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5년간 3조5000억 투자한다고 발표한다 2. 조낸 그럴듯한 연구소를 차리고 연봉 2억의 연구소장 자리에 낙하산을 내려보낸다 3. 연봉 1억여원의 임원진 등 10여명 정규직 낙하산들로 채우고 나머지는 연봉 2000의 비정규직으로 채운다 4. 뭔가 하는 척 한다. 5. 잘 안된다 6. 한 10억 주고 인공지능 프로그램 외주준다. 7. 잘 안된다. 8. 한국판 알파고 개발완료했다고 발표한다. 9. 시연을 위해 이세돌과 이창호를 부른다. 한국식 알파고는 … [Read more...] about 한국판 알파고 만드는 법
테크
“That Dragon, Cancer”: 게임이란 무엇인가?
That Dragon, Cancer 한국에서 게임이 미디어에 소개되는 건 보통 두 가지 경우다. 범죄자의 컴퓨터에서 게임이 발견되었을 때, 게임이 외화를 잔뜩 벌어다주었을 때.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게임이란 문화를 향유하지만, 향유층의 경계선을 넘어서면 여전히 게임은 문화가 아니라 무가치하고 반사회적인 그 무엇인가로 여겨진다. 이 기사가 그런 선입견을 좀 풀어줄 수 있을까. 한국의 설 연휴 첫 날, 태평양 너머에서 뉴욕타임즈는 한 편의 게임을 소개하는 기사를 실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나 … [Read more...] about “That Dragon, Cancer”: 게임이란 무엇인가?
도달률을 높이는 포스팅 제목 짓기 팁
저번 화에서 네이밍에 관한 글을 올렸더니 포스팅용 컨텐츠 제목은 어떻게 지어야 하냐고 물어보신 분이 계셨어요. 그래서 오늘은 도달률을 높이는 컨텐츠 포스팅 제목 짓는 간단한 팁을 공유해보겠습니다. 1. 블로그 포스팅 제목 짓기 네이버 검색광고 활용하기 우리나라에선 온라인으로 뭔가를 알리려면 네이버를 거치지 않을 수가 없는 환경이죠. 아시다시피 네이버 검색 노출은 중요합니다. 발행하기 전에 네이버 광고관리시스템을 이용해 제목을 뽑으면 포스팅 도달률을 높일 수 … [Read more...] about 도달률을 높이는 포스팅 제목 짓기 팁
2016년 IT 업계를 이해하기 위한 5가지 상식
※ 한화투자증권에서 주최한 Cloudera 윤명호 이사님의 커넥티드 카 세미나 내용을 정리·편집한 글입니다. 편집자 주: '커넥티드 카'란 IT에 자동차를 연결시킨 것으로, 인터넷을 통해 차량과 양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마트폰 등을 통해 외부에서 시동을 걸거나 히터 등을 켜고 끌 수 있으며, 차량에서 뉴스와 날씨 등의 정보를 받아 볼 수 있다. 애플을 선두로 구글 등의 IT 기업들이 개발 중이며, 볼보, 벤츠, 아우디 등 기성 자동차 기업들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Read more...] about 2016년 IT 업계를 이해하기 위한 5가지 상식
스타크래프트가 다음 AI 과제로 적절한 이유
구글, 바둑 다음엔 ‘스타크래프트’ 게임에 도전 (조선일보) 이세돌 9단과 바둑 대결로 인간 두뇌에 도전한 구글이 다음 인공지능(AI) 도전 과제로 ‘스타크래프트’를 꼽았다. 스타크래프트는 미국 게임사 블리자드가 만든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구글의 제프 딘 선임연구원은 9일 오전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구글의 머신러닝’ 간담회에서 “구글 인공지능의 다음 도전과제는 스타크래프트”라고 말했다. 며칠전 구글에서 바둑 다음으로 스타크래프트에 … [Read more...] about 스타크래프트가 다음 AI 과제로 적절한 이유
알파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그리고 남겨진 숙제
이번 주 내내 화제가 되었던 ‘세기의 대결’이 알파고의 승리로 끝났다. 어렸을 때 남들처럼 바둑을 배웠고, 지금은 검색엔진의 데이터 과학자로 일하는 필자 역시 매 대국을 흥미롭게 지켜보았다. 필자는 꾸준히 글을 통해 빅데이터의 허상을 지적해왔고 최근에는 일반인들의 데이터 입문을 돕는 책까지 출판한 터라 특히 관심이 가는 주제였다. 하지만 필자에게 더 흥미로웠던 점은 이 사건에 대한 전문가와 비전문가 간의 반응 차이였다. 언론, 특히 한국 언론에서 보도되는 알파고는 인류의 구세주 혹은 재앙으로 … [Read more...] about 알파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그리고 남겨진 숙제
컴퓨터에게 아름다움을 가르치는 게 가능할까? : 데이터 시대의 디자이너
디자이너 두 명이 웹사이트 상품 구매버튼의 색상을 결정하기 위해 토론하고 있다. 디자이너 A는 블루를 사용하길 원하고 디자이너 B는 레드를 사용하길 원한다. 과거였다면 이런 토론은 색채 이론, 색채 심리학, 브랜딩과 컬러 트렌드 등 다양한 이론과 가설이 오고 가며 정답이 아닌 합의점을 찾아내는 설득의 과정에 가까웠을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 이런 토론은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버튼 색상 논쟁을 종결짓는 건 이제 이론도, 유행도 아닌 숫자다. 테스트의 간소화와 일반화로 인해 구매 버튼 색상의 … [Read more...] about 컴퓨터에게 아름다움을 가르치는 게 가능할까? : 데이터 시대의 디자이너
희귀난치성 질환자의 학습을 돕는 이로운 기구
나는 보조기구입니다 저에게는 자동자 디자이너를 꿈꾸는 19살 친구가 있습니다. 꿈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공부해야 하지만, 근이영양증을 앓고 있는 친구는 앉아있는 것조차 버거운 상태입니다. 퇴행성 근육병을 앓다 보니 손과 발을 움직이는 데도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제 친구는 꿈을 포기하지 않고, 누워서 노트북을 이용해 사이버 학교 수업을 들으며 매일 꿈에 한 발짝씩 다가가고 있어요. 저는 그런 제 친구에게 ‘손’이 되어주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저를 주로 전통 휠체어나 … [Read more...] about 희귀난치성 질환자의 학습을 돕는 이로운 기구
갤럭시 S7의 무난한 진화, LG G5의 도전적 변화
삼성과 LG가 2월 21일 나란히 자사의 플래그십 모델 갤럭시 S7과 G5를 공개했다. 안드로이드의 맹주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은 무난한 진화를 보여준 반면, 상대적으로 도전자 입장에 있는 LG는 모듈 방식을 도입하는 등 독특한 행보를 보였다. 갤럭시 S7 – 무난한 진화 갤럭시 S7과 갤럭시 S7 엣지는 전작인 갤럭시 S6의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이음새를 부드러운 곡선으로 단장해 세련미를 살렸다. Verge는 “전작의 검증된 디자인을 계승했다”고 평했고, … [Read more...] about 갤럭시 S7의 무난한 진화, LG G5의 도전적 변화
미래의 알파고가 우리를 지배하게 될까?
내가 AI 석사 과정이던 2001년은 이미 1차 인공지능 붐이 한바탕 불었다 시들해졌을 때였다. 그래서 그런지 당시 인공지능 업계의 분위기는 일종의 패배주의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부정적인 요소가 많았고, 조금 아는 사람들이라면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체하는 게 아니라 특정 도메인에서 제한적인 역할로서 인간을 대체할 것이라는 정도로만 기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번엔 안 그래도 딥러닝의 개발로 IT업계가 술렁이던 차에 알파고가 나타나 2차 AI 붐을 예고하고 있다. 나는 이런 분위기에서 일종의 … [Read more...] about 미래의 알파고가 우리를 지배하게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