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많이 이용하는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유튜브’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김성수(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녹색소비자연대와 함께 지난달 21일부터 27일까지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를 했습니다. 조사 결과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는 1위 유튜브(78.6%), 2위 네이버(57.5%), 3위 페이스북(35.7%), 4위 카카오톡(3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유튜브는 소셜미디어 강자인 페이스북과 엄청난 차이가 날 정도로 압도적이며 20대 83.3%, … [Read more...] about 가짜 뉴스를 판별할 수 있다? 정답률은 58%에 그쳐
언론
언론사가 종이 신문을 없애고 온라인으로만 뉴스를 발행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요?
※ Nieman Journalism Lab의 「What will happen when newspapers kill print and go online-only? Most of that print audience will just… disappear」를 번역한 글입니다. 지난 10년 동안 미국 일간 신문사가 대규모로 문을 닫지는 않았습니다. 사실 그보다는 대규모의 수축이 이루어졌죠. 신문사가 문을 닫는 속도는 20세기 후반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대신 모든 일간 신문사는 해마다 점점 … [Read more...] about 언론사가 종이 신문을 없애고 온라인으로만 뉴스를 발행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요?
‘운동권 청와대’? 조선일보의 터무니없는 기준
얼마 전 신동아에 「임종석 vs 이해찬」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전직 의원에 전직 지자체 부시장에, 부사장으로 있다가 사장으로 승진한 대기업 사장에, 자수성가한 기업인까지 끌어다 대며 난데없는 용문고 인맥으로 엮고는, 이번에 당선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임종석 비서실장이 갈등과 견제와 경쟁 관계라는 전형적인 아무말 대잔치식 기사였다. 거기에 나의 검색욕을 자극하는 대목이 있었다. 대학 총학생회장 등 운동권·시민단체 출신은 전체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참모의 36%를, 임 실장이 관장하는 … [Read more...] about ‘운동권 청와대’? 조선일보의 터무니없는 기준
태풍만 오면 기자들이 이곳에 모이는 이유는?
지난주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관통했습니다. 태풍 솔릭은 제주를 거치면서 세력이 약화돼 예상보다 적은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태풍 솔릭의 피해가 적자, 언론은 앞다퉈 호들갑을 떨었다는 네티즌의 일부 의견을 뉴스로 보도했습니다. 《세계일보》는 8월 24일 「역대급 태풍이라더니…빗나간 예보에 ‘허탈’ 의견도」라는 기사에서 “정부와 언론 등이 연일 경고와 함께 대책을 쏟아내면서 혼란을 키웠다는 지적이 많다.라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세계일보》는 정작 언론이 어떻게 혼란을 키웠는지는 … [Read more...] about 태풍만 오면 기자들이 이곳에 모이는 이유는?
전 페이스북이 선동과 날조 세계의 끝판왕이라고 생각해요
인스타그램으로 메시지가 왔다. 5월에 쓴 「많은 사람이 언론인에게 기대하는 생각은?」이라는 글에서도 언급했듯 요즘엔 페이스북보다 인스타 메시지가 더 많이 온다. 플랫폼이 기운다는 걸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지표다. 지난번 메시지는 20대 후반의 남성분이 보냈지만 이번엔 10대 고등학생이었다. 경북에서 학교를 다니는 고3이라고 소개한 학생은 아래와 같이 말했다. 경북이라고 하니 개인적으로 친근감이 생겼다. 학생은 몰랐겠지만 대구에서 근무할 당시 취재차 대구, 달성, 경산, 영천, 안동, … [Read more...] about 전 페이스북이 선동과 날조 세계의 끝판왕이라고 생각해요
텔레비전과 범죄의 관계
※ THE NEW YORKER의 「How to Fight Crime with Your Television」을 번역한 글입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정치인과 연구자들, 그리고 자녀를 둔 부모들은 사람들이 보는 것과 그들의 행동 사이의 관계를 걱정해 왔습니다. 처음에는 영화였고, 다음은 텔레비전이었다가, 이제 그 대상은 비디오 게임이 되었습니다. 폭력적인 비디오 게임은 납 중독이 아이들의 지능을 낮추는 것만큼 공격적인 행동을 늘인다. 이 말은 2005년 힐러리 클린턴이 폭력적인 … [Read more...] about 텔레비전과 범죄의 관계
어린이에 대한 성적 대상화, 더 큰 그림을 봐야 합니다
※ The economist에 기고된 「Concern about “sexualised” children often misses the point」을 번역한 글입니다. 1. 일본에서 어린 여자아이들을 성적 대상화 하는 불편한 장면을 피해가기란 어려운 일입니다. 로리타 컴플렉스의 줄임말인 '로리콘'이 사회 구석구석에 만연하죠. 서브컬쳐 테마로 유명한 아키하바라의 섹스숍에서는 다양한 가슴 발달 단계의 실물 사이즈 소녀 인형을 공공연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커다란 가슴을 자랑하는 … [Read more...] about 어린이에 대한 성적 대상화, 더 큰 그림을 봐야 합니다
진실만을 찾는 앵커, 앤더슨 쿠퍼
ㅍㅍㅅㅅ 독자를 위해 얻어온 추가 10% 할인!(인증번호: nh8856) CNH Forum 2018 앤더슨 쿠퍼 내한 바로 신청하기 … [Read more...] about 진실만을 찾는 앵커, 앤더슨 쿠퍼
세계에서 가장 섹시한 앵커, 앤더슨 쿠퍼를 알아보자
아비규환의 대지진 현장에서 소년을 구해낸 언론인 2010년 1월, 대지진으로 쑥대밭이 된 아이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약탈과 폭동까지 일어난 수도 황무지 포르토프랭스에, 벽돌에 맞아 얼굴이 피투성이가 된 한 소년이 있었다. 위험천만한 상황, 한 백발의 남성이 나타나 그 소년을 안고 달렸다. 목숨을 걸고 아이를 구해낸 남자는 말했다. 이제 괜찮아. 그의 이름은 앤더슨 쿠퍼. 《PEOPLE》 지에서 가장 섹시한 언론인으로 꼽힌, 전 세계의 사랑을 받는 CNN의 간판 언론인이다. 그는 … [Read more...] about 세계에서 가장 섹시한 앵커, 앤더슨 쿠퍼를 알아보자
언론 보도만 보고 현실을 파악하려 들지 마세요
지난 2014년, '살인'을 키워드로 네이버에서 기사 검색을 해보면 살인사건 관련 보도는 무려 11만 8,289건이나 됩니다. 이는 그로부터 10년 전인 2005년, 같은 키워드로 네이버 기사 검색을 한 결과인 1만 990건에 비해 10.76배나 되는 기사량입니다. 그렇다면 실제 살인사건 발생은 어땠을까요? 2005년 살인 전체 발생은 1,066(미수 554, 기수 512)건이었는데 2014년에는 938건(미수 572, 기수 366)입니다. 약 7%(기수의 경우 30% 정도) 감소한 셈이죠. … [Read more...] about 언론 보도만 보고 현실을 파악하려 들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