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광고주/대행사분들께 최근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자 올해 가장 많은 강의를 했던 주제가 ‘어떻게하면 유튜브에서 히트하는 바이럴 영상을 만들 수 있는가’이다. 이 주제에 대해 와튼스쿨에서 매우 잘 정리한 아티클이 최근에 나왔는데, 내가 평소 이야기했던 내용과 일맥상통하고 잘 정리되어있어 이 내용들을 번역/요약 정리하여 공유한다. 모든 마케터의 꿈인, ‘바이럴 캠페인 대박’의 레시피는 과연 존재하는가? 구글의 브랜드 마케팅 evangelist인 Kelli와 Gopi에 따르면, 답은 … [Read more...] about 바이럴 마케팅 대박의 레시피
전체글
총, 결투, 그리고 서양인들의 미소의 상관 관계
Sharpe's Revenge by Bernard Cornwell (배경: 1814년, 프랑스) 가장 치열한 전쟁터를 누비고 다닌 역전의 용사가 '아침식사 전의 잔디'로 죽을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적절한 운명의 장난처럼 보였다. "왜 그걸 다들 '아침식사 전의 잔디'라고 부르는 거지 ?" 샤프는 프레데릭슨에게 물었는데, 프레데릭슨은 사실 샤프도 그 이유를 알고 있으며, 그저 초조해서 물어본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으므로, 구태여 대답하지 않았다. 여기서 샤프가 말하는 '아침식사 전의 … [Read more...] about 총, 결투, 그리고 서양인들의 미소의 상관 관계
거리의 인문학 10년, 누구를 위해 종을 울렸나?
1. 2006년 가을, TV프로그램 <그것이 알고 싶다>에 출연한 노숙인 이 씨가 자신의 쪽방에서 책 한 권을 들고 카메라를 응시하며 환하게 웃고 있었다. “책을 모르고 살던 지난 세월이 후회됩니다. 책이 저를 살렸습니다.” 이 씨는 최초의 노숙인 인문학강좌인 성프란시스대학의 1기 수료생이다. 2005년 9월 문을 연 성프란시스대학은 이듬해 입학생 22명 중 13명의 수료생을 배출했고, 그중 11명이 일자리를 얻어 자활의 길을 걷게 되었다. TV에 나온 이 씨 역시 1기 수료생 중 한 … [Read more...] about 거리의 인문학 10년, 누구를 위해 종을 울렸나?
감자탕
"아무리 그래도 감자탕인데 감자를 넣어주셔야죠." 얼마 전에 감자탕을 먹으러 갔는데 감자가 들어 있지 않아 아주머니께 이렇게 말씀 드렸습니다. 그러자 자리를 함께 한 분이 "야, 이게 감자가 들어가서 감자탕이 아니야. 이 돼지뼈가 감자뼈라고"하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자리에서 반박하지는 않았지만 사실과 다른 말씀이었습니다. 그 뼈가 감자뼈라서 감자탕이라고 부르는 게 아니라 감자탕에 그 뼈를 써서 감자뼈라고 부르는 겁니다. 물론 심지어 그 뼈 모양이 달 감(甘)을 닮아 감자탕(甘字湯)이라고 … [Read more...] about 감자탕
이케아가 한국에서 인기 있는 이유: 유럽 기준의 친환경 목재
이케아가 한국에서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북유럽의 감성이나, 심플한 디자인이나, 직접 조립(DIY)하게 해서 싼 가격이라든가, 매장의 인테리어를 보고 즐기며 참고할 수 있게 해놓은 것 등등. 그런데 한국에서 인기 폭발의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사용하는 목재 품질 때문이 아닌가 싶다. 실제로 애기 엄마들이 이케아에 많은 관심을 두고 가구들을 바꾸려 한다는 소문도 있고. 이미 만화에서 설명을 했지만, 아주 간단하게 한 번 더 요약을 해보겠다. 1) … [Read more...] about 이케아가 한국에서 인기 있는 이유: 유럽 기준의 친환경 목재
기독교는 성소수자의 자긍심을 사랑할 수 없나?
이 글은 기독교세례관학술동역회가 발행하는 <월드뷰> 에서 카이로스 이름으로 청탁을 받아서 기고한 글을, 카이로스의 허가 하에 재게재 하였음을 밝힙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동성애는 낯설다.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여전히 15년 전에 커밍아웃 한 홍석천씨가 거의 유일한 동성애자로 기억되고 있을 정도이니 실제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와 같은 성소수자들을 보았을 때 느낄 당혹감은 얼마나 클까. 그렇다고 해서 당신의 주변에 이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당신에게 말하지 않은 채로 … [Read more...] about 기독교는 성소수자의 자긍심을 사랑할 수 없나?
지도의 왜곡: 아프리카의 눈물
이 글은 iflscience의 This is the true size of Africa를 번역한 글입니다. 아프리카는 미국이나 서유럽에 비해 얼마나 클까? 미국과 유럽에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가 사는 곳이 약간 더 클 거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척도의 차이를 생각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독일의 그래픽 디자이너인 카이 크라우제는 새로운 지도를 그려서 많은 사람들의 인식을 뒤흔들었다. 공 모양의 지구를 평평한 지도에 그리려다 보면, 아무리 잘해도 크기와 형태가 왜곡될 … [Read more...] about 지도의 왜곡: 아프리카의 눈물
왜 적어야 하나? 2년간 노트를 쓰며 내게 일어난 변화
저는 노트를 쓰는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회사에서 업무 수첩을 쓰긴 했지만, 개인적으로 노트에 기록을 남기지는 않았죠. 초등학교 이후로는 일기를 쓴 적도 없었습니다. 그랬던 제가 2012년 9월 3일부터 노트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년이 지났습니다. 2년 동안 3권의 노트를 썼습니다. 노트 즐겨 쓰시는 분들에 비하면 쓴 분량이 많지는 않습니다. 문득 2년 동안 나는 노트에 어떤 것들을 적었나? 정리를 해보고 싶어졌습니다. 나중에 노트에 쓴 내용 중 필요한 부분을 찾아서 쓰려면 … [Read more...] about 왜 적어야 하나? 2년간 노트를 쓰며 내게 일어난 변화
2014년 심미(미용)의료계 결산
올 한 해는 심미의료계에 참으로 많은 일이 있었던 한 해입니다. 참고로 심미의학 혹은 미용의학이란 심미적(미용적) 목적의 행해지는 의학을 말합니다. 전통적인 성형외과나 피부과의 영역과는 겹치는 부분도 있지만,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어두운 소식들이 많았습니다. 뉴스를 접하면서 분개하신 분들도 꽤 많았으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소식도 있었습니다. 그럼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미용 목적 의료시술에 부가가치세 과세 일부 성형에 대한 … [Read more...] about 2014년 심미(미용)의료계 결산
버즈피드가 트래픽을 쓸어모으는 시스템 분석
1. Hot하고 hip하고 it한 기업, 버즈피드 · 2014년 9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온라인 매체 - 2014년 9월 기준으로 월간 순수 방문자 수 1억 5천 - 인스타그램은 1억, 뉴욕 타임즈는 7천만 · 소셜·모바일 시대에 성공적으로 적응 - SNS 비중이 전체 트래픽의 75% 이상 - 모바일 비중이 전체 트래픽의 60% 이상 · 실리콘밸리의 유명 VC 안드레센 호로비츠로부터 5천만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 - 솔직히 얼마를 유치했고 얼마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는지가 왜 … [Read more...] about 버즈피드가 트래픽을 쓸어모으는 시스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