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력이 미친 창업팀 5월에 PM으로 근무해 온 스타트업을 퇴사했고, 창업을 시작했다. 퇴사 직후 2개월 동안 팀 빌딩 과정을 거쳤고, 7월이 돼서야 만족스러운 팀 빌딩이 끝났다. 팀이 새로 만들어지면서, 서비스도 새롭게 리빌딩됐다. 문제와 핵심 가치도 새로 정의했으며, 전반적인 UI도 개편이 진행됐다. 무엇보다 서비스명도 '마이플랜잇'에서 '투두몰'로 바뀌었다. 마이플랜잇은 일단 회사명으로 가져가기로. 투두몰 알아보기 창업에 진심인 사람들이 모인 덕분에, 팀이 결성된 직후부터 … [Read more...] about 행동력이 미친 창업 팀, 개발 없이 MVP 테스트하기
스타트업
과연 당근마켓은 언제쯤 돈을 벌 수 있을까요?
이대로 더 버틸 순 없습니다 얼마 전 당근마켓은 창립 7년 만에 처음으로 대표를 교체하는 강수를 두었습니다. 황도연 신임 대표가 새로이 선임되어 국내 사업 부문을 맡게 된 건데요. 기존 공동 대표 2명 중 김용현 대표는 해외 사업 부문을 맡으면서 유임되었지만, 김재현 대표는 아예 CSO(최고 전략 책임자)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사실상 창업자였던 기존 대표들이 뒤로 물러나고, 새로운 리더십이 전면에 나서게 된 겁니다. 가장 주요한 국내 사업은 오로지 황도연 대표가 주도하게 … [Read more...] about 과연 당근마켓은 언제쯤 돈을 벌 수 있을까요?
일본의 부자들은 어디에 살까? 도쿄의 부자 동네
원래 부동산에 아예 관심이 없던 나였는데, 서울에서 직장 잡고 봉천동에서 4평 원룸 살이를 하며 처음으로 내 집 마련의 꿈을 가지게 되었다. 일본에 오기 직전에는 서울숲 근처의 원룸에 살았는데, 산책을 갈 때마다 초고층 아파트를 보며 '저런 곳에 살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생각하곤 했다. 주재원 발령을 받고 도쿄행 비행기를 타기 전날 밤, 마지막으로 혼자 서울숲을 거닐며 서울숲의 랜드마크, 4대 천왕을 바라보았다. 반드시 5~10년 안에 성공해서 저곳에 입성하리라 다짐했다. 도쿄에 … [Read more...] about 일본의 부자들은 어디에 살까? 도쿄의 부자 동네
퍼포먼스 마케터에게 필요한 능력 3가지
퍼포먼스 마케팅은 성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현재의 흐름에 따르면 디지털상에서 미디어와 데이터를 다루는 측면으로 정의되고 있는 듯하다. 이에 맞추어 디지털 퍼포먼스 마케터의 주요한 자질과 능력을 논해보고자 한다. 총 6가지로 분류하였다. 1. 기획력 기획력은 2가지로 나뉜다. 소재 기획, 전략 기획이다. 1-1. 소재기획 카피, 배너, 영상, 상세페이지 기획을 말한다. 광고 필드에서는 통칭 '소재'라고 묶어 말하기도 한다. 동일한 광고비, 동일한 … [Read more...] about 퍼포먼스 마케터에게 필요한 능력 3가지
1인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B2B 서비스로 확장하기까지
작년 10월부터 1인 사이드 프로젝트로 노션 템플릿 사이트, 노션박스를 운영해왔다. 노션박스는 직접 만든 다양한 노션 템플릿을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웹사이트다. 노션박스 바로가기 머릿속에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만들길 좋아하다 보니 혼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는데, 이렇게 오랫동안 지속해 온 프로젝트는 처음이었다. 약 1년이란 시간 동안 학교와 회사라는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혼자서 프로젝트를 끌고 온 이유는 프로덕트를 좋아하는 분들이 있기 때문이었다. 유저에게 … [Read more...] about 1인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B2B 서비스로 확장하기까지
정말로 누구나 콘텐츠로 돈을 벌 수 있을까?: 포스타입으로 보는 플랫폼 비즈니스
누구나 콘텐츠로 돈을 벌 수 있는 시대: 포스타입이란? '창작'은 대개 전문 작가만이 할 수 있는 영역이었다. 하지만 디지털 크리에티브 시대로 오면서 누구나 창작물을 낼 수 있게 되었다. 자신의 재능을 인터넷상에 공개하고 소비하는 시대. 창작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허물어져서, 말 그대로 누구나 자신의 재능을 공개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다만 공개한다는 것과 돈을 번다는 것은 다르다. 작가 개인이 개인 간의 거래로 창작물을 파는 것은 한계가 있으니, 자유로운 창작 채널이 필요했다. … [Read more...] about 정말로 누구나 콘텐츠로 돈을 벌 수 있을까?: 포스타입으로 보는 플랫폼 비즈니스
크림, 이럴 거면 매장 내지 말지
크림도 오프라인으로 향합니다 11월 29일, 한정판 거래 플랫폼 크림의 첫 오프라인 매장이 롯데백화점 잠실점에서 문을 열었습니다. 물론 이러한 모습이 낯설진 않습니다. 최근 중고 거래 시장의 오프라인 확장이 활발해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미 더 현대 서울에 번개장터의 오프라인 매장 '브그즈트 랩'이 오픈한 바 있고요. 아예 현대백화점은 업계 최초로 중고 상품 전용관인 '세컨드 부티크'를 신촌점에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신세계백화점 역시 번개장터에 투자한 데 이어, SSG닷컴에 이를 입점시키기도 … [Read more...] about 크림, 이럴 거면 매장 내지 말지
인공지능이 ‘개인 맞춤형 스킨케어’의 시대를 열게 될까?: 네이버와 코스맥스가 투자한 아트랩 ‘AI 피부 진단 솔루션’
최근 패션 서비스들은 모두에게 같은 상품을 보여주지 않는다. 개인의 특징, 취향에 따라 맞춤형으로 리스트를 보여준다. 하지만 화장품 업계는 이런 ‘개인화’가 늦어졌다. 피부는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다. 지성/건성, 웜톤/쿨톤 등으로 이야기하지만, 실제로 그렇게 명확하게 구분되진 않는다. 패션은 사진만 잘 찍어도 컬러, 스타일 등을 분류하기 쉽지만, 피부는 측정부터가 어렵다. 어제와 오늘도 다르고, 전문 측정 장비는 피부과에서나 볼 수 있다. 개인화가 중요하지만 쉽지 않은 … [Read more...] about 인공지능이 ‘개인 맞춤형 스킨케어’의 시대를 열게 될까?: 네이버와 코스맥스가 투자한 아트랩 ‘AI 피부 진단 솔루션’
부수익을 만드는 나홀로 사이드 프로젝트
하고 싶은 일이 있지만, 돈이 없다면? 1. FameLee가 부수익을 생각한 이유 5월에 다니는 회사를 퇴사하고, 창업을 시작했다. 문제는 창업을 하고, 수익을 만들기까지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지 고민이었다. 서비스가 당장 대박이 나서 돈이 나면 좋겠지만, 모든 창업이 그렇듯 수익이 발생하기까지 시간을 예측할 수 없었다. 회사를 다니면서 모은 돈이 있지만, 언젠가 이 돈은 바닥날 것이다.그 이후에 버틸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하고 싶은 일이 있지만, 돈이 없어서 할 수 없는 상황은 막고 … [Read more...] about 부수익을 만드는 나홀로 사이드 프로젝트
대기업을 뛰쳐나온 남자, 한국어 시장이라는 블루오션에서 36만 다운로드 앱을 개발하기까지: 아이디자인랩 김태영 대표 인터뷰
33만 명이 치는 한국어 시험, 그러나 정작 한국어 교육은 준비되지 못했다 리: 각자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김태영: 아이디자인랩 CEO 김태영입니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능력시험(TOPIK) 앱 ‘펀픽(FunPik)’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박송연: 앱 서비스와 한국어 학습 콘텐츠 기획을 담당하고 있는 박송연입니다. 리: TOPIK, 그러니까 한국어능력시험은 뭔가요? KBS 한국어 능력시험과는 다른가요? 김태영: KBS 한국어 능력시험은 ‘한국인’을 … [Read more...] about 대기업을 뛰쳐나온 남자, 한국어 시장이라는 블루오션에서 36만 다운로드 앱을 개발하기까지: 아이디자인랩 김태영 대표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