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몇 년 전 인터넷상에서 높은 조회수를 기록한 한 피자 배달노동자의 이야기를 본 적이 있다. 그는 한 재개발 예정 지역과 고급 아파트 단지에 1년간 배달을 다니며 느낀 단상을 들려주었다. 부자 동네를 가면 자신에게 공손하게 인사하는 아이와 그 옆에서 그렇게 하도록 아이를 가르치는 부모의 모습을 보았고, 가난한 동네에서는 인사는커녕 자신을 하대하는 태도를 느꼈다고 했다. 그는 부모의 부족한 인성과 여유, 혹은 낮은 교육 상태가 자식들로 하여금 낮은 자존감을 갖게 하고 사회적 성취를 어렵게 … [Read more...] about 당신이 우울해서 가난하다는 서사의 폭력
의학
정형외과 전문의가 말하는 사무직이 아플 수밖에 없는 이유와 대처법 : 논현정형외과 김도연 원장님 인터뷰
고개를 숙이고 일하는 사무직, 머리에 27kg부담이 간다 이승환: 자기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김도연: 3년째 논현정형외과에서 도수치료를 비롯한 여러 통증 치료를 하고 있는 김도연 원장입니다. 그 전에는 분당서울대병원 어깨 관절팀에서 LG트윈스 필드닥터도 하고, 수많은 임상경험 및 수술참여를 했었고, 거제도 대우병원에서는 수많은 수술집도 및 외상 환자치료를 했었습니다. 이승환: 제가 목도 안 좋고 허리도 안 좋고, 성한 데가 없는데 왜 이런 겁니까? 김도연: 모든 사무직 직장인이 … [Read more...] about 정형외과 전문의가 말하는 사무직이 아플 수밖에 없는 이유와 대처법 : 논현정형외과 김도연 원장님 인터뷰
렘데시비르보다 낫다? 플리티뎁신이 새로운 코로나19 치료제가 될 수 있을까
현재 수많은 과학자가 코로나 19 치료제를 찾기 위해 도전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기존의 약물 가운데 SARS-CoV-2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을 찾아보는 것입니다. 이미 승인되어 시판되는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개발 기간과 비용을 크게 단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미국, 프랑스, 스페인의 국제 과학자팀은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치료제로 사용했던 약물인 플리티뎁신(Plitidepsin), 상품명 아플리딘(Aplidin)이 실험실 환경에서 … [Read more...] about 렘데시비르보다 낫다? 플리티뎁신이 새로운 코로나19 치료제가 될 수 있을까
화이자 백신 1회 접종만으로, 21일 후 90%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화이자 바이오앤테크 코로나 19 백신을 가장 빠른 속도로 접종 중인 이스라엘에서 1회 접종만으로도 21일째 90%의 예방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의 폴 헌터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50만명의 접종 및 코로나 19 검사 데이터를 통해 이런 연구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다만 아직 동료 심사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프리프린트 서버에 올라온 내용입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예방 효과는 8일부터 의미 있게 나타나 두 번째 접종을 받는 21일에는 … [Read more...] about 화이자 백신 1회 접종만으로, 21일 후 90%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백신 접종, ‘디테일’이 관건이다
정부가 코로나 예방접종 세부계획을 발표했다(바로가기). 전보다 좀 더 상세하게 계획을 짰으니 세부라는 말이 맞겠지만,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모든 이의 관심사, 한 사람 한 사람이 언제쯤 어디서 접종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정도가 되려면 한참 더 기다려야 할 것이다. 정부가 모든 역량을 동원한 결과물에 대해 일반 원칙과 원리는 시비하지 않으려 한다. 문제가 없어서 그런 것이 아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야말로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을 가는 만큼, 정부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능력과 … [Read more...] about 백신 접종, ‘디테일’이 관건이다
신체 접촉의 중요성
※ Aeon의 「Touch is a language we cannot afford to forget」을 번역한 글입니다. 촉감(touch)은 우리가 세상애서 처음으로 느끼는 감각인 동시에 죽음의 마지막 순간까지 가져가는 감각입니다. 마가렛 앳우드는 “눈먼 암살자(The Blind Assassin)”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손은 눈보다 빠르고, 말보다도 빠르다(Touch comes before sight, before speech). 촉감은 가장 먼저 배우는 말이자 가장 … [Read more...] about 신체 접촉의 중요성
렘데시비르의 효과가 부족한 이유: 바이러스 증식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한다
코로나 19의 치료제로 최초 승인을 받았던 렘데시비르는 기대와는 달리 효능이 그다지 탁월하지는 않아서 사망률을 낮추는 효과는 어떤 연구에서도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실험실 환경이나 특수 상황에서 바이러스를 억제한다는 사실은 분명히 입증되었지만, SARS-CoV-2 바이러스를 완전히 차단하는 데는 실패한 것입니다. ※ 참고 포스트 「렘데시비르 자체는 분명히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효과가 있다?」 「코로나 19 입원 환자 치료에서 렘데시비르를 치료제로 추천하지 … [Read more...] about 렘데시비르의 효과가 부족한 이유: 바이러스 증식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한다
식물 유전체 분석, 바이오 시장의 블루오션인 이유: 인포보스 박종선 대표 인터뷰
Part 1. 모든 식물 데이터를 긁어모아 DB화를 한 생물학 박사 이승환(ㅍㅍㅅㅅ 대표, 이하 리):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박종선: 인포보스 공동대표 박종선입니다.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식물 유전체를 분석해 신약을 만드는 일을 합니다. 리: 직원이 20명 정도인데, 이 규모로 신약 개발이 가능한가요? 박종선: 최종적인 신약 개발이 아닌, 그 전 단계를 수행합니다. 보통 신약 개발은 ‘당뇨 치료’ 같은 명확한 목표를 만듭니다. 신약의 후보들을 만들고, 전임상 단계 실험을 … [Read more...] about 식물 유전체 분석, 바이오 시장의 블루오션인 이유: 인포보스 박종선 대표 인터뷰
지금부터 백신 접종 준비를
12월 19일부터 12월 26일까지 미국의 코로나19 예방접종 인원은 194만 명에 머물렀다. 단순 계산으로 하루 24만 명 남짓이다. 앞으로 점점 더 빨라지겠지만 아직 가속도는 붙지 않은 상태다. 미국보다 시작이 빨랐던 영국은 어떨까? 12월 9일 시작한 후 12월 24일까지 약 80만 명이 접종을 마쳤다. 미국보다 속도가 더 늦어 하루 5만 명 정도에 그친다. 마음은 조급하지만, 백신이 ‘성공’하는 데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함을 절감한다. 이런 속도로 가서야 언제쯤이나 사회적 효과를 … [Read more...] about 지금부터 백신 접종 준비를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은 왜 ‘4딸라’인가?
※ The Wall Street Journal의 「For Covid-19 Vaccine, South Korea Says It Can Wait Until the Price Is Right」을 참고하여 제작되었습니다. 6줄 요약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은 EU에 마진을 거의 붙이지 않고 가장 싼 가격에 공급됨 그 이유 중 하나로 백신 부작용에 관련된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일정 부분에 대해 면책특권을 받기로 EU와 합의했기 때문 역으로 말하면, 다른 백신들은 … [Read more...] about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은 왜 ‘4딸라’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