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일기를 쓰고 계신가요? 오늘은 일기에 대한 생각들을 꺼내보고자 한다. 솔직히 일기,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외상성 기억이다. 초등학교 3학년 때였을 것이다. 여름 방학 동안 매일 '환경일기'를 쓰라는 숙제가 주어졌다. 어디 기억도 안나는 기관에서 협찬한 전용 일기장도 받았다. 자고로 일기는 밀려야 제맛(?) 아닐까? 나는 꾸준히 일기를 써본 적이 없다. 어렸을 때는 이렇게 생각한 적도 있다. 아니, 매일 양치질하는 것도 귀찮아 죽겠는데 무슨 일기냐고! 맨날 학교 갔다 … [Read more...] about 일기 쓰는 습관 들이는 방법: “자기 자신”을 독자로 삼자
마감 전략만 잘 세워도 일의 능률이 올라요
연령, 직업을 불문하고 공부를 하거나 일을 하면서 누구에게나 가장 골치 아픈 것이 있다. 바로 시간의 압박이다. 주위에서는 잘 진행되어가고 있는지를 쉼 없이 물어온다. 지금 이대로는 뭔가 곤란하다고 스스로도 느끼고, 그래서 열심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정작 그 마음처럼 꾸준히 해 나간다는 것이 정말 쉽지 않다. 주위의 환경과 스스로의 다짐이 있으면 조금이라도 더 열심히 해볼 법 한데,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우리는 오늘도 해야 할 일을 자꾸만 미루고 있다. 사실 … [Read more...] about 마감 전략만 잘 세워도 일의 능률이 올라요
“많이 못 해줘서 미안해” 왜 부모님은 이런 말을 할까?
엄마가 많이 못 해줘서 미안해 어렸을 때, 어머니가 자주 하시던 말씀이었다. 우리 집은 솔직히 꽤 불행했다. 가정불화가 있었고, 집은 가난했다. 급기야 내가 이제 막 중학교에 들어갈 무렵, 부모님께서는 이혼을 결정하셨다. 어머니와 여동생이 떠나고, 아버지 밑에 남았지만 아버지는 출장으로 바쁘셔서 얼굴을 보기 어려웠다. 혼자 떨어져 있는 내가 유독 안타까우셨나 보다. 어머니는 못 해도 이주일에 한 번은 '엄마 집'에 나를 오도록 했고 1박 2일 동안 내가 먹고 싶은 것, 가고 싶은 것 다 … [Read more...] about “많이 못 해줘서 미안해” 왜 부모님은 이런 말을 할까?
반드시 이뤄지는 계획 세우는 법
무슨 신년 계획입니까, 올해 계획은 어디로 갔나요? 시작부터 시비(?) 걸어서 죄송하다. 여러분의 연말연초 풍경은 어떤가? 많은 사람들이 다가오는 한 해만큼은 계획했던 것들을 다 실천하며 열심히 한번 살아보자고 다짐한다. 조금 더 부지런한 사람들은 플래너·다이어리를 산다. 금연, 다이어트, 자격증 따기, 승진하기, 연애·결혼하기, 취업하기 등등 큼직한 목표를 세우고, 조금 더 시간이 있다면 세부 행동 계획까지 마련해 본다. 문제는 여러분도 알고 나도 아는 그것이다. '실천의 부재'. … [Read more...] about 반드시 이뤄지는 계획 세우는 법
흔히 잘 놓치는 스트레스 관리법을 소개합니다
스트레스,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맛있는 것 먹기, 가족과 의논하기, 늦잠 자기, 문제 해결하기, 기도하기, 잊어버리려 노력하기, 사우나 가기, 쇼핑하기, 영화 보기, 운동하기, 고민 상담 요청하기, 정면돌파하기, 정신승리하기, 현실 부정하기 등 여러분만의 다양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런데 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들을 몇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눈치챘다. 일명 스트레스 대처 전략(방략, stress coping strategy)이라고 … [Read more...] about 흔히 잘 놓치는 스트레스 관리법을 소개합니다
“아니, 그걸 왜 참아요?” 묵묵히 참고만 있는 사람들의 심리는
지금은 많이 약해졌지만, 예전에는 '의지', '노오력' 드립이 정말 심했다. 특히 군대에서는 더했다. 힘들다고 말하면 정신력이 어쩌니, 나약해 빠졌다느니, 개념이 없다느니 하는 말들이 날아오곤 했다. 그때는 정말 억울해서 악으로 깡으로 버텼지만, 지금은 그런 '의지'나 '노오력' 드립이 얼마나 무모하고 위험한 것이었는지를 새삼 돌아보게 된다. 사실 종이 한 장 차이이긴 하다. 보통 인내력이나 끈기와 같은 요소들은 바람직한 스탯으로 간주되곤 한다. 취업할 때 인성 검사 한번 해보면 안다. … [Read more...] about “아니, 그걸 왜 참아요?” 묵묵히 참고만 있는 사람들의 심리는
일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방법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길 수 없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이야기일 것이다. 일할 때 재미가 붙어야, 더 오래 일할 수 있고 스트레스도 덜 받으며 더 나은 성취를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일 터이다. 그래서 인생 계획을 고민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꿈꾼다. '덕업일치', 내가 진짜 좋아하는 일을 찾는 것을 말이다. 심리학자들 역시 '즐기는 자'의 손을 들어준다. 단지 노력만 하는 자는 적당히 노력하면서 즐기기까지 하는 자를 따라올 수 없다. 심리학자들은 놀라운 성취를 이룬 사람들의 특징에 대해 … [Read more...] about 일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방법
계속 ‘고민만’ 하게 되는 심리학적 원인
목표 관리가 필요하다면 어떻게 할까? 여러분은 목표 관리를 도와줄 수 있는 도구(tool)를 찾아나갈 것이다. 다이어리이든, 간트 차트(gantt chart)든, 메모장이든, 가계부이든, 그 무엇이든 말이다. 우리는 단지 머리로 생각하는 것만으로는 목표 관리가 수월하지 않다는 것을 안다. 현황도 기재해야 하고, 세부 실전 방침도 세워야 한다. 각 계획별 마감 시간도 정해야 하고 목표까지 진척률도 모니터링해야 한다. 그리고 당연하겠지만 이 모든 복잡한 과정을 암산(?)만으로 해낼 수 있는 … [Read more...] about 계속 ‘고민만’ 하게 되는 심리학적 원인
무엇이 직원의 애사심을 만드는가?
직장인 B씨는 몇 해 전, 현재의 직장에 갓 입사했을 때의 기억을 떠올려보았다. 취직이 결정됐을 때, 주위에서는 칭찬과 응원의 메시지가 쏟아졌다. B씨는 그런 열렬한 반응에 머쓱하면서도 자신이 결국 해냈다는 생각이 들어 뿌듯했다. 남들 보란 듯이 멋지게 대기업에 입사한 자신이 그렇게 대견할 수 없었다. 그래서 처음 직장을 다닐 때 회사에 대한 자부심은 차고 넘쳤다. 자신도 회사의 가치와 비전을 공유하는 당당한 구성원이라는 생각이 들어 벅찼고, 한동안은 회사 로고만 봐도 애사심이 … [Read more...] about 무엇이 직원의 애사심을 만드는가?
인성검사로 팀워크를 측정할 수 있을까?
석사 나부랭이에 불과하나 일반 대학원에서 그래도 심리학을 연구해 본 입장에서 돌이켜보면, 심리학자들은 기본적으로 ‘쪼잔’한 사람들이다. 사랑, 헌신, 이타, 동정, 윤리, 인내, 공격성, 감정 등등을 논할 때 심리학자들은 이들의 1) 개념적 정의가 뭔지, 2) 측정은 어떻게 할 것인지를 두고 몇 날 밤을 새우며 싸울 준비가 된 사람들이다(나 역시 그 프레임을 놓기가 도통 어려움을 실감한다). 왜 그럴까? 심리학은 기본적으로 눈에 안 보이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눈에 보이지 … [Read more...] about 인성검사로 팀워크를 측정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