다
정부과제는 어떻게 스타트업을 좀먹는가
무엇이 올바른 길인가? 죽어가는 환자에게 산소 호흡기를 떼어버리는 일이 올바른 일인가. 생명윤리와는 별개로 스타트업 생태계에도 동일한 이슈가 존재한다. 당장 정부과제 또는 정부지원금을 받지 못하면 동료가 떠나고 사업이 무너지고 망할 수밖에 없는 회사들. 정부지원이나 정부과제 없으면 존속이 불가능한 스타트업들이 양산된다면 정부는 스타트업 관련 정책의 방향성을 제고해봐야되지 않을까? 정부가 벤처기업에 직접 돈을 쥐여주는 정책은 심각하게 재고해야 합니다. 자금지원은 어떤 문제에도 근본적인 해결책이 … [Read more...] about 정부과제는 어떻게 스타트업을 좀먹는가
“도깨비책방”, 영화 티켓을 버리면 안 되는 이유
‘도깨비책방’은 무엇일까?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서점조합연합회와 함께 출판 산업 및 지역 서점 운영 활성화를 위해 '2017 문화가 있는 날' 사업의 일환으로 운영하는 일종의 이벤트다. 2월에 처음 진행되었는데, 4월에 또 이벤트가 시작된다. 2월 이벤트에서는 송인서적 부도로 인해 100만 원 이상 피해를 본 1인 출판사들의 책이 이벤트의 대상이었고, 4월 이벤트에는 송인서적 부도 피해 서적들을 포함하여 국내작가에 의해 최근 5년 이내 창작 또는 집필된 작품들이 추가될 예정이다. 도깨비책방에 … [Read more...] about “도깨비책방”, 영화 티켓을 버리면 안 되는 이유
[30년 만의 올림픽]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의 의미
1. 평창동계올림픽 ‘세계인의 축제’ 올림픽과 패럴림픽, 그중에서도 겨울스포츠 종목들로 펼쳐지는 동계 올림픽과 패럴림픽이 2018년 대한민국의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된다. 평창은 3번의 도전 끝에 지난 2011년 7월 7일 열린 제123차 IOC 총회에서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평창에서는 개폐회식과 대부분의 설상 경기가 펼쳐질 예정이며, 강릉에서는 빙상 종목, 그리고 정선에서는 알파인 스키 활강 경기가 개최될 예정이다. ‘하나된 열정(Passion, … [Read more...] about [30년 만의 올림픽]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의 의미
실리콘앨리 2017 : Silicon Alley Again
2015년 말 실리콘앨리에 대한 이야기를 칼럼에서 다룬 이후 약 1년 반 정도의 시간이 흘렀다. 실리콘밸리에 못지않은 성장세를 보이며 다양한 형태의 스타트업들이 활발한 활동을 하는 뉴욕의 실리콘앨리는 지난 시간 동안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그리고 향후 실리콘앨리에서 어느 분야와 지역을 주목해야 할지 살펴보고자 한다. 1. 실리콘앨리의 지속적인 성장 실리콘앨리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었지만, 2015년 실리콘앨리는 그 성장세가 실리콘밸리를 넘어설 정도로 폭발적인 성장을 … [Read more...] about 실리콘앨리 2017 : Silicon Alley Ag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