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바둑 다음엔 ‘스타크래프트’ 게임에 도전 (조선일보)
이세돌 9단과 바둑 대결로 인간 두뇌에 도전한 구글이 다음 인공지능(AI) 도전 과제로 ‘스타크래프트’를 꼽았다. 스타크래프트는 미국 게임사 블리자드가 만든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구글의 제프 딘 선임연구원은 9일 오전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구글의 머신러닝’ 간담회에서 “구글 인공지능의 다음 도전과제는 스타크래프트”라고 말했다.
며칠전 구글에서 바둑 다음으로 스타크래프트에 도전하겠다는 기사가 나왔다. 정말로 진지하게 다음 목표로 삼고 있는 건지, 아니면 인터뷰 와중에 잠깐 가능성을 타진한 말이 기사화된 건지는 잘 모르겠다. 어쨌든 스타크래프트가 다음 목표가 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아마 AI가 스타크래프트같은 게임에서 사람을 이기기는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고 본다.
물론 조건이 필요하다. AI도 사람과 똑같은 인터페이스로 스타크래프트 게임을 해야한다는 전제다. 말하자면,
- 스타크래프트가 구동되는 컴퓨터
- 스타크래프트를 조작하는 컴퓨터
가 완전히 따로 존재하고, 2번은 1번이 출력해주는 모니터 신호로 상황을 보고, 1번에게 마우스 이동, 클릭 신호와 키보드 누름 신호를 보내서 조작한다는 설정이다. 사람이 눈으로 보고 조작하는 것과 같은 조건이다.
만약 AI가 현재 스타크래프트 인게임 AI 스크립트처럼, 프로그램 내부의 정보를 받아서 게임을 한다면 어떤 순간에 어느 위치에 내 유닛과 적 유닛이 있는지 다 안다는 이야기이다. 말하자면 “맵핵”이다. 스타크래프트를 다음 목표로 삼는다면 아마 이런 조건이 되진 않을 것이다.
컴퓨터가 유닛 하나하나를 따로 컨트롤하면 사람이 못이기지 않나?
댓글란에서 위와 같은 문제제기도 있었다. 맞는 말이다. 스타크래프트는 바둑과 달리 사람이 직접 마우스와 키보드를 ‘실시간’으로 조작해야하는 게임이다. 기계는 지치지도 않고 정확하게 조작을 할 수 있으니, 소위 “피지컬”에서 컴퓨터 쪽이 훨씬 유리하다.
하지만 AI가 결정적으로 불리한 면이 있다. 바로 시각신호 처리와, 순간적인 판단/추론 능력이다.
사람은 한눈에 유닛의 배치를 보고 유불리를 판단하고 다음 행동을 정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의 AI 시각 처리 기술로는 그렇게 빠르게 판단을 하지 못한다. 알파고의 바둑같은 경우에는, 컴퓨터가 처리해야할 시각정보라 해봤자 결국 19 x 19 픽셀의 바둑돌 배치일 뿐이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에서 쏟아지는 시각 정보는 훨씬 더 많다. 각종 유닛의 모양을 구분해야하고, 그 배치와 지형을 파악해야한다.
만약 AI를 좀 도와주기 위해서 한 화면에 나오는 유닛 구분정보 정도는 준다고 해도(실시간 모양 인식까진 안한다고 했을 때도) AI는 “내가 지금 어떤 장면을 봐야하는지” 선택을 해야한다. 이것도 만만치 않은 작업이다.또한 바둑은 “턴”이 있는 게임이고, 다음 행동을 결정하는데 충분한 계산 시간이 주어진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는 거의 초단위로 결정이 이루어져야한다. 아무리 컴퓨터가 컨트롤을 정교하고 빠르게 한다고 해도, 결국 결정이 늦어지면 빠른 행동은 별 의미가 없어진다.
이미 스타크래프트에 인게임 AI가 있기 때문에 다음 과제로 스타크래프트에 도전하는게 쉬워보일 수는 있다. 하지만 인게임 AI는 이미 게임내의 룰을 잘 아는 블리저드의 디자이너가 여러가지 룰들을 동원하고, 게임프로그램 내의 정보를 활용해서 만든 스크립트들이 조합된 결과물이다. 만약 “게임 밖의 다른 AI 프로그램”이 학습을 통해 스타크래프를 조작하고 플레이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한다면 이 과제는 바둑을 잘 두는 것보다도 훨씬 어려운 문제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