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ullooly.net의 「When Doing Nothing Means Everything」을 번역한 글입니다. 빛깔이 바뀐 파도, 고르지 못한 수면, 물결의 끊어짐. 해변가에서 수영을 즐길 때 맞이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순간 중 하나의 신호입니다. 바로 이안류(rip current, 離岸流)입니다. 미국 생명 구조 협회에 따르면 매년 이안류에 휩쓸려 약 100명이 익사하며, 안전요원이 출동하는 경우의 80% 이상이 이안류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안류는 … [Read more...] about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의 미덕
경제
그 많던 주식은 다 어디 갔을까?
*본 글은 The Wall Street Journal의 Stockpicking Is Dying Because There Are No More Stocks to Pick을 번역, 게재한 글입니다. 전체 상장 기업 중 절반 이상이 사라지는데 20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시카고 대학교 부스 경영 대학원의 주가 연구소(CRSP)에 따르면, 1997년 11월 당시 7,355개였던 미국 주식 중이 현재에는 3,600개도 안 된다. 데이터를 좀 더 들여다보면 “주식 피커(stock … [Read more...] about 그 많던 주식은 다 어디 갔을까?
미치지 않고 위험을 감수하는 방법
*본 글은 The Wall Street Journal의 How to Take a Crazy Risk Without Going Insane를 번역, 게시한 글입니다. 사무엘 리(Samuel Lee)는 지난주 단 몇 시간 만에 순 자산 중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자산에서 거의 25%의 손실을 입었다. 그의 대응은 단호했다. 낮잠을 잔 것이다. 31세인 Mr. 리는 시카고에서 소규모 투자 자문 회사인 SVRN 에셋 매니지먼트를 운용하고 있다. 그는 자기 포트폴리오 안에 이더리움을 … [Read more...] about 미치지 않고 위험을 감수하는 방법
“미팅 한번 했을 뿐인데, 제 사업 아이템을 뺏겨버렸습니다”
스타트업 위기탈출 넘버원 ② “갑님”에게 아이템을 지키는 안전한 자세 위기 사례 연구 서울 송파구 장지동에 사무실을 하나 얻어 작은 사업을 꾸리는 신철만(39) 씨의 야심은 결코 작지 않다. 그는 국내 대기업 C사가 자기 사업을 인수 합병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소싯적 그곳에 몸담았을 때 그는 일찍이 보았던 것이다. 이러이러한 사업 아이템을, 이 자본 이 인력 가지고 하면, 세계도 넘볼 수 있겠다고. 하지만 C사는 너무나 게을렀고, 철만은 답답해서 자기가 뛰기로 … [Read more...] about “미팅 한번 했을 뿐인데, 제 사업 아이템을 뺏겨버렸습니다”
고용 부진의 원인이 ‘최저임금’ 때문이라고?
최근 고용지표가 부진하면서, '최저임금'이 고용 부진의 직접적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저는 이 해석에 판단유보 입장입니다. 왜 그런가 설명해보겠습니다. 1. 중국 관광객 흐름이 내수 경기를 좌지우지하고 있다 위 그림은 한국 서비스 생산과 중국인 관광객 추이를 비교한 것입니다. 한 눈에도 2012년을 전후해 큰 변화가 나타났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중국 관광객이 월 20만 명을 넘어서면서부터, 중국 관광객 유입이 증가하면 서비스 생산이 늘어나고 … [Read more...] about 고용 부진의 원인이 ‘최저임금’ 때문이라고?
가치 투자자에게 인내는 미덕 그 이상이다
※ ValueWalk의 「The Ability To Stronghold Impatience Is A Virtue」를 번역한 글입니다. 인내는 미덕이라는 격언이 있다. 투자에 관한 한, 인내는 미덕 이상이다. 주식 시장에서 인내는 성공의 열쇠가 될 수 있다. 조급함은 국가적 현상이며 우리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1초만 생각해보자. 우리는 모든 것에 대해 불평하며 이런 불평은 일반적으로 조급함에서 나온다. 우리 사회에는 조급함을 불러일으키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한다. 기술, … [Read more...] about 가치 투자자에게 인내는 미덕 그 이상이다
발칙한 경제: 2014년 이후 가계부채가 급증했던 이유는?
친애하는 권순우 기자의 새 책, 『발칙한 경제』는 화제의 팟캐스트 내용을 책으로 옮긴 것입니다. 따라서 책 내용도 쉬운 편이고, 또 우리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세상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면에서 흥미를 높입니다. 아마 가계부채 문제가 가장 대표적일 것입니다. 아래의 '그림'에 보듯, 한국의 가계부채는 급증하고 있죠. 그리고 이렇게 가계부채가 급증한 것은 지난 3년 동안의 일입니다. 이에 대해 『발칙한 경제』는 비판의 칼날을 휘두릅니다. 한국 가계부채가 … [Read more...] about 발칙한 경제: 2014년 이후 가계부채가 급증했던 이유는?
미국의 스타트업 환경에서 실패를 용인한다는 것
내가 가진 인사이트를 전달하기 위해 기본적인 사실과 약간의 약간의 허구, 그리고 약간의 수학(확률)을 버무린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다만 얼만큼의 사실과 얼만큼의 허구와 얼만큼의 수학이 포함되었는지는 여러분의 판단에 맡긴다. 조금은 오래전 이야기다. 스타트업 기업과 환경(Startup Ecosystem) 이야기를 하며 서울(한국)이 실리콘밸리(미국)과 비교해 활성화하지 못한 이유들을 다각도로 분석한 적이 있다. 그리고 대체적인 결론에 비슷한 결론을 내렸다. 다음과 같은 기사류를 … [Read more...] about 미국의 스타트업 환경에서 실패를 용인한다는 것
부자가 되기까지 따라준 운을 부정하는 부자들에게
※ The Conversation에 Danny Dorling가 기고한 「Getting rich is largely about luck – shame the wealthy don’t want to hear it」을 번역한 글입니다. 영국은 유럽 나라들 가운데 소득 불평등 정도가 가장 높은 편에 속합니다. 여기에는 환상에서 좀처럼 빠져나오지 못하는 부자들 탓도 있습니다. 부자들이 상대적으로 덜 가진, 즉 부가 고르게 분배된 나라일수록 부자들은 자신들과 남들, 무엇이 가능하고 왜 … [Read more...] about 부자가 되기까지 따라준 운을 부정하는 부자들에게
개인사업자에서 법인으로 전환했더니 대표님이 죽어버렸다?!
스타트업 위기탈출 넘버원 ① 신생법인, 설립 초기 스케일 쇼크를 조심하라! 위기 사례 연구 서울 강남구 도곡동에 거주하는 신철민(36, 남) 씨. 아이디어 하나로 시작한 그의 사업은 지난 3년 반 동안 신 씨가 젊음을 바쳐 일궈 온 덕에 이제는 업계에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 수익 구조가 안정되었다고 판단한 신 씨는 이제야말로 예전부터 생각했던 사업 확장 계획을 실행하기로 결심하고 다양한 벤처캐피털과 엔젤투자자들을 만나러 다닌다. 그러자, 신 씨는 투자 심사위원들로부터 … [Read more...] about 개인사업자에서 법인으로 전환했더니 대표님이 죽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