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음, 짧음, 놀랍기만 함. 이 세 가지는 안 팔리는 콘텐츠의 공통점입니다. 1. 같다. '같다'는 것은 이 페이지, 저 페이지를 클릭해도 내용이 똑같다 혹은 비슷하다는 것입니다. 고객이 어떤 제품을 비교하려 이 쇼핑몰, 저 쇼핑몰 돌아다녀도 보이는 것은 똑같거나 비슷한 콘텐츠라면 고객의 선택은 어떻게 될까요? 모두 비슷하다면 고객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은 ‘가격’ 또는 ‘후기 숫자’ 빼곤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보통 이런 경우에선 처음 시장에 진입한 선배 쇼핑몰들이 가격과 … [Read more...] about [머니 콘텐츠] 6. 안 팔리는 콘텐츠의 3가지 특징
스타트업
‘이벤트 굿즈’의 비밀
롯데리아는 이제 많은 사람에게 믿고 먹는 햄버거보다 '믿고 거르는' 햄버거라는 이미지가 더 강해졌다. 안 그래도 롯데리아 특유의 적은 양이 고객들을 떠나게 하는 것은 물론이며, 과거부터 이미 경쟁하던 버거킹과 맘스터치 등이 '가성비'와 '양'을 강조하면서 시장을 치고 들어오며 기존 롯데리아를 이용하던 고객들의 이탈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2019년 말, 과거 한 시대를 주름잡던 롯데리아의 명성은 과거에 비해 점점 퇴색하는 분위기이다. 하지만 롯데리아를 떠나 있던 고객들, 혹은 한 발자국 … [Read more...] about ‘이벤트 굿즈’의 비밀
펭수에게 입덕할 수밖에 없는 이유
※ 방송학 전공자인 글쓴이가 펭수 덕질을 하다가 사심으로 펭수 세계관을 분석해본 내용입니다. 남극이라는 먼 곳에서 한국까지 헤엄쳐서 온 펭수는 참 씩씩하고 밝다. 크리에이터의 꿈을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대견하기도 하고, 때론 찡하기도 하다. 가끔 엄마가 보고 싶다며 외로움을 표시할 때는 가서 안아주고 싶은 마음이 든다. 구독자가 몇 명 없을 때부터 크리에이터 세계에 진입하기 위해 노력하던 펭수를 보면, 대학 졸업 후 취업의 문을 뚫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내 모습이 … [Read more...] about 펭수에게 입덕할 수밖에 없는 이유
나만 빼고 다 한다! 쇼핑몰 고객 분류
지난 글에서는 고객 분류의 개념과 필요성, 효과적인 고객 분류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말씀드렸듯, 이커머스에서 고객을 분류하기 위한 분석 모델과 그보다 더 쉬운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커머스 내 고객 세분화 방법: RFM 모델 이커머스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고객을 분류했을 때 효과적일까요? 고객을 분류하고 관리하는 CRM 마케터들이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RFM 분석법이 있습니다. RFM은 구매의 최근성(Recency), 구매 빈도(Frequency), … [Read more...] about 나만 빼고 다 한다! 쇼핑몰 고객 분류
신입사원부터 C 레벨까지 습관 들이는 파일명 작성 규칙
현대인의 디지털 기반 업무 환경에서 잘 정리된 도큐먼트 폴더와 파일 관리는 업무 효율을 높이는 데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센스 있는 직장인이라면 주기적으로 PC 또는 노트북 컴퓨터의 바탕화면과 문서 폴더를 점검하고 향후 자료 파악이 용이하도록 잘 정리해 놓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하루 이틀 정리를 미루다 어느새 난장판이 되어버린다. 그만큼 쌓이는 업무 문서자료가 많다. 날마다는 힘들더라도 한 주 또는 한 달에 한 번 정도 날짜를 정해서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다 보면 아주 효율적인 업무 습관을 … [Read more...] about 신입사원부터 C 레벨까지 습관 들이는 파일명 작성 규칙
[머니 콘텐츠] 5. 안 팔리는 콘텐츠 VS. 팔리는 콘텐츠
고객들은 꼭 최저가만을 원할까요? 고객들은 꼭 유명한 제품만 원할까요? 고객은 어떤 마음으로 우리 쇼핑몰/상세 페이지에 들어왔을까요? 이 질문에 관한 많은 고민이 팔리는 콘텐츠를 만듭니다. 직전 브런치에서 SNS콘텐츠 영역의 (복권보다) 희박한 성공 확률에 대해 이야기를 했기 때문에 저는 이야기를 다시 사이트 콘텐츠 영역으로 돌리겠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좋은 마케터란 창의적인 마케팅 방법을 생각하는 사람이 아니라 현재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방법을 선택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Read more...] about [머니 콘텐츠] 5. 안 팔리는 콘텐츠 VS. 팔리는 콘텐츠
일론 머스크가 상하이에서 막춤을 춘 이유
※ MarketWatch의 「Tesla’s market cap is now bigger than Ford’s was at its peak」를 번역한 글입니다. 테슬라(Tesla Inc.)의 주가가 사상 최고치인 469.06달러를 기록하면서 시가총액 면에서 포드 자동차를 넘어섰다.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800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했고, 이전 포드의 기록(1999년 808억 달러)을 넘어섰다. 당시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는 후에 페이팔이 된 곳을 비롯해 몇 개의 기술 기업을 … [Read more...] about 일론 머스크가 상하이에서 막춤을 춘 이유
10년간 최다 지출 앱, 넷플릭스는 당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있다
※ UX Collective의 「Netflix discovery experience — a UX/UI case study」를 번역해 각색한 글입니다. 넷플릭스는 여러분이 보고 싶어 할 콘텐츠를 어떻게 미리 알고 추천해주는 걸까요? 이번에 위시켓에서 다룰 주제는 일상적으로 여러분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어떻게 하면 더 즐거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입니다. 우리가 하루에 결정을 내려야 하는 순간은 평균적으로 35,000번이라고 합니다. 아침에 어떤 옷을 … [Read more...] about 10년간 최다 지출 앱, 넷플릭스는 당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있다
퇴사하고 나서 깨달은 것 3가지
머리로는 아는데, 마음으론 이해 안 되는 것들이 있다. 달릴 때는 모르는데,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 있다. 몰랐던 건 아니지만 와 닿지 않았던 게 있다. 퇴사하느냐 마느냐 고민하는 과정일 때는 보이지 않던 게 보이기 시작했다. 1. 인생에서의 선택은 51:49이다 완벽한 선택을 하려고 아등바등했던 때가 있었다. 단점을 최소화하고, 장점을 극대화하는 선택을 하고 싶었다. 하지만 인생에서의 선택은 100:0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됐다. 내가 선택하는 것이 100, … [Read more...] about 퇴사하고 나서 깨달은 것 3가지
디자인 씽킹은 만병통치약이다, 고객의 총체적 경험을 디자인하라: 디자인 씽킹 전문가 키키 김진원 인터뷰
최기영(ㅍㅍㅅㅅ 소속, 이하 최): 지금은 무슨 일을 하세요? 김진원(디자인 씽킹 전문가 키키): 디자인 씽킹 기반의 디자인 컨설팅을 주로 하고, 자기다움 기반의 커리어 코칭도 병행해요. 최: 디자인 씽킹 기반의 디자인 컨설팅은 뭔가요? 김진원: 디자인 씽킹이라는 프로세스이자 마인드셋을 이용해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최종고객에게 가치 있는 경험을 종합적으로 디자인하는 컨설팅이죠. 의뢰하는 고객의 상황에 따라 아웃풋은 다양할 수 있는데요. 신제품 디자인전략, 디지털 … [Read more...] about 디자인 씽킹은 만병통치약이다, 고객의 총체적 경험을 디자인하라: 디자인 씽킹 전문가 키키 김진원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