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은 하나하나의 위험성을 파악할 수 없다 나는 깊이가 있는 환풍구 위를 잘 지나다니지 못한다. 묘한 고소공포증이 있어서 그런데, 필요하거나 급하면 또 지나간다. 내가 지나가도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은 있기 때문이다. 비행기도 좀 유쾌한 경험은 아니지만 사고확률이 제로에 수렴하는 걸 알기에 필요하면 타게 된다. 그런데 만약 환풍기 위를 20~30명이 함께 지나가는 상황이 있다. 그럴 때 내가 필요하다면 나는 환풍기 위를 지나갈까? 아마도 그럴 것이다. 여러 명이 그 위에 있다는 것은, … [Read more...] about 환풍기 참사, 개인의 안전불감증을 탓하지 말라
생활
직업별 그럼 20000 개드립 모음 (2)
그럼 20000 개드립 1편 보러 가기 [View the story "직업별 그럼 20000 개드립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직업별 그럼 20000 개드립 모음 (2)
당신은 아이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고 있는가: 카톡 사찰에 부쳐
최근 카카오톡을 검열, 사찰 문제가 제기되며 국민들이 감청에 대한 불안을 없애지 못하고 있다. 그 실체가 어떻든 간에, 늦었지만 환영할 일이다. 그간 한국인들은 개인 정보 보호에 너무 무신경했다. 사실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마스터 키를 국가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문제제기가 크게 이슈화되지 않는다는 것만으로도 한국인의 프라이버시 의식은 약함을 보여준다. 어쩌면 당연한 일이 아닐까 한다. 한국인은 호칭에서부터 “내”가 아닌 “우리”를 주로 사용한다. “내” 아버지와 딸이 아닌 “우리” … [Read more...] about 당신은 아이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고 있는가: 카톡 사찰에 부쳐
작별인사를 위해 16년간 함께한 개와 찍은 사진들을 공개한 포토그래퍼
사진가 Maria Sharp는 자신의 개 Chubby와 16년을 함께했다. 그녀의 개는 최근 들어 건강이 급격히 안 좋아졌고, 결국 그녀는 개를 떠나보내야 할 때가 됐다는 걸 알았다. 그녀가 자신의 블로그에 16년간 개와 함께한 사진을 올렸다. 아래는 일부 발췌 번역과 사진 모음이다. 1주일 전, Chubby는 구토하고 먹는 것을 멈췄다. Chubby는 구역질을 멈춰주는 약을 먹었지만, 약은 효과가 없어 보였다. 불안과 구토를 번갈아 하다가, Chubby는 밤새 잠을 자지 … [Read more...] about 작별인사를 위해 16년간 함께한 개와 찍은 사진들을 공개한 포토그래퍼
보스와 리더의 차이
참 많은 조직에서, 보스가 자신이 리더라는 착각을 한다. 사전의 뜻을 빌리면, 보스는 ‘실권을 쥐고 있는 책임자’이고, 리더는 ‘조직을 이끌어가는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이다. 모든 보스가 리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물론 리더십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계발한 보스들은 좋은 리더일 확률이 높겠지만, 많은 보스들은 그저 직급이 높을 뿐일 수도 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리더가 아닌 보스와 좋은 리더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리더가 … [Read more...] about 보스와 리더의 차이
그래도 담배값 인상을 지지하는 이유
뭐 나야 담배값 인상에 당연히 찬성한다. 지금까지 부가세나 담배 값 인상에 대해 쓴 글들: 요기, 요기, 요기, 요기를 참조하길 바란다. 편집자의 요약: 개도국에서는 담배값을 10% 올리면 청소년 담배 수요는 18.3% 줄어든다. 한국은 선진국이지만 담배값이 싸서 유사하게 적용 가능할 듯하다. 담배수요가 줄면 당연히 건강이 좋아지고 국민경제에 도움이 된다. 이명박이 죄악세 도입을 적극 검토했으나 결국 실행하지 않았다. 서민의 술, 담배 같은 이야기보다 세금을 올리고 사회서비스업을 늘려서 … [Read more...] about 그래도 담배값 인상을 지지하는 이유
[단통법 기념] 기발한 스마트폰 케이스 11선
역시 영애께서는 뜻이 깊었다. 단통법이 하드웨어 제조사와 스마트폰 소매상을 죽인다 할때, 정작 그간 울상을 짓고 있던 스마트폰 케이스 제조사는 미소 짓고 있었다. 단통법 이후 판매가 무려 179%나 증가했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창조경제 아니겠는가? 관련 기사: 단통법 효과? '오래 쓰자' 폰 케이스 판매 급증 이에 ㅍㅍㅅㅅ에서 세계의 신기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모아 봤다. 휴대폰은 단통법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될 서양 오랑캐 기업 애플의 아이폰을 기준으로 … [Read more...] about [단통법 기념] 기발한 스마트폰 케이스 11선
대한민국의 소비자 정책에 소비자는 없다
우리나라 소비자 정책의 큰 흐름을 간단히 표현해봤음. 소비자 정책이라고 내놓는 정책도 결국 시행해보면 기업만 이득보는 정책이더라. 더 길게 쓸 것도 없고, 써봤자 손가락만 아프고. 원문: 빈꿈 EMPTYDREAM … [Read more...] about 대한민국의 소비자 정책에 소비자는 없다
전공별 그럼20000 개드립 모음
그럼 20000 개드립 2편 보러 가기 [View the story "전공별 그럼20000 개드립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전공별 그럼20000 개드립 모음
더치페이의 어원을 알아봅시다
네덜란드인이나 네덜란드어를 가리키는 '더치(Dutch)'라는 영어의 표현은 네덜란드의 국가 기원보다 훨씬 오래된 유래를 지니고 있다. 로마 제국 멸망 후의 혼란된 시대에 현재의 네덜란드 지방에 거주하는 게르만족들은 '(동족인 게르만족의) 사람들' 이란 뜻의 일반 명사로 '디에츠 diets'란 단어를 쓰고 있었으며 당시 고지 독일 지방에 거주하던 게르만족들은 '디우치 diutsch'란 단어를 썼고 디우치는 훗날 도이치(deutsch)로 바뀌었다. 이는 프로토-게르만어에서의 국가/사람을 뜻하던 … [Read more...] about 더치페이의 어원을 알아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