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arles Schwab의 「Where’s the Next Bubble?」을 번역한 글입니다. 투자자에게 거품은 종종 근심거리를 안겨줄 수 있다. 즉 우리는 항상 거품을 감시한다는 의미다. 다행스럽게도 현재의 거품 후보 중 전통적인 거품의 특징에 맞는 것은 없어 보이며, 만일 거품이라 해도 터졌을 경우 전체 시장과 경제에 미칠 잠재적 피해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 거품이 터질 시점을 알아내는데 요긴하게 쓰였던 수익률 곡선(yield curve) 또한 향후 12개월 동안 … [Read more...] about 다음 거품은 어디에서 발생할까
1950년대 워런 버핏의 50% 수익률에서 배워야 할 교훈
※ Grahamites의 「Case Study: Buffett's 50% Edge Against the Dow in the 1950s」를 번역한 글입니다. 워런 버핏은 100만 달러 정도의 소액을 투자한다면, 연평균 50% 이상의 수익률을 확실하게 올릴 수 있다는 말로 유명하다. 또한 자신의 최고 10년은 소액의 자금으로 50% 이상의 수익률을 올렸던 1950년대라고 말한다. 버핏은 『워런 버핏 평전(Of Permanent Value: The Story of Warren … [Read more...] about 1950년대 워런 버핏의 50% 수익률에서 배워야 할 교훈
수익을 위해서는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 A Wealth of Common Sense의 「To Win You Have to be Willing to Lose」를 번역한 글입니다. 요즈음 시장에는 두 가지 유형의 투자자가 있다(극단적인 일반화긴 하지만). 다음 5–10%의 시장 조정이 언제 일어날지 고민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투자자. 시장 조정 또는 약세장의 위험을 걱정하지 않으면서 태평스럽게 시간을 보내는 투자자. 이런 두 가지 입장은 모두 잠재적으로 위험하다. 시장의 움직임에 과도한 반응을 보일 수 … [Read more...] about 수익을 위해서는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자녀 성적이든 투자 포트폴리오든 빈번한 확인은 득보다 실이 크다
※ A Teachable Moment의 「Warning! Frequently Checking Kid’s Grades Or Your Portfolio Is Bad For Your Health And Wealth」를 번역한 글입니다. 공부와 투자에는 지름길이 없다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열쇠는 좋은 과정이지, 일시적인 결과가 아니다. 단기적인 소음에 초점을 맞추면 자산 증식은 물 건너간다는 사실은 충분히 입증되었다. 자녀가 공부를 좋아하게 하는 게 아니라 단기적인 … [Read more...] about 자녀 성적이든 투자 포트폴리오든 빈번한 확인은 득보다 실이 크다
돈의 의미
※ Four Pillar Freedom의 「Why Money is Everything」을 번역한 글입니다. 돈을 우선시하는 게 '탐욕'만이 아닌 이유 조 로건과 나발 라비칸트의 인터뷰를 들어보면, 나발의 이런 말이 나온다. 조 당신은 비록 한 명의 인간에 불과하지만, 실제로는 좋든 싫든 전 우주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면서 나발은 외계인이 찾아와서 다음과 같이 대화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고 한다. 외계인: “저것은 무엇인가?” 인간: “조 로건이다.” 외계인: “조 … [Read more...] about 돈의 의미
사업과 투자의 성공에 필요한 두 가지
※ CFA Institute Enterprising Investor의 「Two Paths to Creative Success in Business and Investing」을 번역한 글입니다. 사업과 투자에서 성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그 핵심 요소 중 하나가 차별화다. 사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경쟁 업체와 다른 제품을 제공해 고객이 부가 가치를 느끼게 만들어야 한다. 투자자로서 시장을 이기고 싶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다른 모든 투자자와 달라야 한다. 또는 하워드 막스가 … [Read more...] about 사업과 투자의 성공에 필요한 두 가지
우리가 더 자주 말해야 할 문장
※ Calibrating Capital의 「3 Words We Should Say More Often」을 번역한 글입니다. “사랑해”는 아니다. 우리가 더 자주 말해야 하는 문장은 “나는 모른다.”라고 생각한다. 개인으로서, 부모로서, 조언자로서, 스승으로서, 친구로서, 리더로서, 직원으로서 그래야 한다는 뜻이다. 이 말을 자주 할수록, 우리는 모든 걸 알 길은 없다는 사실을 진정으로 깨닫는다. 우리는 삶에서 모든 것이 분명하길 원한다. 계획을, 전망을, 결과를 … [Read more...] about 우리가 더 자주 말해야 할 문장
가치 투자: 주식 투자로 303%의 수익률을 올린 방법
※ Value Walk의 「Value Investing: How I Returned 303% Investing in Stocks」를 번역한 글입니다. 지난 7년 동안 내 포트폴리오는 303%나 성장했다(연평균 복리로 25%씩 성장한 꼴이다). 워런 버핏과 벤저민 그레이엄과 같은 가치 투자 거장들의 투자 조언과 투자 방법을 따랐기 때문이다. 이 기간 시장이 전체적으로 상승한 덕도 없지 않지만, S&P 지수보다 157%(평균 연간 22%씩)나 더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 … [Read more...] about 가치 투자: 주식 투자로 303%의 수익률을 올린 방법
희망은 전략이 아니다
※ Demonetized의 「Hope Is Not A Strategy」를 번역한 글입니다. 사람들과 투자에 대해 얘기를 나누다 보면 이런 질문을 종종 듣는다. ○○주식을 매수했는데 주가가 50%나 떨어졌습니다. 팔아야 할까요, 아니면 그냥 가져가야 할까요? 가능한 한 빨리 파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 그 사람 면전에 바로 이렇게 말하기란 쉽지 않지만, 누군가에게 위와 같은 질문을 하기에 앞서 무엇보다 그렇게 투자해서는 안 된다. 꼭 주가가 50% 하락했다고 해서 그런 … [Read more...] about 희망은 전략이 아니다
역사 속 문헌으로 배우는 투자의 22가지 교훈
※ Klement on Investing의 「The Virtuous Investor」를 번역한 글입니다. 신앙인이 아니더라도, 철학적 가르침을 얻기 위해 역사 속의 종교 문헌을 읽는 경우가 있다. 그중에 1503년 로테르담의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Desiderius Erasmus)가 쓴 책 『Manual of the Christian Knight』이 있다. 이 책은 무례해보였지만 에라스뮈스에게는 친절하게 대했던 한 군인에 관한 내용이다. 이 군인의 아내가 남편의 행동을 … [Read more...] about 역사 속 문헌으로 배우는 투자의 22가지 교훈