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놀아야 행복하다. 이 사실에는 딱히 반론의 여지가 없다. 굳이 행복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찾아보지 않더라도 어디에서나 쉽게 들을 수 있는 말이고, 실제로도 맞는 말이다. 인간에게는 일도 필요하지만, 놀이도 필요하다. 잘 놀아야 행복해지고, 소위 '열일'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도 얻을 수 있다. 삶의 여유와 낭만, 주관적 안녕감은 물론이요, 삶의 의미를 갖추는 데 있어서도 놀이는 무척 중요하다. 그래서 조금씩 바뀌어가는, 작금의 사회 분위기는 무척 다행스럽다. 한때는 오로지 일만 … [Read more...] about ‘왠지 놀면 안 될 것 같다는 생각’
‘극기훈련’을 왜 남이 시켜주는가?
언제였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몇 년 전 어느 때, MBC <무한도전> 특집 주제는 무척 신선했다. 일명 '나 VS 나' 특집으로, 1년 전 자기 자신이 만들었던 기록을 넘어서기 위해 노력하는 멤버들의 이야기를 담은 것이었다. '작년의 나를 이겨라'. 그때는 단지 흥미로운 기획이다, 재미있는 생각이다 하고 넘어갔었다. 멤버들이 몸부림치는 모습을 보며 낄낄대느라 바빴을 뿐, 남이 아닌 '나' 자신 또한 경쟁 상대가 될 수 있다는 발상을 꺼내어 깊게 생각해본 일은 없었던 것 … [Read more...] about ‘극기훈련’을 왜 남이 시켜주는가?
진짜 나, 나다운 나, 참된 나
요즘도 아니다. 꽤나 오래전부터 우리 주위에는 '진짜 나', '나다운 나', '참된 나'를 찾게 해주겠노라며 다가오는 손길들이 많았다. 서점에 가도 온통 '나'를 찾아주겠다는 책들이 가득하고, 강연장에 가려 하니 '나 찾기'를 주제로 내 걸은 강연이 한가득이었다. 그것은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다. 진짜 나를 찾게 해 준다는 이야기에 솔깃하여 종종 귀를 기울여본다. 나를 찾는 여정 끝에 있다는, 온갖 달콤한 보상들이 무척 유혹적이다. 예를 들어, 진짜 나를 찾는다면 원하는 꿈을 이루는 데 … [Read more...] about 진짜 나, 나다운 나, 참된 나
VR기기로 심리를 치료한다?
4차 산업혁명에 모두가 주목하는 이유는, 당연하겠지만 인공지능 기술의 진보로 인한 변화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으리라는 사실 때문일 것이다. 말 그대로 패러다임(paradigm)의 변화다. 그 변화는 사회 전반 영역에 걸쳐 일어나게 될 것이다. 실제로 변화가 반영된 모습은 제각각일 것이고, 변화를 수용하는 속도 또한 천차만별이겠지만 어쨌든,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무시하고 고고히 제 모습을 지킬 수 있는 분야는 사실상 없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여기저기 '4차 … [Read more...] about VR기기로 심리를 치료한다?
당신은 일하느라 못 노니까 ‘게으른’ 사람이다
정신분석학의 창시자라 불리는 지그문트 프로이트.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해 그는 단 두 가지만이, 우리가 인생에서 꼭 챙겨야 하는 대상이라 말했다. 일(work), 그리고 사랑(love)이 바로 그것이다. 어찌 보면 단순하기 그지없다. 그런데 이 짧은 문답이, 일에만 매달려 살고 또 그것이 옳은 길인 줄 아는 우리 현대인들에게 때로 의미심장함으로 다가오게 되는 것은 왜일까? 현대인의 주적 가운데 하나는 바로 게으름이다. 더 열심히 하지 않으면 안 되거늘, 그래야 … [Read more...] about 당신은 일하느라 못 노니까 ‘게으른’ 사람이다
그를 추모(追慕)하는 두 가지 방식
인간은 이해 불가능한 것, 예측 불가능한 것, 통제 불가능한 것 등을 매우 싫어한다. 혐오감을 유발하는 그런 대상이 있을 적이면 인간은 언제나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그것들을 이해 가능하고 예측 가능하며 통제 가능한 것으로 만들고자 노력해 왔다. 존재론적인 불안을 야기시키는 '죽음'에 대해서도 예외가 될 수는 없었다. 물론 이 대담한 도전에 대한 철학적인 회의(懷疑)가 먼저 떠오른다.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극복하는 것이 정녕 가능한 일인가? 이 질문에 대해 인간은 … [Read more...] about 그를 추모(追慕)하는 두 가지 방식
나르시시즘과 게으름의 상관관계
나르시시스트들은 자기 자신을 사랑한다. 스스로가 스스로를 사랑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 또한 자기 자신을 사랑(해야)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나르시시스트들은 인정 욕구가 강하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우러러 봐주기를 바라고, 칭송해 주기를 바란다. 그런데 그들은 인정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풀 죽기보다는 화를 내는 것을 더 잘한다. 심리학자 로이 바우마이스터(R. Baumeister)는 이러한 나르시시스트들의 집요한 공격성으로부터 남다른 영감을 얻은 듯하다. 소위 자기애성 저항 … [Read more...] about 나르시시즘과 게으름의 상관관계
너, ‘근본 귀인 오류’야!
심리학은 상당히 미시적인 학문이며, 따라서 주된 관심사는 언제나 '개인'이었다. 개개인이 지닌 마음의 구조와 기능은 어떠한지, 마음의 역동이 외부로 발현되는 행동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등에 주로 초점을 맞춰 왔던 것이다. 초기 심리학 역사를 수놓았던 프로이트, 융, 아들러 등의 이론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것도 역시 ‘개인의 성격 구조와 그 작동’에 관한 것들이다. 물론 융의 집단무의식이나 분트의 민속심리학 등이 보여주듯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 [Read more...] about 너, ‘근본 귀인 오류’야!
하던 대로 했을 뿐인데, 그의 반응은 왜 달라졌을까?
구 A의 이야기다. 그에게는 언제나 항상 다니는 3명의 친구가 있었고 그를 포함한 4명은 꽤 오래 사귀어 왔다. 갓 성인이 되었을 무렵부터 직장 가지고, 결혼하고, 산다는 것에 대한 푸념이 늘어나기 시작한 지금에 이르기까지, 각별한 마음으로 그들은 우정을 지켜 왔다. 그러던 어느 날, 친구 A가 내게 와서 말했다. 얼마 전, 그 4명 가운데 한 명인 친구 B와 한차례 심한 다툼이 있었고 그로 인해 관계가 완전히 단절될 상황에 놓였다는 것이다. 나는 자초지종을 물었다. 무슨 일이 있기에 10년 … [Read more...] about 하던 대로 했을 뿐인데, 그의 반응은 왜 달라졌을까?
심리학에 거는 기대는 때로 무섭다
타인의 생각을 알아맞힌다는 것 사실상 초능력에 가까운 이것은 심리학(Psychology)이라는 학문에 대해 대중이 갖는 기대의 대부분이라 할 만하다. 심리학은 인간의 심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심리에 대해 무언가 그럴듯한 설명 도구를 쥐여주어야만 하는 것이, 대중이 생각할 때 심리학이 으레 지녀야 하는 중대 사명이다. 하지만 슬프게도 심리학자들은 '내 마음을 맞춰보실 수 있느냐?' 는 질문에 대해 고개를 젓는다. 심리학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라 말하며 더 이상의 자세한 논의를 … [Read more...] about 심리학에 거는 기대는 때로 무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