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IT 업계뿐 아니라 금융권 전체를 뒤흔들고 있는 이슈는 인터넷전문은행의 공식 출범이다. 올해 초 케이뱅크, 중반기 카카오뱅크의 공식 런칭은 금융권 전체를 뒤흔들고 있다. 특히 카카오뱅크 출범 이후 급속도로 늘어나는 가입자 수와 그에 따른 다양한 이슈는 다른 금융권의 서비스 정책을 뒤흔들고 있다. 캐시카드의 캐시백 서비스를 더 늘린다던지 뭐 그런 다양한 서비스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것이었다. 카카오뱅크보다 먼저 출범한 케이뱅크도 카카오뱅크만큼의 파괴력은 아니지만 그래도 조용하게 나름 … [Read more...] about 카카오뱅크 리눅스 시스템의 메인 시스템 도입이 가져오게 될 금융권 IT 환경의 변화는?
경제
사이코패스가 될 때의 이점
※ 이 글은 A wealth of common sense에 기고된 「The Benefits of Being a Psychopath」를 번역한 글입니다. 약간의 광기도 없는 천재란 있을 수 없다. – 아리스토텔레스 뇌에 손상이 있는 사람이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릴지도 모른다. 2005년 다양한 대상자의 도박 습관을 살펴본 연구진의 연구 결과가 그렇다. 연구진은 뇌의 감정 영역에 병변이 있는 환자를 연구하고, 그 결과를 뇌 손상이 없는 사람들과 비교했다. 각 참가자에게 … [Read more...] about 사이코패스가 될 때의 이점
북한 경제 사정이 나아졌다고?: 1인당 소득 추이 국제 비교
북한 경제 사정이 최근 나아졌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북한은 경제를 포함해 어떤 분야에 대한 통계도 국제적으로 공표하지 않는다. 다만 한국은행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입수한 정보를 토대로 일부 추정 경제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은행 통계를 보면 실제로 북한의 1인당 국민 총 소득(GNI)은 1990년대의 이른바 '고난의 행군' 시기에 실질 기준으로 뒷걸음질을 거듭하다가 이후에는 개선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경제 제재를 계속 강화하는데도 북한의 경제 사정이 … [Read more...] about 북한 경제 사정이 나아졌다고?: 1인당 소득 추이 국제 비교
인덱스 펀드를 맹신해서는 안 된다
※ CFA Institute의 「Do Index Fund Portfolios Live Up to Expectations?」를 번역한 글입니다. 투자자들은 인덱스 펀드에 희망을 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2017년 상반기 액티브 펀드에서 패시브 펀드로 거의 5,000억 달러가 유입되었으며 인덱스 투자자들의 자금이 미국 내 운용 자산 중 3분의 1 이상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인덱스 펀드가 제공할 수 있는 것 이상을 기대해도 될까? 저비용 인덱스 펀드가 투자자들이 … [Read more...] about 인덱스 펀드를 맹신해서는 안 된다
수수료 없이 실시간으로 환전하고 송금한다, 영국 핀테크 스타트업 레볼루트(Revolut)
9월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슬슬 귀국 준비를 서두를 시기입니다. 짐들이야 잘 정리해서 가져가면 됩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돈입니다. 너무 많이 환전한 탓에 절반이 넘게 남아있었습니다. 이 돈을 어떻게 한국에 안전하게 보낼지 전전긍긍하던 중에 레볼루트(Revolut)라는 영국 스타트업을 알게 되었습니다. 히스토리 레볼루트는 2015년 7월에 Vladyslav Yatsenko와 Nikolay Storonsky가 영국에서 창업한 환전 전문 스타트업입니다. 창업자들은 창업 전에 … [Read more...] about 수수료 없이 실시간으로 환전하고 송금한다, 영국 핀테크 스타트업 레볼루트(Revolut)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세 시장: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
※ 이 글은 Valuewalk의 「Three fast-growing under the radar markets probably aren’t on your radar」를 번역한 글입니다. 1950년대 미국의 소비 호황 시절에 얻을 수 있었던 이익을 생각해 보자. 1950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의 GDP는 인플레 조정 후 690% 증가했다(이 기간 동안 S&P 500은 11,700% 상승했다(여기에는 배당금 재투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 호황 시절 동안 일부 배당주는 많은 … [Read more...] about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세 시장: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
시장 고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6가지 전략
※본 글은 블룸버그지의 "Seven Strategies for Investing at Market Peaks"를 번역한 글입니다. S&P 500 지수는 2013년 3월 말 이전 고점을 돌파한 이래 150차례가 넘게 신고점을 경신해 왔다. 2017년만 해도, 지난 주말까지 30차례의 신고점을 세웠다. 좀 더 크게 보면, 2000년대를 통틀어 13차례의 신고점이 기록되었다. 주가가 계속해서 신고점을 경신해 나가고, 밸류에이션도 평균 이상인 시장을 보고 있노라면 투자자들은 … [Read more...] about 시장 고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6가지 전략
거리에 선혈이 낭자할 때
※ Of Dollar and Data의 「When There is Blood in the Streets」를 번역한 글입니다. 18세기의 은행가 배런 로스차일드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 "거리에 선혈이 낭자할 때가 매수할 적기다." 로스차일드는 이 신조로 워털루 전투에 따른 공황 상태에서 많은 돈을 벌었다. 하지만 이 조언은 말이 쉽지 실행에 옮기기는 아주 어렵다. 몇 가지 일반적인 규칙만으로 거의 모든 재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하는 개인 금융·투자 업계에도 … [Read more...] about 거리에 선혈이 낭자할 때
다음 번 불황은 어디에서 시작될까?
지난번 불황은 부동산시장의 붕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럼 다음번 불황도 부동산시장의 붕괴에서 시작될까요?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이번에는 부동산시장 붕괴에서 시작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왜 이런 생각을 하는가? 그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부동산가격의 추세를 결정짓는 변수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공급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래의 '그림'은 각국 실질부동산가격과 주택공급의 관계를 보여주는데.. 1980~1990년대부터 주요국 주택공급이 급격히 줄어들자, … [Read more...] about 다음 번 불황은 어디에서 시작될까?
재미교포의 혼인시장에서 나타나는 성별 격차
어릴 때 미국으로 이민 갔거나 미국에서 태어난 교포 2세의 경우 배우자 선택에서 동포에게 얽매이지 않는다. 이들은 누구를 배우자로 선택할까? 한국 여성이 한국의 남성주의 문화 때문에 결혼을 기피한다면 교포 사이에서도 여성은 한국 남성과의 결혼을 회피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래는 2001-2013년 ACS 데이터를 합쳐서 25-34세 연령층의 혼인 패턴을 살펴본 것이다. 작년에 발표한 내용인데, 놀기 바빠서 아직 논문 작성을 미루고 있다(...) 한인 교포의 배우자 … [Read more...] about 재미교포의 혼인시장에서 나타나는 성별 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