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우리 사회에는 부정할 수 없는 하나의 정서가 확고부동하게 자리 잡은 듯하다. 그것은 "일단 나라도 살고 보자."라는 정서이다. 사실상 이 정서가 너무 강렬해져서, 사회나 문화에 존재하는 다른 가치들은 전혀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생존이 너무나 중요해진 나머지, 그 밖의 모든 것은 부수적이 된 것이다. 이제는 모르는 사람이 없는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에서 생존은 대략 1, 2단계 정도에 위치한다. 이 단계를 넘어서고 나면, 사랑과 소속, 존중과 인정, 아름다움과 가치 등 … [Read more...] about “공포”에 사로잡혀 있는 한국 사람들
사회
우울증을 제때 치료하는 것이 월급보다 높은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이유
2022년 한국의 우울증 유병률은 36.8%였는데, 이것은 oecd 국가 중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다. 출생률을 0.6을 찍은 나라에서 우울증 유병률이 이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은 단순히 심리적 우려에 그칠 게 아니라 생존의 문제이다. 30년 후엔 거의 없을 노동인구 중에서도 3분의 1 이상이 우울증과 불안, 스트레스로 본래의 업무 능력을 발휘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우울증에 걸린 직장인들은 평소보다 인지능력이 47% 떨어져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실수를 반복한다. 집중력 … [Read more...] about 우울증을 제때 치료하는 것이 월급보다 높은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이유
높으신 분들을 우리가 믿지 않는 심리학적 이유
심리학자들은 나에게 일어난 긍정적인 사건의 원인을 내부적인 것(나의 능력이나 노력 등)에 귀인하고, 부정적인 사건의 원인을 외부적인 것(운, 외부 여건, 돌발 요소 등)에 귀인하려는 성향을 가리켜 ‘자기 위주 편향(Self-serving bias)'이라 일컫는다. 쉽게 이야기하면 ‘잘되면 제 탓, 못되면 조상 탓’이라던 한국 속담의 의미와 그대로 닮아 있는 용어다. 그렇다면 자기 위주 편향은 왜 발생하는가?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우리가 부지불식간에 자기 위주 편향에 빠져드는 주된 이유는 … [Read more...] about 높으신 분들을 우리가 믿지 않는 심리학적 이유
우리 시대를 삼켜버린 저주 “과소비”에 대하여
우리 시대에 일종의 저주가 있다면, 그것은 상당수가 소비와 관련되어 있을 거라 생각한다. 과거에 저주를 내리는 존재가 악령이나 마녀였다면, 우리 시대에는 소비가 저주를 내린다. 가령 <결혼 지옥> 같은 프로그램만 보더라도, 부부의 상당수는 소비습관 문제로 파국으로 흐른다. 현대인은 소비의 문제에서 면역력을 기르지 못하면, 거의 파멸에 다가간다. 당장 눈앞의 쾌락에 눈이 멀어 카드를 긁어대다 보면 그다음에는 리볼빙과 카드론의 늪이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소비수준을 줄이는 … [Read more...] about 우리 시대를 삼켜버린 저주 “과소비”에 대하여
“금전적 인센티브”가 마약인 이유
1. 금전적 인센티브와 기업 경제학에서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방법으로 크게 인센티브와 페널티를 꼽는다. 경제학을 조금이라도 공부했거나 회사를 운영해 본 사장님들은 페널티보다는 인센티브가 더 (어렵지만) 나은 방법이라는 걸 알고 있다. 그래서 많은 회사들이 성과급을 주거나, 상품과 같은 금전적인 보상으로 인센티브를 준다. 하지만 금전적인 인센티브, 즉 돈은 마약이다. 돈은 직접적이다. 바로 효과가 나타난다. 직원들은 고무되어 회사 생활 열심히 해보겠다고 다짐한다. 하지만 그 효과는 짧다. … [Read more...] about “금전적 인센티브”가 마약인 이유
반드시 이뤄지는 계획 세우는 법
무슨 신년 계획입니까, 올해 계획은 어디로 갔나요? 시작부터 시비(?) 걸어서 죄송하다. 여러분의 연말연초 풍경은 어떤가? 많은 사람들이 다가오는 한 해만큼은 계획했던 것들을 다 실천하며 열심히 한번 살아보자고 다짐한다. 조금 더 부지런한 사람들은 플래너·다이어리를 산다. 금연, 다이어트, 자격증 따기, 승진하기, 연애·결혼하기, 취업하기 등등 큼직한 목표를 세우고, 조금 더 시간이 있다면 세부 행동 계획까지 마련해 본다. 문제는 여러분도 알고 나도 아는 그것이다. '실천의 부재'. … [Read more...] about 반드시 이뤄지는 계획 세우는 법
소득이 재정적 성공의 핵심인 이유
※ 이 글은 Of Dollar and Data에 기고된 「Paychecks, Not Portfolios: Why Income is the Key to Financial Success」를 번역한 글입니다. 부를 일구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투자일까? 시작 시점일까? 마음가짐일까? 오랜 시간 생각해 온 질문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부를 일구는 가장 좋은 예측 변수는 소득이라고 점점 더 확신하게 되었다. 중요한 것은 자산 배분이나 투자 지식, 또는 재무 목표가 아니다. … [Read more...] about 소득이 재정적 성공의 핵심인 이유
흔히 잘 놓치는 스트레스 관리법을 소개합니다
스트레스,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맛있는 것 먹기, 가족과 의논하기, 늦잠 자기, 문제 해결하기, 기도하기, 잊어버리려 노력하기, 사우나 가기, 쇼핑하기, 영화 보기, 운동하기, 고민 상담 요청하기, 정면돌파하기, 정신승리하기, 현실 부정하기 등 여러분만의 다양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런데 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들을 몇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눈치챘다. 일명 스트레스 대처 전략(방략, stress coping strategy)이라고 … [Read more...] about 흔히 잘 놓치는 스트레스 관리법을 소개합니다
회의 시간을 돈으로 환산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마라
최근 있었던 모기업 임원 코칭의 한 장면이다. 박사님, 사장님께서도 우리 회사의 급여 수준이 경쟁력이 있는 수준으로 향상되었으니, 외적 동기가 아닌 내적 동기로 구성원을 리딩하라고 강조하시는데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상무님 스스로 외적 동기보다 내적 동기를 우선시하는 말과 행동,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내적 동기를 중시하는 리더의 태도가 구성원들의 외적 동기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지금부터 … [Read more...] about 회의 시간을 돈으로 환산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마라
부자가 되기 위해 아주 똑똑할 필요는 없다
※ 이 글은 Bloomberg에 기고된 「You Don't Have to Be Smart to Get Rich」를 번역한 글입니다. "그렇게 똑똑한데, 왜 부자가 아닐까?" 학자들, 특히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던 질문이다. 훌륭한 질문이기도 하다. 이 질문은 사업가들에게도 적용된다. 지능의 한 척도일 뿐인 IQ와 근로 소득과의 연관성은 그리 강하지 않다는 게 점점 증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눈에 띄는 증거도 있다. 스웨덴 대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 [Read more...] about 부자가 되기 위해 아주 똑똑할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